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장은 상식과 달리
고위도는 장일이고 저위도는 단일이다...
https://blog.naver.com/sang950225/221642514888
위 내용 숙지하고 별 문제 없이 공부하다가
콩 파트에서 턱하고 막혔어요.
1시간 동안 책 붙잡고 있는데 완벽히 이해 못 하고 이렇게 질문 올립니다.
질문 들어갑니다.
질문1
하대두형(단일)은 고위도 적응형이다. 라고 하는데
고위도는 장일이라고 했는데
왜 고위도에 하대두형(단일식물)이 나오는지...
한계일장이 짧다는 장일식물 추대두형이 나오는게 맞는 거 아닌지...
(근데 추대두형은 장일식물인데 왜 감광성이 높다고 돼 있지? 아...돌겠네요)
질문2
콩은 자연포장에서
한계일장이 긴 품종일수록 개화가 빨라지고
한계일장이 짧은 품종일수록 개화가 늦어진다
why?
한계일장이 길면 단일식물이라 감광성이 크고 그래서 늦게 개화하는 만생종일테고
한계일장이 짧으면 장일식물이라 감온성이 크고 그래서 빨리 개화하는 조생종일텐데
그러면 당연히 한계일장이 '짧은' 품종이 개화가 빨라진다고 해야 하는 거 아닌가
질문 3
저기 표에는 또 왜 생육기간이 반대로 나와있나...
옆 페이지에서는
'고위도일수록 일장에 둔감하고 생육기간이 '짧은' 하대두형이 재배되고 저위도 일수록 감광성이 높고 만생종이 재배된다'고 해놓고
왜 표에서는 갑자기 대립종-하대두 칸에 '생육기간이 길고' 라고 써있는건지....
+ 책 사진이 번잡해보여서 추가 사진 올립니다.
+ 질문2에 대한 추가 질문
콩은 단일식물인데
한계일장 긴 품종은 단일 식물이니까 스타일 맞으니까 빨리 개화
한계일장이 짧은 품종이면 장일품종이니까 스타일 안 맞으니까 늦게 개화
이렇게 생각하면 맞는건가...요 휴
살려주십쇼
댓글
댓글 리스트-
답댓글 작성자넥서스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 21.11.14 저 포스트잇 떼버려야 겠네요
그냥 한계일장 = 낮의길이로 생각하겠습니다...
여태
유도일장 <ㅡ> 한계일장,비유도일장
이렇게 생각했는데
이제
유도일장,한계일장 <ㅡ> 비유도일장
이렇게...
덕분에 중요한 부분 체크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나비나님! 편안한 주말 보내세요 -
답댓글 작성자나비나 작성시간 21.11.15 넥서스 정확히 따지자면 한계일장보다 짧은 일장에서 개화하는 것이 단일식물이고 한계일장보다 긴 일장에서 개화하는 것이 장일식물이에요
아마 장일식물은 한계일장이 단일측에 있고 단일식물은 한계일장이 장일측에 있다 이걸 보고 헷갈리신거같은데요
그냥 장일식물은 한계일장보다 단일조건에서 개화를 '못' 하고 단일은 한계일장보다 장일조건에서 개화를 '못' 한다는 뜻입니다 한계일장 자체가 단일이냐 장일이냐랑은 다른의미죠
근데 저런 설명을 안좋아하는게 한계일장 자체는 유도와 비유도일장의 경계인데 저런식으로 설명하면 헷갈리기 쉬워서...저건 비유도일장에 대한 설명에 더 적합하다고 봐요
최적, 유도일장과 비교되는 조건으로 한계일장이 나올땐 한계일장을 비유도일장 측에서 보면 될거같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넥서스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 21.11.15 나비나 왜 다시 그렇게 이해하라고 하쉽니꽈ㅠㅠ 그러면 어려워져요~
그냥
한계일장 = 낮의 길이로 이해하면 안돼요?
글구...
여름콩이 대립종 맞대요.... 그러면 저 생육기간이 짧다고 해놓고
입중의 지역분포 표에 생육기간이 길다는 건 책이 잘못된거라고는 설명이 안되는데...
블로그가 틀린건지...기본서가 잘못된건지..하이미지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