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코카서스의 늑대들 : 체첸- 43. 늑대사냥

작성자jager| 작성시간10.01.12| 조회수3258| 댓글 36

댓글 리스트

  • 작성자 무브유얼애즈 작성시간10.01.13 상황이 꽤나 완벽해 보이는데 전멸을 못시킨 러시아군이 무능한건지 저걸 기어나간 체첸군이 대단한건지 모르겠네요.
  • 답댓글 작성자 jager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0.01.13 둘다라고 보입니다
  • 작성자 지옥괭이 작성시간10.01.13 그런데 러시아군이 순자강 다리를 끊어버린다면 완전히 포위시킬 수 있었을 텐데(첸첸군이 도강장비는 없을테니) 안한 걸 보니 되돌아 갈거라고 생각한 걸까요?
  • 답댓글 작성자 jager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0.01.13 만약 다리를 끊었다면 체첸군은 다른 도하점을 찾아 봤을 테고, 러시아군의 기습의 효과는 작아졌겠죠. 부대가 다리를 건너면서 생기는 병목 현상을 노려야 저런 전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 작성자 ▶◀ 부디좋은곳가소서 작성시간10.01.13 정말 한국독립전쟁사를 보는것같습니다 ㅠㅠ 1900년부터 자유시참변까지 그 시기가 자꾸 겹쳐보이네요 ㅠㅠ
  • 답댓글 작성자 jager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0.01.13 그런가요?
  • 작성자 ▶◀ 부디좋은곳가소서 작성시간10.01.14 네 거의 청산리 대첩이후의 장면들이랑 각종 독립전쟁사 기록들에 나오는 모습들과 너무나 비슷합니다 ㅠㅠ 특히 청산리대첩이후에 눈보라 쌓이는 곳을 헤치며서 일본군을 피해 철수하는 장면이 자꾸 떠오릅니다
  • 답댓글 작성자 jager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0.01.15 저도 그 기록을 본 것 같습니다. 그 뒤에 기다리는 것이 자유시 참변이었죠
  • 작성자 2Pac 작성시간10.01.14 잘 읽었습니다. 역시 한 조직의 역량을 감소시키는 가장 큰 원인은 -내분-이라고 생각되네요. 저렇게 강한 사람들이 뭉쳐만 있었어도 ..
  • 답댓글 작성자 jager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0.01.15 한 민족을 지배하는 가장 좋은 일은 분열을 조장하는 일입니다. 그래서 로마시대부터 '나눠서 다스린다'는 말이 관용구처럼 돌았습니다
  • 작성자 김 광 표 작성시간10.01.14 완벽히 계획된 포위망을 저정도 손실로 돌파하다니 대단합니다. 밀도높은 지뢰밭을 믿고 화력을 집중하지 못했나요? 하여튼 대단한 체첸입니다. 하긴뭐.. 강릉무장공비들의 주파실력도 대단했죠..
  • 답댓글 작성자 jager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0.01.16 만약 지뢰밭 앞에서 시간을 지체했으면 전멸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과감히 돌파하여 앞장섰던 수백명이 죽는 대신 나머지는 신속하게 빠져나갈 수 있었던 것이죠. 러시아군도 저렇게까지 할 것이라고는 상상하기 힘들었겠죠
  • 작성자 edcdedd 작성시간10.01.14 너무 재미 있게 잘보고 있습니다 책으로 않내시나요??ㅎㅎ
  • 답댓글 작성자 jager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0.01.16 출판할 수준도 안되고, 그만한 돈도 없네요;;
  • 작성자 centurion 작성시간10.01.21 진짜 소름끼치네...... 지뢰지대를 몸으로 돌파... 정말 군인이라기 보다는 전사인듯. 저런 지휘관을 둔 병사들이 강하지 않은게 오히려 이상하겠죠.
  • 작성자 카이사르 마그누스 작성시간10.02.15 바사예프도 다리를..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