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명리공감

육신의 맥락 분석 (2)

작성자oneof0|작성시간22.09.13|조회수1,210 목록 댓글 8

  육신은 일간을 제외한 각각을 다시 음양으로 나누어 10가지로 구분한다. 이를 십신(十神) 또는 십성(十星)이라고도 부른다. 일간을 포함하여 비겁/식상/재/관/인으로 지칭하면 오행관계로 표현된 육신이 되는 것이고, 각 육신에 일간과의 음양 관계까지도 고려한 오행관계로 표현하면 비견/겁재, 식신/상관, 편재/편인, 편관/정관 그리고 편인/정인으로 나타나는 육신이 되는 것이다.

 

  신(神)과 성(星)이라는 글자는 신령스런 대상을 지칭할 때 사용되어 왔다. 제문에서 돌아가신 분은 신위(神位)로 존칭한다. 일월성신(日月星辰)이라고 말할 때 성(星)은 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日)에게서 태어난 또는 떨어져 나온 것(生)으로 생각하여, 신령스런 대상을 지칭할 때도 사용하였다. ‘위(位)’라는 말은 ‘이 분’ 또는 ‘저 분’ 등과 같이 사용되는 존칭 접미사로 보면 된다. 재성, 관성, 인성으로 지칭하는 육신의 접미사도 이런 의미에서 별 성(星)자를 사용하고 있다고 본다. 각각의 성(星)자 접미사를 가진 육신의 총칭을 신(神)자 접미사로 마무리 한 것을 보면 신(神)자가 성(星)자의 상위 개념이라는 것을 짐작해 볼 수도 있겠다.

 

  선운은 십신보다는 육신이란 명칭을 사용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육신은 정식 명칭이지만 십신은 필요에 의해 임시적으로 사용하는 명칭이라고 보고 있는 듯하다. 그리고 10가지를 꼭 강조하여 사용해야 한다면 십성보다는 십신으로 표기하기를 추천하고 있다. 이건 선운의 생각이니 따를지 말지는 각자의 판단에 맡긴다.

 

  대동여지도를 생각해 보자. 지도에서 지형의 맥락을 이해하면 전체적인 지형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듯이 육신도 관계의 맥락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해석에 도움이 될 것이다.

  육신은 왕쇠강약을 바탕으로 서로 상생상극, 생극제화를 하는 살아있는 유기체와 같다. 서로 복잡하게 작용하므로 그 모든 상호관계를 일일이 기억한다는 것은 아주 힘든 작업이다. 적어도 나의 경우에는 그랬다. 그래서 한 가지 대안으로 기본적인 육신 요소의 의미와 그 요소들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대표적인 흐름들은 기억하고, 거기서 파생되는 현상들은 나름 기준에 따라 그때그때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는 방법으로 대처한다면 명리를 익히는 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그래서 본 게시글에서는 육신의 기본 맥락을 찾아보고 이 맥락을 명리해석에서 어떻게 확장해서 이용할 수 있는 지를 보이고자 한다.

 

 

--- (3)에서 계속됩니다.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oneof0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09.27 성불사의 밤 - 이은상-

    성불사 깊은 밤에 그윽한 풍경소리
    주승은 잠이 들고 객이 홀로 듣는구나.
    저 손아 마저 잠들어 혼자 울게 하여라.

    댕그렁 울릴제면 더 울릴까 맘 졸이고
    끊일젠 또 들릴까 소리나기 기다려져
    새도록 풍경소리 데리고 잠 못 이뤄하노라.
  • 작성자해피 | 작성시간 22.09.30 감사합니다
  • 작성자하루커피 | 작성시간 22.11.02 감사합니다 ~^^
  • 답댓글 작성자oneof0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11.02 유아 웰컴!
  • 작성자하루커피 | 작성시간 22.11.02 아유~ 오늘 참 좋은 날이네요 ~ 감사드립니다 ^^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