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 넥서스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1.11.14 와 거의 이해될 거 같습니다...
결국 제가 필기를 저따구로 해놔서 이 지경까지 온 거 군요
질문1.
그러면 필기를 하대두형은 장일이라고 고쳤다 칩시다.
아 그럼이제 장일이니까 하대두형이 감온성이고 일찍 개화해서 고위도 적응형이다...이것까진 이해가 가요
네...그런데~!
제가 아직도 헷갈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 한계일장이 길다~ 짧다 ' 이 부분인데요
제가 필기 해놓기를 장일식물이면 한계일장이 짧고 단일식물이면 한계일장이 길다' 라고
저렇게 포스트잇에 필기를 해놨는데... 한계일장이 길면 장일식물이라니... 이건 아직도 이해가 안 가네요
(초가사랑에 예전에 질문 올린 글에 답글 달린 거 보고 필기해놨었네요)
(https://cafe.daum.net/chogasarang/tgZ/50520) < 댓글대로...
제 생각엔
유도일장이 장일이면 장일식물이고
이 식물의 비유도일장은 단일이고 '한계일장도 단일'인데 말입니다...
한계일장 '보다' 길다
라고 하면 장일식물인게 이해가 한 번에 확 가겠는데
한계일장'이 길다'고 하니까
저 포스트잇도 그렇고 단일식물로 필기해놨나 봅니다
이 부분 좀 보충설명 가능할까요
-
답댓글 작성자 나비나 작성시간21.11.15 넥서스 정확히 따지자면 한계일장보다 짧은 일장에서 개화하는 것이 단일식물이고 한계일장보다 긴 일장에서 개화하는 것이 장일식물이에요
아마 장일식물은 한계일장이 단일측에 있고 단일식물은 한계일장이 장일측에 있다 이걸 보고 헷갈리신거같은데요
그냥 장일식물은 한계일장보다 단일조건에서 개화를 '못' 하고 단일은 한계일장보다 장일조건에서 개화를 '못' 한다는 뜻입니다 한계일장 자체가 단일이냐 장일이냐랑은 다른의미죠
근데 저런 설명을 안좋아하는게 한계일장 자체는 유도와 비유도일장의 경계인데 저런식으로 설명하면 헷갈리기 쉬워서...저건 비유도일장에 대한 설명에 더 적합하다고 봐요
최적, 유도일장과 비교되는 조건으로 한계일장이 나올땐 한계일장을 비유도일장 측에서 보면 될거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