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과학교육론

라카토스 연구프로그램 개념변화 한계

작성자플초장인|작성시간22.11.03|조회수435 목록 댓글 8

물리 기출문제인데 3번째 문제 답이 궁금해서요 ㅠㅠ
한계점이 '부정적 발견법 사용'에서 비롯된건지 '긍정적, 부정적 발견법 둘 다'에서 비롯되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학생이 갖고있는 핵은 '정전기 유도가 일어나려면 전기가 통하는 도체여야 한다'인 것 같은데..
시범실험을 하고 나서
'유리같은 부도체도 정전기 유도가 일어날 수 있다'로 바뀐 것이 아니고
'유리도 도체이다'라고 바뀐 걸 보고
핵을 포기하지 않으려다 보니까 틀린 지식을 갖게 될 수 있다는게 한계인가 싶었거든요..
(제가 물리 전공은 아니지만 유리는 부도체 아닌가요...!?!)

그래서 부정적 발견법에 초점을 두고 한계를 쓰려다 보니까
노란색 문제는 또 긍정적 발견법을 사용한 것 같아서요..
보어 초기 모형으로 설명할 수 없는 사례를 환산 질량과 상대론적 효과를 반영하면서 정교화했다는걸 보고....

서치도 해보고 친구랑 얘기도 해보았는데 저한테 좀 어려워서 질문 남깁니다 ㅠㅠㅠ
3번째 물음 자체에 대해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플초장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11.03 불사 아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임시변통적 가설이 뭔지 다시 공부해야겠네요!
  • 작성자화학퍼플 | 작성시간 22.11.03 - <자료1> 초기조건을 부정하며 핵을 보호하려 했으므로 부정적 발견법
    - <자료2> 긍정적 발견법
    - 연구에서 긍정적 발견법을 추구해야한다.

    <자료1>의 부정적 발견법보다는 보어사례의 긍정적 발견법을 추구해야한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플초장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11.03 아...!! 긍정적 발견법을 추구해야 한다는 말을 들으니 이해가 좀 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작성자ㄱㄱㅁㄹ | 작성시간 22.11.04 유리가 도체라는 보조가설은 우리가 보았을 땐 터무니없지만, 학생은 이전에 유리가 도체가 아님을 증명한 적이 없기 때문에 타당한 보조가설일 수 있습니다. 유리가 도체가 아니라는 실험을 통해 보호대를 파괴하는 것이 바람직하죠.
  • 답댓글 작성자플초장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11.04 오오... 덕분에 이해됐어요 감사합니다 ㅠㅠㅠ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