CAFE

댓글

뒤로

인간들은 땅을 박차고 하늘을 향해 오를 수 있을 것인가?

작성자비빔밥(경기)| 작성시간13.12.09| 조회수393| 댓글 10

댓글 리스트

  • 작성자 정답조아 작성시간13.12.09 감사합니다 .. 비빔밥님 ^___^
  • 작성자 잘생긴김씨(전주) 작성시간13.12.10 과거 화폐제도중 금본위제의 회귀를 비슷한걸 말씀하시는거 아닐까 싶은건데, 이런 관점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신용화폐가 나온 근본원인은 금이라는 금속물질의 한계에서 비롯됩니다. 경제규모가 커질수록 화폐공급이 늘어나야 하는데, 금은 그 자체가 한정적인 자원인데다 운용하기 위해선 체굴에 의해서만 늘어나므로 경제규모의 성장 관계가 없게 됩니다. 희소성으로 인해 보존가치로의 금은 유효하나 필요한 수량을 제때 공급하지 못하므로 교환가치로서의 금은 상당히 문제점을 가지게 됩니다. 현제로도 지구전체의 gdp는 지구에 매장된 추정매장량을 넘어서고 있거든요. 그러니 당장 금본위제로 돌아가고 싶어도 못돌아가게 됩니다.
  • 작성자 잘생긴김씨(전주) 작성시간13.12.10 결국 화폐에서 토지의 요소를 배척하게 된것은 배척하고 싶어서 배척한게 아니라(do not) 배척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배척(can not)한겁니다. 덕분에 불안정성(변동성)이라는 아주 괴로운 물건을 껴안게 되었지만요...
  • 답댓글 작성자 비빔밥(경기)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3.12.10 일단 저는 과거식 금본위제로 복귀할 가능성은 낮고 더군다나 금과 은을 직접적인 화폐로 쓸 가능성은 거의 제로에 가깝다고 봅니다. 향후 새로운 화폐가 탄생한다면 어떤식으로든 금하고 엮일 것으로 생각하지만 화폐의 발행총량을 통제하는 것이 말씀하신 것 처럼 채굴에 한계가 있는 금 하나로는 부족합니다(물론 금가격을 급등시키면 쉽게 해결이 되지만..). 더군다나 각 국의 금 보유랑이 심각하게 다르기 때문에 다음 화폐는 금 외에 여러가지 요소(토지, 자원, 인구 등..)들이 탄력적으로 적용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비빔밥(경기)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3.12.10 그리고 말씀하신 화폐공급 개념은 금을 직접적인 화폐로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지폐나 디지털 화폐를 사용하기 때문에 금본위제가 복귀된다 하더라도 금이 본원통화 수준에서만 연동이 될 경우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커런시 워의 짐 리카즈의 의견처럼 금의 채굴량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결국 금의 가격이 문제인 것입니다. 금의 가격을 현실화(?) 시키면 이론상 현재 각국이 보유한 금 만으로도 광의의 통화를 모두 뒷받침할 수 있지요.
  • 답댓글 작성자 비빔밥(경기)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3.12.10 물론 그런 주장에 옹호하는 것은 아니고 이론상 그렇다는 얘기지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한 '커런시워'의 짐 리카즈가 M1, M2 개념을 바탕으로 잘 구분해 놓았으니 그 분의 책을 참조해 보시면 신용화폐 옹호론자들이 말하는 금 본위제 자체의 한계가 논리적 모순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 규모가 커질수록 화폐공급이 늘어나야 되기 때문에 금본위제에 문제가 있다는 주장은 과거 사례를 보아도 그렇고 논리적으로도 맞지 않는 신용화폐 옹호자들의 주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잘생긴김씨(전주) 작성시간13.12.10 비빔밥(경기) 시간나면 사서 봐야겠군요. 물론 신용화폐 옹호론자 입장은 아니지만 이론상 그렇다는 이야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모순점이 보여서 말입니다. 금의 가치보존능력에 기댄다는게 참 위험한 발상인데 말이죠.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잘생긴김씨(전주) 작성시간13.12.10 그래서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개념이 나왔죠.(그것도 1970년대에 말입니다.)
  • 작성자 gh9198 작성시간13.12.16 사람머리수를 기준으로 돈을 발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한 사람당 얼마가 필요하다는 기준으로....

    인구가 늘면 더 발행하고 ..... 인구가 줄면 회수하고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