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과학교육론

긍정적 발견법 / 부정적 발견법

작성자생물T|작성시간22.10.11|조회수455 목록 댓글 13

변칙사례가 제시되었을 때, 이를 무시하거나 임시변통적 가설을 제시하여 설명하려는 것은 부정적 발견법으로 알고 있습니다. 정확히 임시변통적 가설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검증 불가한 내용들을 가설로 제시(예를들면 생기력이
있어서 그러하다 등) 하는 것은 임시변통적 가설이 맞는 것 같습니다.

다만 그럴듯한 가설을 제시했는데 변칙사례를 설명하지 못하는 가설은 결국 임시변통적 가설로 취급하여 부정적 발견법에 해당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빛날 | 작성시간 22.10.11 빛날 새로운 현상을 예측하는데 실패해서 퇴행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생물T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10.11 빛날 아 이해가 잘 되었어요ㅎㅎㅎ
    바쁜시간 내주셔서 감사해요!
  • 작성자kbkbkb | 작성시간 22.10.11 저도 글쓴이분과 헷갈리는게 비슷합니다ㅜ
    가령 주기율표의 아르곤을 예외로 치는건 긍정적인가요 부정적인지 애매한것같아요
  • 답댓글 작성자막판스퍼트 | 작성시간 22.10.11 예외로 치는건 부정적 아닐까요?
    변칙사례를 무시, 예외로 인식하는거니까요..?
  • 답댓글 작성자빛날 | 작성시간 22.10.11 요것도 부정입니다.
    긍정의 경우에는 보호대를 수정 보완해서 과학적으로 아르곤을 설명해야하는데
    아르곤을 설명하지 못해서 예외로 취급하니 부정에 가깝습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