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긍정적 발견법 부정적 발견법

작성자2023화학| 작성시간22.10.28| 조회수432| 댓글 7

댓글 리스트

  • 작성자 지니예오 작성시간22.10.28 넵. 예를 들자면 지구과학에서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을 지지하기 위해 주전원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행성의 역행을 설명했습니당
    주전원은 틀린 것이지만 과학적인 설명으로 보호대를 수정하여 천동설을 지지했기 때문에 긍정적 발견법으로 봅니당
  • 답댓글 작성자 2023화학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2.10.28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작성자 지구과대장 작성시간22.10.28 해왕성을 발견한 방법과 수성의 이상 공전궤도를 설명하기위한 벌컨의 도입은 같은 방법입니다 둘다 결과는 다르지만(해왕성은 발견해서 맞다고 밝혀지고 벌컨은 발견되지 못했습니다) 과학적 근거로 변칙사례(특이한 공전궤도)를 설명하려했으므로 긍정적 발견법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지구과대장 작성시간22.10.28 https://m.cafe.daum.net/S2000/63o/9335?searchView=Y
    다른 분들도 질문했더군요
  • 작성자 ㄱㄱㅁㄹ 작성시간22.10.28 긍정적 발견법과 부정적 발견법의 차이는 태도에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누군가 반론을 제기했을 때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이론이나 적절한 초기조건을 보호대로 놓으면 설명이 명확히 되기 때문에 연구프로그램의 전진에 기여하는 긍정적 발견법이고,

    누군가 반론을 제기했을 때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예를 들어 '플로지스톤의 질량이 음수'라는 등 검증 불가능하고 무리한 가설(ad hoc)을 보호대로 놓으면 이것들은 연구프로그램의 퇴행에 기여하기에 부정적 발견법인 것입니다.
  • 작성자 지구과대장 작성시간22.11.09 물리 2014 3교시 서술형 1번보면 될겁니다
    민수는 틀린 주장을 하고있지만 변칙사례를 무시하지않고 과학적으로 설명했으므로 긍정적발견법입니다 그 주장이 틀리던 맞던 상관이 없습니다 방법론이니까요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지구과대장 작성시간22.11.09 이건 ㄱㅇㄱ 답입니다
    반면 영희는 변칙사례를 무시하고 있으므로 부정적 발견법입니다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