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밤이슬을 맞으며

브레이크 말인데요

작성자착호갑사|작성시간24.06.01|조회수584 목록 댓글 15

저는 화물차를 오래해서 풋브레끼가 버릇되서 자가용도 그리 하거든요 근데 오늘 손이 그러는 거에요 왜?브레끼를 밞았다 뗬다 밞았다 뗬다 하냐고 잘못 된건가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착호갑사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4.06.01 요즘은 거의 오토라 엔진브레끼가 필요없죠
  • 답댓글 작성자마법의 성 | 작성시간 24.06.01 착호갑사 오토나 수동이나 엔진브레이크는 써요. 엑셀에서 발 빼면 엔진브레이크는 작동되요.
  • 작성자개털짱군 | 작성시간 24.06.01 전 수동 못하니까
    엔진 브레이크 모르죠ㅋ
  • 작성자드리프트맨 | 작성시간 24.06.02 승용차의 경우
    눈길, 빗길이나 내리막길에서
    기어를 저단으로 낮추는 엔진 브레이크 쓸 것 아니라면
    풋 브레이크를 나눠서 밟을 필요는 없습니다.

    화물차도 브레이크 나눠 밟는 것보다는
    평소 엔진 브레이크를 버릇처럼 사용하는 게 안전합니다.

    오토매틱 기어도 패들 시프트의 +, -를 이용하여
    엔진 브레이크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패들 시프트가 핸들에 붙어 있는 경우도 있고(고급차들),
    오토 기어에 장착된 경우도 있고(+, - 표시),
    옛날 차들은 3, 2, L(=1단)처럼 표시된 경우도 있어서 다양합니다.

    풋브레이크는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려서
    핸들이 좌우로 돌아간 상태에서 급히 밟으면
    차가 빙 돌거나 전복됩니다.

    하지만 엔진 브레이크로 저단 기어를 넣으면
    무게가 네 바퀴에 비교적 고루 분산되기 때문에
    미끄러짐이나 전복될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내리막에서 무조건 저단이 안전합니다.
    그러면 풋 브레이크를 살짝만 밟아도 되지요.

    다만, 엔진 브레이크를 습관처럼 사용하면 안전하기는 해도
    당연히 RPM이 높으니 연비가 좋지 않죠.

    그러므로 평소 엔진 브레이크 사용이 필요없도록
    내리막길이나 곡선주로를 도착하기 전
    미리 미리 감속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드리프트맨 | 작성시간 24.06.02 한 가지 착각하면 안 되는 것은
    '엔진 브레이크가 풋 브레이크보다 안전하다'는 말의 의미는
    어디까지나 같은 속도일 때 상대적으로 방법 상 안전하다는 의미이니
    그거 믿고 과속하면 의미가 없어지지요. :-)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