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jager] 체첸항쟁사

코카서스의 늑대들 : 체첸- 32. 흔들리는 희망

작성자jager|작성시간09.07.17|조회수2,603 목록 댓글 16

 

 

 

 

                                         

 


 '마침내 러시아는 피를 거부하고 평화를 선택했다. 러시아 민주주의의 진정한 승리이자 역사 이래 코카서스에서 러시아가 얻어낸 가장 큰 승리다.'

                                                                                                                                                                                                                                                                                                                                -                                                                                                                                - 공보 장관 모브라디 우두고프
    

 


1996년 8월 25일에 마스하도프와 레베드 사이에 체결된 하사 유르트 협정 본문은 다음과 같다

 

    1, 러시아 연방과 체첸 공화국 사이의 국제법의 절차와 원칙에 따른 상호 협정을 2001년 12월 31일까지 체결토록 한다.

    2. 1996년 10월 1일까지, 러시아 연방과 체첸 공화국의 대표들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하고, 이 위원회는 다음 사항을 상호 의결한다.


        - 러시아 연방 대통령이 1996년 6월 25일 발효한 대통령령 985호에 따른 연방군 철수의 완전한 이행

        - 범죄, 테러, 민족적 종교적 차별에 대한 공동 대처 방안 마련과 실행

        - 경제적 빈곤과 전란에 의한 파괴 복구와  외교 관계 복원을 위한 방안 마련

        - 체첸 공화국의 사회 경제적 기반시설 복구를 위한 러시아 연방의 지원 대책 마련

        - 주민들을 대상으로 식량과 구호 시설 제공을 위해 정부 기관과 민간 단체의 협력 체제 마련

 

   3. 체첸 공화국의 사법 제도는 체첸 공화국 영내의 인종적, 종교적 기타 다른 요소에 의한 차별없이 인권, 민족 자결권, 국가 간의 평등권, 보편적 시민권,  국제적 평화와 안보 보장을 위해 노력한다.

   4. 공동 위원회는 상호 동의에 따라 위 사항을 완수한다.

 

 

 

 

 

대화를 나누는 체첸군과 러시아군


              

   이로부터 3달 뒤인 1996년 11월 23일, 러시아 옐친 대통령은 마침내 체첸 영내의 러시아군 철수 명령에 서명한다. 이로써 조하르 두다에프의 대통령궁을 향해 처음 3만의 러시아군을 투입한 지 2년 만에 7만이 넘는 러시아군은 물러났다.  그 2년 동안에 러시아군은 4천에서 7천이 넘는  전사자와 1만 7천이 넘는 부상자가 발생했다.  이들을 물리치기 위해 체첸인은 8만에서 10만에 달하는 사람들이 희생되었다.

 

 

 

 

러시아군 철수 후 환호하는 체첸군과 시민들


  체첸인들은 힘으로 얻어낸 자신들의 권리를 만끽하기 위해 분주하였다. 1997년 1월에 현 체첸 2대 대통령 젤림한 얀다르비예프의 임기가 끝나기 때문에 대선 준비에 분주하였다. 5명의 후보가 선거에 출마하였다.  남서 지난 3차 그로즈니 공세 당시 남서부 전선 사령관 아흐마드 자카예프, 현 공보 장관 (언론과 홍보 담당) 모브라디 우두고프, 재선을 노린 젤림한 얀다르비에프,  부데노프스키의 영웅 샤밀 바사예프, 체첸군 참모총장이자 승리의 설계자인 아슬란 마스하도프였다.

 

 

 

 

 

가운데 아슬란 마스하도프, 뒷줄 왼쪽 모브라디 우두고프, 오른쪽이 아흐마드 자카예프

 


  선거전은 치열하였고, 체첸인들은 스스로의 손으로 자신들의 대통령을 뽑을 수 있다는 사실 만으로도 감격하였다. 후보들은 모두 열띤 선거전을 펼치면서 전후 체첸 복구를 위한 각자의 공약과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특히 눈에 띄는 공약을 낸 것은 샤밀 바사예프 였다.

 

   우선 바사예프는 '체첸의 독립에 대해서는 어떠한 양보나 협상도 없다'고 대전제를 하였다. 그러나 자신이 대통령이 되면 러시아와 경제 협력과 에너지 수출에 대한 상호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심지어 상호 방위 기구까지 구상하여 러시아 남부 국경지대와 체첸 남부 국경 지대 사이에 공동의 방위 체제를 구축하겠다고 하였다. 심지어 러시아가 맹주로 있는 독립국가 연합에 가입하겠다고 공약하였다. 체첸의 독립과 러시아와의 긴밀한 협력이라는 얼핏 상반되는 공약을 바사예프는 다음과 같이 적절히 비유하였다.

 

 

 

 

선거 운동하는 샤밀 바사예프

  

  "우리는 한 집에서 서로 방을 따로 쓰지만 부엌은 공동으로 쓸 수 있다.'

 

   여기에 독립된 체첸 공화국은 이슬람 공화국으로서 이슬람 5대 의무 중 하나인 빈자에 대한 적선에 따라 사회 복지 제도를 마련할 것도 공약하였다. 기타 소소한 공약 중에 수도 그로즈니에 디즈니랜드 건설한다는 것도 있었다.


    치열한 선거전 끝에 1997년 1월 27일, 선거날이 밝았다. 50만의 유권자가 선거에 참여하였고 20여개국에서 온 선거 참관단과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에서 선거 과정을 지켜보았다. 여느 선거와 마찬가지로 흑색 선전이나 마찰이 없지는 않았지만 선거 참관단은 대체로 공정한 선거였다고 입을 모은다. 선거 결과는 64.8프로의 득표를 얻은 아슬란 마스하도프의 당선이었다. 샤밀 바사예프는 23.5프로를 얻고 2위하였다.

 

 

 

 

 

당선된 아슬란 마스하도프


   패배에 익숙치 않았던 샤밀 바사예프는 선거 결과에 크게 낙담했는 지, 아슬란 마스하도프의 당선에 대해 '긍정도 부정도 않고 향후 정책을 지켜보겠다'고 언급하였다. 당선자 아슬란 마스하도프는 체첸 국내에서 가장 강력한 무력을 보유한 샤밀 바사예프에게 손을 내밀었다. 당선되고 불과 3일 만에 체첸 공화국 수상 (First Deputy Prime Minister )를 제안한 것이다. 바사예프는 이를 받아들이고 마스하도프 신정부에 참여하였다.

 

 

 

 

마스하도프 대통령 취임식의 체첸군인들. 가운데 기관총 사격하고 주위에는 귀를 막고 있다.

 

  체첸 공화국 부수상으로서 샤밀 바사예프는 6개월 동안 주요 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하는 역활을 하였다. 특히 그가 역점을 둔 것은 망가진 체첸 공화국 재정 확보였다. 각 정부 부처와 주요 직책들을 대거 정리하여 긴축 재정을 꾸려가서 두다예프 정권 이래로 파탄난 국가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래도 큰 효과가 없자 스스로 체첸 국립은행장과 국세청장 자리를 요구하였다.

 

국세청장이 된 바사에프는 공직자 재산등록 의무화를 통해 각 정부 부처 주요 장관급의 재산을 파악한 뒤, 이들이 각각 절반 씩을 국고에 기부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1500억 루블의 자금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고 보았다. 모범을 보이기 위해 바사에프는 스스로의 재산을 60만불이라 신고하였다.

 

 

 

 

 

집무하는 샤밀 바사예프

 

  바사예프가 체첸 공화국의 내치를 위해 분주한 동안, 마스하도프 정권의 공보 장관 모브라디 우두고프는 러시아와의 협상을 통해 체첸 독립을 완전히 승인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하사 유르트 협정으로 러시아군의 철수를 얻어냈지만, 체첸의 독립 문제는 5년 뒤인 2001년까지 '상호 협정을 통해' 결정한다고 유예되었기 때문이다. 전쟁 기간 동안 탁월한 언론 홍보 전문가로 러시아군 사령관으로부터 '모스크바에 앉아 있는 모든 선전팀을 모아도 우두고프 한명의 가치에 못미친다'는 말을 들은 '체첸의 괴벨스'는 이 문제를 확고히 해결하고자 하였다.

 

 

 

 

체첸 공보장관 모브라디 우두고프


  체첸 공보장관 모브라디 우두고프는 러시아 연방 내무 비서 이반 리프킨을 상대로 지루한 협상을 벌였다. 리프킨은 '상호 경제 협력 체제 구축 후 정치 안건 논의'를 희망하였고, 러시아 연방의 테두리 안에서 경제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상호 협정을 제안하였다. 1994년에 타타르스탄과 체결한 협정과 비슷한 방식이었다. 우두고프는 이는 결과적으로 경제 에속을 통한 체첸 공화국의 러시아 연방 잔류 의도로 보고, 우선 체첸 공화국 독립에 대한 명시적이고 확고한 인정을 요구하였다. 그 다음에 비로소 러시아와 경제 협력 체제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협상은 지루한 신경전이자 평행선을 그었지만, 리프킨과 우두고프는 1997년 5월 12일, 모스크바에서 평화 협정을 체결할 수 있었다. 그 조문은 다음과 같다.

 

  1. 체첸 공화국과 러시아 연방은 상호 문제를 협상을 통해 해결하며, 무력과 위협 수단을 영원히 사용하지 않는다.

  2. 체첸 공화국과 러시아 연방의 관계를 국제 법의 절차와 원칙에 따라 발전시킨다. 이를 위해 양측은 특별히 체결된 조약에 기초하여 상호 이행토록 한다.

  3. 이 조약은 향후 관계 구성과 조약 체결을 위한 기본 원칙이 된다.

 

    후략

 
   모스크바 평화 협정은 체첸 측에는 마침내 러시아가 독립 인정한 것이라 해석했다. 2항의 '국제법의 절차와 원칙'에 따라 양자 과계를 발전시킨다고 되어 있기 때문이다. 마스하도프는 내외 기자들을 대상으로 '러시아가 체첸 독립을 마침내 인정'했으며, 러시아와 경제 협력 관계를 발전시킬 것이라고 하였다. '러시아는 강대한 힘을 갖고 있다. 러시아는 우리의 이웃이며 경제적인 모든 면에서 연계되어 있다.  우리가 서방과 무슬림의 어떤 나라보다도 러시아와 먼저 협약을 맺은 이유이다."

 

 

 

 

모스크바 협정 중의 마스하도프와 옐친

 

   그러나 러시아의 생각은 달랐다. 평화 협정은 단지 '무력 사용 금지'를 규정했을 뿐, 체첸 독립 부분은 아직 여백으로 남겨놨다는 것이다. 그래서 1997년 10월 코카서스 서부 소치에서 열림 회담에서 러시아측은 체첸 우두고프가 제안한 국제 외교 협약을 거부하였다. 체첸은 여전히 러시아 연방의 영역이라는 것이었다.  모든 것은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다. 러시아는 결코 체첸의 독립을 인정할 생각이 없었다.

 

  체첸 공보장관 우두고프는 국제 사회와의 외교 관계 체결로 돌파구를 뚫으려고 하였다. 러시아와는 협상이 불가하기 때문에 타국에게 체첸 독립을 인정받아서 실효성을 얻기 위해서였다. 일단 국제사회에 독립 인정받으면 러시아로서도 어쩔 수 없을거라 생각했다.

 

 

 

 

마스하도프와 얀다르비예프

 

  우두고프는 20여개 국가에 외교 관계를 맺을 것을 제안하였다. 이 중 탈레반이 지배하는 아프가니스탄이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1997년 6월에 체첸 공화국 유엔 가입을 신청하였고, 11월에 마스하도프 대통령은 1997년 11월에 미국 방문하였다. 우두고프는 마스하도프의 미국 순방을 크게 선전하였고, 마스하도프는 '나는 체첸 대통령으로서 미국 정부의 외교 비자를 받고 방문하였다. 이제 미국을 포함한 외국 여러 나라들이 체첸 독립을 인정하려고 한다'고 하였다.

 

 

 

 

모브라디 우두고프

 

  그러나 소용없었다. 체첸 공화국을 독립국으로 인정하고 독자적 외교관계를 체결한 나라는 어디에도 없었다. 러시아의 압력을 두려워한 것이었다. 아무리 우두고프와 마스하도프가 백방으로 노력한다 해도 국제 사회에 있어 러시아의 입김을 체첸인들의 힘으로는 어쩔 수 없었다.

 

 

   체첸인들은 다시금 벽에 부딪쳤다. 체첸이 독립국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대외적인 인정 외에도 경제적인 자립이 필요한 데, 러시아의 협조 없이는 불가능하였다. 두다예프 정권 초기에 공화국 주 수입이 러시아 쪽으로 뻗은 송유관과 러시아로 향하는 항공기에 실린 무관세 상품들이었다는 것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러시아의 힘을 얻지 않는한 체첸 독자적인 경제 자립은 어려웠고, 러시아는 '체첸이 러시아 연방에 잔류할 경우에만' 이에 대한 원조와 협력을 제공한다는 것이었다.

 

 

 

 

아슬란 마스하도프


   이렇듯 체첸 마스하도프 정부가 현실의 벽에 부딪칠 무렵, 체첸 국내의 상황은 나날이 악화되고 있었다.  전쟁 후에도 총을 내려놓지 않은 각지의 군벌들, 그리고 이슬람 혁명을 꿈꾸는 근본주의 (와하비) 가 점차 세력을 키우고 있었으며, 점점 체첸 정부로서도 감당하기 힘든 수준까지 간 것이었다.

 

 

 

 

출처 :  Paul Murphy의 The Wolves of islam
          Moshe Gammer의 The Lone Wolf and The Bear
          Sebastian Smith의 Allah's Mountain
          http://en.wikipedia.org/wiki/Movladi_Udugov
          http://en.wikipedia.org/wiki/Zelimkhan_Yandarbiyev
          http://en.wikipedia.org/wiki/Aslan_Maskhadov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jager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09.07.22 샤밀이 생각 외로 상식에 가깝게 말하더군요. 적어도 말로는요
  • 작성자sssss | 작성시간 09.07.27 체첸 늑대시리즈 넘오랜만입니다. 그간 왜무소식이었는지 의외로 바쁘셨나보내요.!!!!!
  • 답댓글 작성자jager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09.07.28 바쁘기도 했고 좀 어려운 부분이었습니다. 거의 1달간 자료 정리하며 준비해야 했죠
  • 작성자임용관 | 작성시간 09.10.27 내전이 일어나게 된다면 그동안 쌓아 놓은 공든탑이 무너질텐데...
  • 작성자기러기 | 작성시간 09.12.10 글 잘 읽고 갑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