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CK 모드 게시판

[CK2 모딩 팁]내멋대로 쓰는 Crusader King 2 모딩 매뉴얼 (12) 마이너 타이틀 모딩 - 개정판 (2015/06/13 수정)

작성자tacitus|작성시간15.02.16|조회수1,535 목록 댓글 3

내멋대로 쓰는 Crusader Kings 2 모딩 매뉴얼 - 개정판

6. 마이너 타이틀

모딩에서 가장 큰 주제이고 또 그만큼 중요한 항목인 디시전과 이벤트에 대한 설명을 지난 회로 끝마쳤습니다. 그 과정에서 모딩에서 자주 쓰이게 되는 중요한 개념들이나 명령어들, 조건문들도 함께 살펴봤었지요.

그런데, 실제 플레이어들의 모딩 경향을 살펴보면 재미있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대부분의 유저들은 본격적인 모딩을 하기보다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특정한 문화권이나 특정한 세력의 강화 내지 약화를 위해, 혹은 플레이어가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치트성 요소들의 사용을 위해 모딩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플레이어들에게는 지금까지 다루었던 내용들은 사실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만 도움이 됩니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모드 파일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는 정도의 수준에서만 도움이 되는 거죠. 오히려 이런 분들에게는, 지금부터 다룰 각 세부 항목들의 모딩에 관한 내용들이 더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직접적인 버프/디버프를 줄 수 있는 항목들이기 때문이죠.

이제부터 쓰는 내용들은 각론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지금까지와 같은 아주 자세한 설명을 부가해야 할 내용들은 거의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미 알고 계신 배경지식이 상당하기 때문에, 그 부분을 상기시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이해가 되실 테니까요. 다만 그래도 설명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최대한 자세히 설명을 하겠습니다.

(1) 서설

게임상에서는 칭호 내지는 명예로운 칭호로 표현되는 그것이 바로 마이너 타이틀입니다. 사실 이 쪽은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 부분이라, 플레이를 하시는 분들도 이 쪽에는 크게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CKII 게시판에 올라오는 연대기는 꼼꼼하게 다 챙겨보고 있는데, 이걸 모티프로 스토리를 가져가시는 분은 한 분도 안 계시더라고요. ^^)

하지만, 이쪽도 쓰기에 따라서는 꽤 만족스러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그 효과라는 것이 다른 것들 - 모디파이어라든가, 트레잇이라든가 - 을 통해서도 달성할 수 있는 게 대부분이라는 게 슬픈 일이지만요. 얼마나 쓸데가 없으면 위키에도 페이지가 없겠어요.

제 모드를 실행해보신 분이라면, 제가 마이너 타이틀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확인하셨겠죠. 마이너 타이틀 네 개를 추가해서, 이들이 없으면 이벤트를 실행할 수 없도록 만들어 놨죠.

(2) 마이너 타이틀의 위치 및 구조

■ 마이너 타이틀 설정 파일의 위치

원본의 마이너 타이틀은 /common/minor_titles/00_minor_titles.txt 에 있습니다. 물론 우리는 늘 그랬던 것처럼, 이 파일은 건드리지 않을 겁니다. 새로운 항목을 추가해 보실 분은, 모드 폴더에 common/minor_titles 폴더를 만드시고, 앞에 숫자를 적당하게 고치셔서 minor_titles.txt 를 하나 만들어 두십시오.

■ 마이너 타이틀 항목의 구조

1) 개관

뭐, 원본 파일을 그래도 열어보긴 해야죠. 그래야 뭘 어떻게 만들지 아니까요. 원본에서 예시 항목을 하나 뽑아봤습니다.

title_appointed_regent = {
  dignity = 0.9
  grant_limit = 1
  opinion_effect = 20
  revoke_allowed = yes

  monthly_salary = 0.05
  monthly_prestige = 0.02

  allow = {
    is_adult = yes
    prisoner = no
    has_regent = no
    FROM = {
      has_regent = no
    }
  }

  gain_effect = {
  }

  lose_effect = {
  }
}

원본 파일에서 위에서 두 번째에 있는 녀석, 지명 섭정(...)을 보기로 가져와봤습니다. 이 예시를 통해서 우선 구조를 간단히 확인해 보겠습니다.

  • 우선 디시전 등에서와 같이, 마이너 타이틀의 이름을 먼저 정해줍니다. 위 구조에서는 title_appointed_regent 가 바로 이 마이너 타이틀의 이름(ID)이 되죠. 이젠 당연한 이야기가 되겠지만, 이 이름은 모드에서 마이너 타이틀을 호출하는 ID가 되고, 또 언어 파일에서는 이 마이너 타이틀의 표시 이름을 찾기 위한 메시지 ID가 됩니다. 해당 부분의 언어 파일을 잠깐 열어 보죠. 익숙하실 겁니다.
title_appointed_regent;지명 섭정;;;;;;;;;;;;x;
title_appointed_regent_desc;필요할 때가 되면 이 인물은 섭정이 될 것입니다.;;;;;;;;;;;;x;

해당 마이너 타이틀의 설명도 적을 수 있도록 _desc 도 지원합니다. 임명 창에서 마이너 타이틀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저 설명이 출력이 되겠지요.

  • 가장 먼저 정의하는 내용들은 이 마이너 타이틀의 속성에 관한 내용들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볼 겁니다.

  • allow = { } 은, 이 마이너 타이틀을 받을 수 있는 캐릭터의 조건을 정의하는 섹션입니다. 디시전에서의 potential = { } 또는 allow = { } 와 같습니다.

참고로, allow = { } 섹션 내에서 FROM 스코프는 플레이어를, ROOT 스코프는 타이틀을 받을 가신 내지 봉신을 의미합니다. 어쩌면 당연한 이야기죠.

  • gain_effect = { } 는, 이 타이틀이 주어졌을 때 그 캐릭터에게 어떤 효과를 줄 것인지를 정의합니다. 캐릭터 스코프이므로 캐릭터 스코프에 적절한 명령어를 작성해서 적당히 적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이 곳도 FROM 스코프는 플레이어, ROOT 스코프는 해당 타이틀을 받은 가신입니다.

FROM 스코프를 먹고 들어간다는 건, 누군가에게 이 타이틀을 수여했을 때, 플레이어 본인에게도 무언가 효과가 돌아가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lose_effect = { } 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타이틀을 잃었을 때 (간단히 말해서 잘렸을 때) 이 섹션에 부가된 효과가 나타납니다. FROM 과 ROOT 는 위와 같습니다.

  • 예시된 항목에는 없지만, message = yes/no 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이 타이틀이 주어졌을 때에 당사자에게 메시지로 알릴지 말지를 결정합니다. 플레이어가 봉신 플레이를 하면서 주군으로부터 이 타이틀을 받는 것이 아닌 이상 큰 의미는 없습니다.

2) 마이너 타이틀의 속성

이제 위에서 넘겼던, 마이너 타이틀의 상단에 정의하는 각종 속성 항목들을 설명드릴 차례입니다. 이 내용들은 마이너 타이틀의 핵심이라고까지는 할 수 없지만, 이 마이너 타이틀의 특징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내용들입니다.

  • dignity : 이 타이틀이 상징하는 위엄(존엄)을 의미합니다. 모든 AI 는 조금이라도 더 존엄한 타이틀을 자신의 메인 타이틀로 내세우려 합니다. (그러나 show_as_title 이 yes 가 아닌 한 별로 의미는 없어 보입니다.) 0~1 사이의 적당한 값으로 정해 주세요.

  • grant_limit : 이 마이너 타이틀을 가질 수 있는 최대 숫자를 의미합니다. 설정하기 나름이지만, 저는 1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희소한 게 좋잖아요? 이 값은 반드시 설정해야 합니다. 설정하지 않으면 목록에 나타나지 않더군요.

  • is_unique = yes : 유니크 타이틀입니다. 보통 마이너 타이틀은 한 캐릭터에게 여러 개 줄 수 있지만, 유니크 타이틀은 1캐릭터당 1개밖에 줄 수 없습니다.

  • opinion_effect : 이 타이틀을 수여받은 캐릭터와 주군과의 관계도 보너스입니다. 명예를 줬으니 당연히 충성을 다 바쳐야죠. 후훗.

  • realm_in_name = yes : 타이틀 이름 뒤에 국가의 이름이 들러붙습니다. (한글 패치 버전에는 앞에 붙습니다. ~~~의 ~~~~ 하는 식으로.)

  • show_as_title = yes : 캐릭터 정보 창에 사람 이름 앞에 타이틀이 붙습니다. (마치 어디어디의 왕 누구 하듯이 어디어디의 뭐시기 누구 이렇게 나옵니다.)

  • revoke_allowed = no : 이 타이틀의 리보크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숨은 뜻은, 타이틀을 받은 캐릭터가 마음대로 사임할 수 없다는 의미인 듯합니다.)

  • counts_as_purple_born = yes : 비잔틴의 데스퍼트 타이틀에만 존재하는 옵션으로, 이 타이틀을 가진 자는 비잔틴의 퍼플본(자줏빛 출생자)로 여겨진다는 표시입니다. (아마도 자줏빛 출생 트레잇과 비슷한 효과를 갖는 것 같습니다.)

  • monthly_prestige : 이 타이틀로 인해 매달 얻게 되는 명예 수치를 정합니다.

  • monthly_salary : 이 타이틀로 인해 매달 얻게 되는 봉급을 정합니다.

  • patrician_heir = yes : 공화정에서 사용되는 타이틀로, 이 타이틀을 가진 자는 계승 예정자로 간주됩니다.

  • spouse_context = yes : 원본에서 단 한 군데(title_ruler_consort)에서만 사용됩니다. 이것이 설정되면 이 타이틀을 가진 자가 배우자와 유사한 지위를 갖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것은 게임에서는 첩에게 주어지는 마이너 타이틀이죠. 그냥 그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실제 모딩에서 사용할 일이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정말 마이너 타이틀에 관한 한, 너무 정보가 없습니다만, 어떻게든 긁어모아 보았습니다.

(3) 끝!

네. 끝입니다. 더 무슨 말을 하겠습니까. 마이너 타이틀이 가지는 형식적인 요점은 이게 끝입니다. 여기에 어떤 살을 붙여서 스토리를 만들지는 모드를 만드는 분들의 몫입니다.

마이너 타이틀의 활용 가능성을 따져 본다면, 마이너 타이틀은 대부분 각각의 렐름에서 1명만 얻을 수 있는 타이틀이기 때문에, 모드 내에서 간단한 조건식으로 특정한 캐릭터가 손쉽게 타겟팅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특정한 캐릭터에게 가상의 역할을 부여하고 거기에 맞추어 무언가를 디자인하기 좋습니다. 물론 이건 이야기꾼들에게나 환영받을 만한 일이겠죠.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시루오 | 작성시간 18.02.09 새로운 종류의 지휘관을 만들고 싶은데 title_commander 부분을 봐도 무엇이 지휘관의 역활, 즉 부대를 지휘하게 만드는 것인지 감이 잡히지가 않네요. ㅠㅠ
  • 답댓글 작성자tacitus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8.02.10 title_commander 그 자체가 특수 타이틀입니다. 즉 그 이름 자체가 내부적으로 하드코딩되어 있는 것이지요.
  • 답댓글 작성자시루오 | 작성시간 18.02.11 아하, 그래서 안보였던 거로군요? ㅠㅠ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CK 모드 게시판 다른글

현재페이지 1234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