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대학교는 90년대 중후반에 가장 역동적으로 발전하던 시기였습니다. 정부가 지원하는 연구개발센터를 공대교수님들 중심으로 수도권 여타 대학들과 경쟁하여 두개(RRC, TIC)의 센터를 유치하였고 열심히들 연구하여 최우수센터로도 선정되어 10여년간 정부 지원받으면서 수십억원 대의 연구 기자재들을 확보하여 수원대에 외부인사 방문시에 단골 튜어코스에 들어 갔었지요. 그리고 정부 지원이 끝나서도 센터를 자립 운영할 수 있게 센터 장비들을 이용하여 분석비와 장비임대료 등을 받아 20억원 이상을 적립해 두었었는데 이를 학교 본부에 반납하게 하고 연구센터를 폐쇄한 장본인이 이인수총장입니다..
1.
그러니까, 이인수가 그런 사건이 있은 후 자신이 이사장과 학원장 등을 거치면서 십여년이 넘도록 공과대학의 실험실습기자재비를 일체 지출하지 않고 등록금적립금으로 쌓아둔 것과 연계되는 부분입니다. 그는 학교의 발전은 커녕 교육과 연구에 대한 일체의 관심이 없고 오래전부터 오로지 돈을 밝히는 데만 관심이 있음이 드러난 것입니다.
2.
그러는 과정에서 공대교수들이 외부로부터 연구비를 받아오면 그것을 등쳐먹는 과정에서 순수한 교수들의 인권을 유린해온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교수인권에 대한 핍박은 노예계약과 같은 교수계약제로 이어졌음도 드러났습니다. 언어도단의 행패입니다. 교협이 시작되는 동기 가운데 바로 이러한 인권문제가 심각하게 도사리고 있습니다.
3.
다시 문제의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1970년대말 학교설립기에 "리라국민학교" 재단이 운영하던 땅을 공사대금으로 헐값으로 인수받은 이후 정부의 사학육성정책에 힘입어 거의 등록금에 의존해서 학교발전이 이루어졌는데,
선대 설립자이자 이사장이자 총장이셨던 고인 이종욱은 독재는 했을망정 기본적인 상식은 지켰던 분입니다. 등록금 가지고 장난도 치지 않았지요. 교육사업의 본질은 교권의 존중에 있다는 것도 잘 알고 있었고요.
4.
그런데 90년대말부터 고인 이종욱이 병상에 쓰러지면서 학교경영을 도맡았던 차남 이인수는 완전히 다른 사람입니다. 이 자는 스스로 장사꾼이라고 칭하면서, 처음부터 이런 식의 막장경영을 해왔던 것입니다. 교협이 생기면서 이러한 막장경영을 어렴풋이 짐작했던 것이, 이제 몰랐던 사실이 속속 드러남으로써 온 세상이 알게 되었습니다.
5.
돌이켜 보면 수원시에서 한참떨어진 시내버스도 안다니던 시골구석의 당시 땅값이란 게 얼마나 되었겠습니까? 그런 정도의 투자만 하고서 이후로는 등록금 받아서 건물짓고 세력을 불리고 이인수자신의 말처럼 로비를 해서 땅짚고 헤엄치기식의 경영을 해온 것이나 다름 없다는 전모가 이제 파악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흐름이 용인된 것은 그동안 정부의 용인이 큰 몫을 해온 것이고, 국민들의 교육열에 따른 희생이 밑거름이 되어 온 것입니다.
6.
그 결과가 학생들 교육과 그를 위한 연구에 투입되어야 할 돈, 4500억원이 지금 쌓여 있는 것입니다. 이 돈은 수백억원에 달하는 개인기업(이인수 일가의) 특혜대출(이자율 3.9%)의 몸통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다른 학교의 적립금은 기부받아서 쌓아놓은 것인데, 이인수는 학생들 등치고 교수들 등치고 결국 학부모들의 고혈을 빨아서 쌓아 놓은 것입니다. 얼마나 등을 쳤길래 이 천문학적인 돈이 쌓여 있는 것일까요?
7.
소중하고도 소중한 청춘의 황금기에 자부심으로 가득해야 할 학창시절이 이런 범죄로 먹칠당했습니다.
졸업생들의 상처는 얼마나 크겠습니까? 이는 수원대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범죄요, 민족의 미래를 망친 범죄입니다. 더 이상 계속되는 것을 방관할 수 없는 범죄입니다.
8.
정부는 사학의 이런 부정을 막고자 이사회운영의 투명성과, 대학평의회의 민주적 구성을 통해 합리적 운영을 하도록 규정해놓았지요. 그는 이런 제도조차 깡그리 무시해왔습니다. 이사회를 얼마나 엉터리로 운영해왔느냐 하면, 이사 가운데 사망한 사람이 회의에 참석한 것으로 버젓이 기록할 정도입니다. 그외에도 그는 그가 그 자리에서 저지를 수 있는 모든 악행을 저질러 왔다는 것이 지금 드러나고 있습니다. 이런 일들이 아무 간섭없이 서슴없이 자행되어 왔다는 것이 너무 놀랍습니다.
9.
이인수는 반국가적 반민족적 범죄자입니다. 그를 비호하는 일은 그러한 범죄를 비호하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1.
그러니까, 이인수가 그런 사건이 있은 후 자신이 이사장과 학원장 등을 거치면서 십여년이 넘도록 공과대학의 실험실습기자재비를 일체 지출하지 않고 등록금적립금으로 쌓아둔 것과 연계되는 부분입니다. 그는 학교의 발전은 커녕 교육과 연구에 대한 일체의 관심이 없고 오래전부터 오로지 돈을 밝히는 데만 관심이 있음이 드러난 것입니다.
2.
그러는 과정에서 공대교수들이 외부로부터 연구비를 받아오면 그것을 등쳐먹는 과정에서 순수한 교수들의 인권을 유린해온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교수인권에 대한 핍박은 노예계약과 같은 교수계약제로 이어졌음도 드러났습니다. 언어도단의 행패입니다. 교협이 시작되는 동기 가운데 바로 이러한 인권문제가 심각하게 도사리고 있습니다.
3.
다시 문제의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1970년대말 학교설립기에 "리라국민학교" 재단이 운영하던 땅을 공사대금으로 헐값으로 인수받은 이후 정부의 사학육성정책에 힘입어 거의 등록금에 의존해서 학교발전이 이루어졌는데,
선대 설립자이자 이사장이자 총장이셨던 고인 이종욱은 독재는 했을망정 기본적인 상식은 지켰던 분입니다. 등록금 가지고 장난도 치지 않았지요. 교육사업의 본질은 교권의 존중에 있다는 것도 잘 알고 있었고요.
4.
그런데 90년대말부터 고인 이종욱이 병상에 쓰러지면서 학교경영을 도맡았던 차남 이인수는 완전히 다른 사람입니다. 이 자는 스스로 장사꾼이라고 칭하면서, 처음부터 이런 식의 막장경영을 해왔던 것입니다. 교협이 생기면서 이러한 막장경영을 어렴풋이 짐작했던 것이, 이제 몰랐던 사실이 속속 드러남으로써 온 세상이 알게 되었습니다.
5.
돌이켜 보면 수원시에서 한참떨어진 시내버스도 안다니던 시골구석의 당시 땅값이란 게 얼마나 되었겠습니까? 그런 정도의 투자만 하고서 이후로는 등록금 받아서 건물짓고 세력을 불리고 이인수자신의 말처럼 로비를 해서 땅짚고 헤엄치기식의 경영을 해온 것이나 다름 없다는 전모가 이제 파악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흐름이 용인된 것은 그동안 정부의 용인이 큰 몫을 해온 것이고, 국민들의 교육열에 따른 희생이 밑거름이 되어 온 것입니다.
6.
그 결과가 학생들 교육과 그를 위한 연구에 투입되어야 할 돈, 4500억원이 지금 쌓여 있는 것입니다. 이 돈은 수백억원에 달하는 개인기업(이인수 일가의) 특혜대출(이자율 3.9%)의 몸통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다른 학교의 적립금은 기부받아서 쌓아놓은 것인데, 이인수는 학생들 등치고 교수들 등치고 결국 학부모들의 고혈을 빨아서 쌓아 놓은 것입니다. 얼마나 등을 쳤길래 이 천문학적인 돈이 쌓여 있는 것일까요?
7.
소중하고도 소중한 청춘의 황금기에 자부심으로 가득해야 할 학창시절이 이런 범죄로 먹칠당했습니다.
졸업생들의 상처는 얼마나 크겠습니까? 이는 수원대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범죄요, 민족의 미래를 망친 범죄입니다. 더 이상 계속되는 것을 방관할 수 없는 범죄입니다.
8.
정부는 사학의 이런 부정을 막고자 이사회운영의 투명성과, 대학평의회의 민주적 구성을 통해 합리적 운영을 하도록 규정해놓았지요. 그는 이런 제도조차 깡그리 무시해왔습니다. 이사회를 얼마나 엉터리로 운영해왔느냐 하면, 이사 가운데 사망한 사람이 회의에 참석한 것으로 버젓이 기록할 정도입니다. 그외에도 그는 그가 그 자리에서 저지를 수 있는 모든 악행을 저질러 왔다는 것이 지금 드러나고 있습니다. 이런 일들이 아무 간섭없이 서슴없이 자행되어 왔다는 것이 너무 놀랍습니다.
9.
이인수는 반국가적 반민족적 범죄자입니다. 그를 비호하는 일은 그러한 범죄를 비호하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그를 돕는 것은 나라와 민족을 망치는 일입니다.
이것이 지금 수원대 문제의 본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