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우리들의 이야기

* 상대성 관성계 비관성계 관성속도 가속도 시간팽창 고유시간 물리현상 물리법칙 오류 2 *

작성자cjk2000|작성시간23.02.24|조회수56 댓글 1

* 상대성 관성계 비관성계 관성속도 가속도 시간팽창 고유시간 물리현상 물리법칙 오류 2 *


1. 특수상대성이론 에서 시간팽창.

우주에서 속도 변화가 전혀 없는 정지관성계,모든 등속관성계 에서 시간팽창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물체의 등속 관성속도 (속도변화가 전혀없는),(속도가 일정한)만으로는 등속 관성계 에서 어떠한 시간팽창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2. 일반상대성이론 에서 시간팽창.

우주에서 알짜힘(가속에너지)으로 가속하는 비관성계 물체에서는 가속도크기에 비례해서 가속중력(관성력)이 발생합니다

오직 등속 관성이동만하는
관성계 물체에서는 등속 관성속도만으로는 어떠한 가속중력(관성력)도 전혀 발생하지 않습니다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만물들은 거의(99.9.....%) 모두다 우주 절대 관성계입니다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만물들은 거의 모두다 관성계 이며 모든 관성계 에서는 동일하게 우주 절대 고유 시간이 흐릅니다

일반상대성이론
시간팽창은 우주에서 유일하게 알짜힘으로 가속하는
우주 비관성계에서 발생합니다

비관성계에서의 시간팽창
<1. 물체의 질량중력에 의한 시간팽창>
<2. 물체의 가속중력(관성력)에 의한 시간팽창 >

일반상대성이론
위 두가지 물리현상 질량중력,가속중력(관성력)에의해서
오직 비관성계에서 시간팽창은 발생합니다

우주 비관성계에서 시간팽창 발생
비관성계에서 물체의 중력,
물체의 가속중력(관성력)크기에 비례해서 비관성계 물체의 물리현상 속도가 느려집니다

일반상대성이론
우주 모든 비관성계 에서는
물체의 중력(질량,가속도)크기에 비례해서 물체의 물리 현상 속도가 느려집니다

우주 절대 고유 시간의 흐름은
우주끝에서 우주끝까지 우주 모든곳에서 동등하게 흐릅니다

비관성계에서 시간팽창
물체의 물리현상 속도가 더 느리게 더 천천히 흐르기 때문이며
우주 절대고유시간 흐름조차도 상대적으로 느려지게됩니다

사실은 정확하게 따지자면
우주 비관성계에서 시간팽창이 발생하는것이 아닙니다

우주 비관성계에서는
단지 물체의 물리현상 속도가 느려지는것 뿐입니다

우주 비관성계에서
(블랙홀을 제외)한 우주 대부분의 비관성계에서의 시간팽창의 크기는 겨우(수만분의 1초)정도밖에 발생하지 않습니다

우주에서
우주공간 끝에서 우주공간 끝까지
우주 어느 공간에서도(비관성계 제외)
우주 절대 고유 시간의 흐름은
항상 동등하게 흐릅니다



* 에너지 보존법칙 *

참조했습니다)...

http://foryourglory.tistory.com/17



에너지 보존법칙)...

<에너지의 형태>
에너지의 형태는 다양하다.

가장 기초적인 수준에서 보면 3종류의 에너지가 있다. 운동에 의한 에너지, 상호작용에 의하여 저장된 에너지, 그리고 정지에너지가 그것이다.

에너지 보존법칙을 적용하기 위하여 우리는 각각의 에너지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야 한다. 한꺼번에 모든 것에 적용할 수 있는 공식은 없다. 



<일정한 힘이 한 일>
에너지 보존법칙을 응용하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어떻게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변환될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한 가지 예를 들어보자. 220N의 트렁크를 4미터 높이로 들어 올린다고 가정하자. 도르래와 줄은 이상적이라 가정할 때 벽돌을 일정한 속력으로 들어 올리기 위해서는 줄에 220N의 힘을 가해야 한다.

이때 줄에 한 일을 W라고 부르며 일은 방향이 없는 스칼라양이다.

이 같은 표시는 문맥상에서 용도로 구별해야 한다. 무게는 힘의 차원을 갖지만, 일은 힘 곱하기 거리의 차원을 갖는다.

이러한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무게는 mg라 적고 일은 W로 나타낸다.

일과 에너지의 SI 단위는 뉴턴 미터이며 이것을 줄이라 부른다. 

어느 방법을 이용하든지 트렁크를 들어 올리기 위해서 줄에다 일해야 한다. 

우리는 이 경우 줄에 에너지를 공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해한다. 

일은 힘이 작용하여 물체가 움직일 때 일어나는 에너지의 이동이다.



<일의 총 양>
한 물체에 여러 힘이 작용할 때 한 일의 총 양은 각 힘이 한 일을 합한 것이다. 

일은 양, 음, 0의 값이 가능하며 일의 총 양이 어떤 한 힘이 한일보다 더 작을 수 있으므로 일의 총 양을 때로는 알짜 일이라고 부른다. 

회전운동이나 내부운동이 없는 강체라고가정할 때 일의 총 양을 다른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일률>
 때로는 에너지를 전달하는 비율이 중요할 때가 있다. 매일 사용하는 작은 경차가 대부분의 시간을 차고에서 보내는 고급 차보다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고급 승용차가 하는 일은 경차가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일한다.

곧 고급 차가 더 빠른 비율로 가솔린의 화학에너지를 차의 역학적 에너지로 바꾼다.

고급 승용차의 최대 역학적 에너지 출력이 더 크다. 우리는 전달 비율을 일률이라고 부른다.

평균 일률은 전달된 에너지의 양을 전달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나눈 것이다


저의 생각)...

* 위치에너지와 가속에너지의 상관 관계 *

참조했습니다 )...
https://91sw.tistory.com/m/20


그림예시 )
자유낙하하는 물체(떨어지는 물체)에는 중력이 작용하는데
물체가 떨어질 때 중력이 한일을 구할 수 있다.

중력이 한 일(J) = 중력(N) × 떨어진 높이(m)

예) 질량이 10kg인 물체가 10m 높이에서 떨어졌을 때 중력이 한 일의 양은?

일의 양(J) = 10kg × 9.8 × 10 = 980J
로 구할 수 있다.



저의 생각 )...

(위치에너지,<j>= 운동에너지,<j>)

질량이 (10kg)인 물체를
가속도 (9.8m/s^2 )로 가속시켜
이동거리 (10m) 많큼 이동켰을때의의 물체의 가속력이 한 일(운동에너지 총합)은

m(10kg) × a(9.8) × s(10 )= 980(J)
로 구할 수 있다.

에너지(E)j,일의 량(W)j ,운동에너지(Ek)j, 위치에너지(Ep)j= (m*a*s)j

지구 지상에서의
물체의 중력의 크기(9.8)와 가속도(9.8)의 크기가 서로 동일하다면
동일한 물체의 위치에너지(j)의 크기와, 운동에너지(j)의 크기는
항상 동일한 물리량(j)크기를 공유합니다




* 힘은 무엇일까요?*

참조했습니다 )...
https://noah-harari.com/m/5



현대물리학에서 에너지, 일 등 대부분 뉴턴의 제2 법칙인 '힘은 가속도에 비례하고 물체의 질량에 반비례한다'에서 시작합니다.

에너지는 힘의 관계식에서 파생되어 형태만 다를 뿐 대등한 관계입니다.  

그렇다면 힘은 무엇일까요? 
<<<힘은 물체의 운동 상태를 변화시키기는 영향력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축구를 하며 공을 찰 때나 물건을 들어 올릴 때, 문을 열거나 닫을 때도 힘이 필요합니다.

또한 어떤 물체든지 힘을 받으면 가힘은 무엇일까요?속도가 붙게 되는데,
우리가 달리기할 때 멈춰있는 상태에서 점점 더 빠른 속도로 달리게 되는 원리와 같습니다.

<<<물체의 가속도는 속도의 변화율로 물체가 받는 힘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무거운 물체를 들 때 가벼운 물체보다 더 많은 힘이 필요한 것과 같이 힘은 그 힘을 받는 물체의 질량과도 비례합니다. 


본문중에서 )...

그렇다면 힘은 무엇일까요? 
<<<힘은 물체의 운동 상태를 변화시키기는 영향력입니다.>>>

저의생각 )...

1.( F=m×a )물리법칙에서
물채의 질량(m)는 상수입니다

물채의 질량은 물체의 핵분열이 발생하기 이전까지는 우주 절대 불변의 상수가 맞습니다


2. < 힘은 물체의 운동 상태(속도)를 알짜힘(가속에너지)으로 변화(가,감속)시키기는 영향력입니다. >

3. 물체를 알짜힘으로 힘을 가하면
알짜힘의 크기에 비례해서
물체의 운동에너지(알짜힘의 총합)는 증가합니다
(알짜힘=가속에너지)

<<<물체의 가속도는 속도의 변화율로 물체가 받는 힘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 누가 정지하고 있는가?*

참조했습니다)
https://m.blog.naver.com/samsjang/40038446194


아인슈타인의 등가원리에 의하면 우리는 지금 이시간에도 가속운동중이다.

왜냐하면 지구 중력 가속
도가 우리에게 항상 작용하며, 이는 텅빈 우주공간을 지구 중력 가속도만큼의 크기로 계속 가속되는우주선에 있는 것이랑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 논리에 의하면 "누가 정지하고 있는가?" 라는 물음에 대한 답으로 "가속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사람"이라고 답을 해야한다.

지구에서 살아가는 우리
는 모두 가속운동상태이므로(왜냐하면 지구중력의영향에 항상 노출되어 있음) 우리는 정지하고 있는상태가 아니다.

정지하고 있는 사람은 누구일까?
정답은 지구 중력을 느끼지 않은 상태에 있는 사람,즉 자유낙하하고 있는 사람이 정지하고 있는 사람이다!

아인슈타인의 논리는 "중력에 저항하지 않는 한,물체는 중력을 느끼지 않으며, 이 물체는 정지상태에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는 간단한 사실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자유낙하하고 있는 물체가 있다면 자유낙하하는 물체가 진정으로 정지상태에 있으며, 이 물체에 대해
지구상의 모든 것들이 그 물체가떨어지는 반대방향(즉, 하늘방향)으로 가속운동 상태에 있는 것이다.


본문중에서)...

이 논리에 의하면 "누가 정지하고 있는가?" 라는 물음에 대한 답으로 "가속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사람"이라고 답을 해야한다.

자유낙하하고 있는 물체가 있다면 자유낙하하는 물체가 진정으로 정지상태에 있으며...

아인슈타인의 논리는 "중력에 저항하지 않는 한,물체는 <중력을 느끼지 않으며, 이 물체는 정지상태에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는 간단한 사실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저의 생각 )...

일반상대성 이론에서
알짜힘(에너지)으로 가속하는 비관성계 우주선에서는 가속중력(관성력)크기에 비례해서 시간팽창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무위의 우주의 관성계 우주선에서는 관성(0-30만km/s)이동속도에의한
우주선의 가속중력(관성력)은 항상 (zero),상태를 유지합니다


무위의 우주의 관성계 우주선에서는 관성(0-30만km/s)이동속도에의한 시간팽창 물리현상은 절대로 발생할수 없는것입니다

<중력을 느끼지 않으면, 이 물체는 정지상태에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것이 일반상대성이론의 공리에 가장 부합하는 물리현상인 것입니다





* 상대성 질량보존의 법칙 2 *

1).참조했습니다
https://gooseskin.tistory.com/m/334



<1>. 참조글 본문중에서...
질량 m인 물체에 일을 한만큼 물체의 운동 에너지는 증가한다. 


(저의 생각)...
ㄱ). ,,,물체에 일을 한만큼,,,,

<F=ma, 가속중인 상태>


ㄴ). ,,,물체의 운동 에너지는 증가한다,,,

<F=ma, 알짜힘으로 가속하는 물체의 가속도(운동에너지)크기 증가>



<2>. 본문중에서..
물체에 ∞의 일을 할 수 있다면 물체의 질량이 변하지 않으므로 물체의 속력이 ∞로 빨라져 광속을 초월할 것이다. 하지만 이런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


(저의 생각)...
<물체에 ∞의 일을 할 수 있다면 물체의 질량이 변하지 않으므로
물체의 가속력이 ∞로 빨라져
물체의 관성력 크기 증가는 무한대를 향합니다

그러나
알짜힘으로 가속하는 우주 모든 물체들은
우주 절대 관성력 최대 크기
(30만km/s^2)를 절대로 넘어설수 없습니다 >

결과적으로
알짜힘으로 가속하는 우주 모든 물체들은
물체의 질량이 증가하는것이 아니라
물체의 가속중력 (관성력)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우주 모든 물체들은
우주 절대 관성력의 최대 크기
(30만km/s^2)를 절대로 넘어설수 없습니다

(E=mc^2)은
오직 원자핵이 붕괴되거나
원자핵이 서로 융합될때만 가능한 물리법칙 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나 특수상대성이론 에서 말하는
일반적인 물체의 알짜힘(가속도)운동 에의한 물리현상에서는
물질의 어떠한 질량변화도 발생되지 않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나
특수상대성이론에서의 물질들의 물리현상은
항상 물질의 질량보존 물리법칙만을 따릅니다



2). 참조했습니다
https://m.blog.naver.com/gooseskin/222972816959


본문중에서)...

관성(등속도)이 큰 물체는 질량이 큰 물체이고, 관성(등속도)이 작은 물체는 질량이 작은 물체이다

저의 생각)...

관성력(가속중력)이 큰 물체는 운동에너지가 큰 물체이고, 관성력(가속중력)이 작은 물체는 운동에너지가 작은 물체이다

우주 모든 물체들은
질량 보존의 법칙을 따릅니다

알짜힘으로 가속하는 물체의 질량 변화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알짜힘으로 가속하는 우주 모든 물체들은
물체의 질량이 증가하는것이 아니라
물체의 가속중력 (관성력)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우주 모든 물체들은
우주 절대 관성력의 최대 크기
(30만km/s^2)를 절대로 넘어설수 없습니다



* 에너지 보존법칙 *

참조했습니다)...

http://foryourglory.tistory.com/17



에너지 보존법칙)...

<에너지의 형태>
에너지의 형태는 다양하다.

가장 기초적인 수준에서 보면 3종류의 에너지가 있다. 운동에 의한 에너지, 상호작용에 의하여 저장된 에너지, 그리고 정지에너지가 그것이다.

에너지 보존법칙을 적용하기 위하여 우리는 각각의 에너지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야 한다. 한꺼번에 모든 것에 적용할 수 있는 공식은 없다. 



<일정한 힘이 한 일>
에너지 보존법칙을 응용하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어떻게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변환될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한 가지 예를 들어보자. 220N의 트렁크를 4미터 높이로 들어 올린다고 가정하자. 도르래와 줄은 이상적이라 가정할 때 벽돌을 일정한 속력으로 들어 올리기 위해서는 줄에 220N의 힘을 가해야 한다.

이때 줄에 한 일을 W라고 부르며 일은 방향이 없는 스칼라양이다.

이 같은 표시는 문맥상에서 용도로 구별해야 한다. 무게는 힘의 차원을 갖지만, 일은 힘 곱하기 거리의 차원을 갖는다.

이러한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무게는 mg라 적고 일은 W로 나타낸다.

일과 에너지의 SI 단위는 뉴턴 미터이며 이것을 줄이라 부른다. 

어느 방법을 이용하든지 트렁크를 들어 올리기 위해서 줄에다 일해야 한다. 

우리는 이 경우 줄에 에너지를 공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해한다. 

일은 힘이 작용하여 물체가 움직일 때 일어나는 에너지의 이동이다.



<일의 총 양>
한 물체에 여러 힘이 작용할 때 한 일의 총 양은 각 힘이 한 일을 합한 것이다. 

일은 양, 음, 0의 값이 가능하며 일의 총 양이 어떤 한 힘이 한일보다 더 작을 수 있으므로 일의 총 양을 때로는 알짜 일이라고 부른다. 

회전운동이나 내부운동이 없는 강체라고가정할 때 일의 총 양을 다른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일률>
 때로는 에너지를 전달하는 비율이 중요할 때가 있다. 매일 사용하는 작은 경차가 대부분의 시간을 차고에서 보내는 고급 차보다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고급 승용차가 하는 일은 경차가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일한다.

곧 고급 차가 더 빠른 비율로 가솔린의 화학에너지를 차의 역학적 에너지로 바꾼다.

고급 승용차의 최대 역학적 에너지 출력이 더 크다. 우리는 전달 비율을 일률이라고 부른다.

평균 일률은 전달된 에너지의 양을 전달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나눈 것이다


저의 생각)...

* 위치에너지와 가속에너지의 상관 관계 *

참조했습니다 )...
https://91sw.tistory.com/m/20


그림예시 )
자유낙하하는 물체(떨어지는 물체)에는 중력이 작용하는데
물체가 떨어질 때 중력이 한일을 구할 수 있다.

중력이 한 일(J) = 중력(N) × 떨어진 높이(m)

예) 질량이 10kg인 물체가 10m 높이에서 떨어졌을 때 중력이 한 일의 양은?

일의 양(J) = 10kg × 9.8 × 10 = 980J
로 구할 수 있다.



저의 생각 )...

(위치에너지,<j>= 운동에너지,<j>)

질량이 (10kg)인 물체를
가속도 (9.8m/s^2 )로 가속시켜
이동거리 (10m) 많큼 이동켰을때의의 물체의 가속력이 한 일(운동에너지 총합)은

m(10kg) × a(9.8) × s(10 )= 980(J)
로 구할 수 있다.

에너지(E)j,일의 량(W)j ,운동에너지(Ek)j, 위치에너지(Ep)j= (m*a*s)j

지구 지상에서의
물체의 중력의 크기(9.8)와 가속도(9.8)의 크기가 서로 동일하다면
동일한 물체의 위치에너지(j)의 크기와, 운동에너지(j)의 크기는
항상 동일한 물리량(j)크기를 공유합니다




* 힘은 무엇일까요?*

참조했습니다 )...
https://noah-harari.com/m/5



현대물리학에서 에너지, 일 등 대부분 뉴턴의 제2 법칙인 '힘은 가속도에 비례하고 물체의 질량에 반비례한다'에서 시작합니다.

에너지는 힘의 관계식에서 파생되어 형태만 다를 뿐 대등한 관계입니다.  

그렇다면 힘은 무엇일까요? 
<<<힘은 물체의 운동 상태를 변화시키기는 영향력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축구를 하며 공을 찰 때나 물건을 들어 올릴 때, 문을 열거나 닫을 때도 힘이 필요합니다.

또한 어떤 물체든지 힘을 받으면 가힘은 무엇일까요?속도가 붙게 되는데,
우리가 달리기할 때 멈춰있는 상태에서 점점 더 빠른 속도로 달리게 되는 원리와 같습니다.

<<<물체의 가속도는 속도의 변화율로 물체가 받는 힘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무거운 물체를 들 때 가벼운 물체보다 더 많은 힘이 필요한 것과 같이 힘은 그 힘을 받는 물체의 질량과도 비례합니다. 


본문중에서 )...

그렇다면 힘은 무엇일까요? 
<<<힘은 물체의 운동 상태를 변화시키기는 영향력입니다.>>>

저의생각 )...

1.( F=m×a )물리법칙에서
물채의 질량(m)는 상수입니다

물채의 질량은 물체의 핵분열이 발생하기 이전까지는 우주 절대 불변의 상수가 맞습니다


2. < 힘은 물체의 운동 상태(속도)를 알짜힘(가속에너지)으로 변화(가,감속)시키기는 영향력입니다. >

3. 물체를 알짜힘으로 힘을 가하면
알짜힘의 크기에 비례해서
물체의 운동에너지(알짜힘의 총합)는 증가합니다
(알짜힘=가속에너지)

<<<물체의 가속도는 속도의 변화율로 물체가 받는 힘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 누가 정지하고 있는가?*

참조했습니다)
https://m.blog.naver.com/samsjang/40038446194


아인슈타인의 등가원리에 의하면 우리는 지금 이시간에도 가속운동중이다.

왜냐하면 지구 중력 가속
도가 우리에게 항상 작용하며, 이는 텅빈 우주공간을 지구 중력 가속도만큼의 크기로 계속 가속되는우주선에 있는 것이랑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 논리에 의하면 "누가 정지하고 있는가?" 라는 물음에 대한 답으로 "가속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사람"이라고 답을 해야한다.

지구에서 살아가는 우리
는 모두 가속운동상태이므로(왜냐하면 지구중력의영향에 항상 노출되어 있음) 우리는 정지하고 있는상태가 아니다.

정지하고 있는 사람은 누구일까?
정답은 지구 중력을 느끼지 않은 상태에 있는 사람,즉 자유낙하하고 있는 사람이 정지하고 있는 사람이다!

아인슈타인의 논리는 "중력에 저항하지 않는 한,물체는 중력을 느끼지 않으며, 이 물체는 정지상태에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는 간단한 사실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자유낙하하고 있는 물체가 있다면 자유낙하하는 물체가 진정으로 정지상태에 있으며, 이 물체에 대해
지구상의 모든 것들이 그 물체가떨어지는 반대방향(즉, 하늘방향)으로 가속운동 상태에 있는 것이다.


본문중에서)...

이 논리에 의하면 "누가 정지하고 있는가?" 라는 물음에 대한 답으로 "가속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사람"이라고 답을 해야한다.

자유낙하하고 있는 물체가 있다면 자유낙하하는 물체가 진정으로 정지상태에 있으며...

아인슈타인의 논리는 "중력에 저항하지 않는 한,물체는 <중력을 느끼지 않으며, 이 물체는 정지상태에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는 간단한 사실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저의 생각 )...

일반상대성 이론에서
알짜힘(에너지)으로 가속하는 비관성계 우주선에서는 가속중력(관성력)크기에 비례해서 시간팽창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무위의 우주의 관성계 우주선에서는 관성(0-30만km/s)이동속도에의한
우주선의 가속중력(관성력)은 항상 (zero),상태를 유지합니다


무위의 우주의 관성계 우주선에서는 관성(0-30만km/s)이동속도에의한 시간팽창 물리현상은 절대로 발생할수 없는것입니다

<중력을 느끼지 않으면, 이 물체는 정지상태에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것이 일반상대성이론의 공리에 가장 부합하는 물리법칙인 것입니다





* 상대성 질량보존의 법칙 2 *

1).참조했습니다
https://gooseskin.tistory.com/m/334



<1>. 참조글 본문중에서...
질량 m인 물체에 일을 한만큼 물체의 운동 에너지는 증가한다. 


(저의 생각)...
ㄱ). ,,,물체에 일을 한만큼,,,,

<F=ma, 가속중인 상태>


ㄴ). ,,,물체의 운동 에너지는 증가한다,,,

<F=ma, 알짜힘으로 가속하는 물체의 가속도(운동에너지)크기 증가>



<2>. 본문중에서..
물체에 ∞의 일을 할 수 있다면 물체의 질량이 변하지 않으므로 물체의 속력이 ∞로 빨라져 광속을 초월할 것이다. 하지만 이런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


(저의 생각)...
<물체에 ∞의 일을 할 수 있다면 물체의 질량이 변하지 않으므로
물체의 가속력이 ∞로 빨라져
물체의 관성력 크기 증가는 무한대를 향합니다

그러나
알짜힘으로 가속하는 우주 모든 물체들은
우주 절대 관성력 최대 크기
(30만km/s^2)를 절대로 넘어설수 없습니다 >

결과적으로
알짜힘으로 가속하는 우주 모든 물체들은
물체의 질량이 증가하는것이 아니라
물체의 가속중력 (관성력)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우주 모든 물체들은
우주 절대 관성력의 최대 크기
(30만km/s^2)를 절대로 넘어설수 없습니다

(E=mc^2)은
오직 원자핵이 붕괴되거나
원자핵이 서로 융합될때만 가능한 물리법칙 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나 특수상대성이론 에서 말하는
일반적인 물체의 알짜힘(가속도)운동 에의한 물리현상에서는
물질의 어떠한 질량변화도 발생되지 않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나
특수상대성이론에서의 물질들의 물리현상은
항상 물질의 질량보존 물리법칙만을 따릅니다



2). 참조했습니다
https://m.blog.naver.com/gooseskin/222972816959


본문중에서)...

관성(등속도)이 큰 물체는 질량이 큰 물체이고, 관성(등속도)이 작은 물체는 질량이 작은 물체이다

저의 생각)...

관성력(가속중력)이 큰 물체는 운동에너지가 큰 물체이고, 관성력(가속중력)이 작은 물체는 운동에너지가 작은 물체이다

우주 모든 물체들은
질량 보존의 법칙을 따릅니다

알짜힘으로 가속하는 물체의 질량 변화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알짜힘으로 가속하는 우주 모든 물체들은
물체의 질량이 증가하는것이 아니라
물체의 가속중력 (관성력)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우주 모든 물체들은
우주 절대 관성력의 최대 크기
(30만km/s^2)를 절대로 넘어설수 없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댓글 전체보기

우리들의 이야기 다른글

현재페이지 1234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