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일반수필

2013 전북도민일보 신춘문예 수필 당선작-간 맞추기

작성자김희자|작성시간13.01.01|조회수152 목록 댓글 6

■ 2013 전북도민일보 신춘문예 <수필>당선작

   
 

  간 맞추기 (최희명 작)

나긋나긋해진 노란 배추속이 음식이라기보다는 잘 찍은 사진이나 그림 같다. 붉은 양념으로 침범하기가 저어된다. 나이가 들수록 무엇이든 뻣뻣하게 구는 게 싫어져서 올해는 조금 오래 소금물에 담가 두었다. 얌전히 숨죽인 채 물기가 빠지고 있는 채반에서 여리고 노란 배추속잎 하나를 뜯어 양념과 함께 간을 본다. 나긋함 속에 고집을 드러낸 짠 맛이 혀를 제압한다. 나는 배추에 간을 맞췄는데 배추는 나긋한 몸으로 내 눈을 맞추었고 짠맛은 고스란히 내게로 돌아왔다. 충분히 조율하지 않고 강요하듯 맞춘 간은 그저 짜거나 싱거울 뿐 진정한 의미의 간은 아닌 모양이다.

누구나 첫걸음은 신중할 수밖에 없다. 첫 아이가 그렇다. 최선의 선택이라 우기며 강요하거나 아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에 개입한 부분이 얼마나 많았던가. 그래서 그런가. 천성이 그런가. 성장을 완료했건만 세상으로 나가려하지 않는다. 말도 없다. 두문불출하는 우리 집 맏이 때문에 가슴이 늘 묵지근하다. 어쩌다 말을 섞으면 옹골차게 뱉어내는 짜디짠 반응이 소태 같다. 행여 내가 주입한 염기일지도 몰라서 소스라친다. 지금 저렇게 숨죽이고 있는 자식의 가슴에 무슨 생각이 들었는지 알지 못해 서성거린다.

어떠한 각진 맛도 만들지 않고 그저 세상에 존재하는 간을 조금씩만 받아들인 물질이나 사람은 조금 싱겁다. 자연과 가장 가까운 원형질이다. 본래의 자존심을 간직한, 동치미 국물처럼 슴슴한 맛은 허허실실 할 일 다 하는 둘째 아들이다. 엄마의 매운 맛도 형의 짠 맛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자신의 존재는 우뚝하다. 나의 톡 쏘는 말을 싱거운 대답으로 흡수해 버리면 덩달아 싱거워지고 만다. 쫓기지 않고 세상과 어우러져 사는 여유가 느껴진다.

드센 염기를 견디며 시집살이처럼 눌러 지낸 인고의 맛을 짠지를 통해 본다. 그러기에 석삼년을 묵묵하게 견딘 며느리처럼 얼마나 진득한가. 그러나 짜다고 투덜거릴 수 없는 이유는 그 책임이 우리에게 있기 때문이다. 독을 타 듯 물속에 다량의 소금을 집어넣은 건 우리가 아닌가. 투사처럼 튀어 오르지 못하도록 압재의 돌덩이를 얹은 것도 우리들이다. 제가 가진 모난 성질을, 물기를 소금물 속에서 완전히 탕진한 다음에야 비로소 해방된다. 그러나 빛을 보았다 하여 바로 세상과 만나지는 못한다. 어둠의 그림자를 희석시키는 과정이 남아 있다. 짠지는 시간이 만들어 낸 맛이다. 어머니의 손맛처럼 깊다. 그 인내의 향기로 언제 어디서나 수수한 중독성을 갖는다.

사랑, 일견 단맛 같지만 그것은 아마도 신맛일 듯하다. 처음에, 그리고 아주 가끔 벌꿀처럼 달콤하지만 뒤끝은 쓰기도 하고 떫기도 하다. 때론 예방주사처럼 따끔하게 매운 맛도 가르쳐준다. 그러나 늘 가슴 속에 침이 고이는, 그래서 사랑은 신맛이다. 삶에 있어 그만큼 당기는 유혹이 또 있을까. 유혹을 받아 들여 관계를 만들고 관계의 지속으로 열매를 만드는 과정이 얼마나 새큼한가. 기쁨과 아픔과 슬픔이 시간과 함께 간을 맞춰 버무려지면 드디어 숙성된 과일 효소처럼 깊어질 것이다.

요사이는 약방의 감초처럼 단맛이 모든 간을 맞추는데 끼어든다. 이제 사람들은 약간의 단맛과 친절과 칭찬은 예의라고 생각한다. 때로 단맛은 지나친 소금과 결탁해 미각을 호도하기도 하고 장부상으로는 절대 적법한 이윤을 남기기도 한다. 그리고 달콤함은 쓴 맛을 수반할 때 그 느낌이 상승한다. 참고 또 참은 시간 뒤에 있거나 돌이킬 수 없는 낭떠러지의 앞에 있다. 그래서 단 맛은 두 얼굴이다. 적당한 거리가 필요하다.

살면서 얼마나 수도 없이 매운 맛을 보았는가. 세상 무서운 줄 모르고 덤볐다가 얼마나 눈물이 쏙 빠지게 혼쭐이 났던가. 시간은 가고 기억도 흘러 상황이 재현되면 본능처럼 욕심 하나로 기어이 매운 맛을 다시 보고야 만다. 그래서 삶은 영원히 미완성이다. 알고 싶지 않은 자신의 한계를 어쩔 수 없이 알고 고개를 절래절래 흔들며 꼬리를 감추는 톡톡한 맛이다. 어찌어찌 정신 차려 살다가도 는적거리는 현실에 비위 상할 때가 있다. 약이 바짝 오른 청양고추 몇 개 된장 듬뿍 찍어 먹고 나면 속이 개운해지는, 삶이란 그런 것인가. 늘 일깨워 가는가.

사람과 사람 사이 각지고 헛도는 톱니바퀴처럼 각각인 성질을 도와 한 곳으로 모이게 하는 마력이 있다. 조미의 힘이다. 예인이다. 자신의 존재가치가 미미하다고 생각될 때, 떨어진 갓끈이 못내 아쉬울 때, 혼자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는데 주변이 너무 멀 때, 받은 것 없이 얼마나 관대한가. 준 것 없이 얼마나 고마운가. 인연을 존중하지 않거나 존중하는 방법을 모르는 관계를 얼버무려 돕는다.

바람이 되어 사라져 버린 옆지기는 사는 일에 늘 시들거렸다. 새파랗거나 샛노랗지 못하고 시무룩하게 빛이 바래 있었다. 간도 되지 않고 양념도 먹히지 않았다. 참을 수 없는 건 같이 사는 사람에게도 그 상태를 강요하는 것이었다. 매일 다른 래시피로 그에게 맛을 내 보려 했다. 그러나 ‘네 맛도 내 맛도’ 모르는 듯 그는 시종일관 간이 드는 걸 거부했다. 하나의 요리로 가시버시 섞이는 방법을 몰랐다. 그는 바람으로 떠돌고 나는 무말랭이처럼 비틀리고 메말라갔다. 시간에 의해 얼마쯤 생각이 숙성된 지금에 와서야 나의 양념이 너무 강했을 수도 있겠다 싶어진다. 간이 되지 않으면 한번쯤 익혀볼 수도 있었겠다. 기다림으로 맛을 내는 짠지에게처럼 보채지 않는 진득함도 필요했겠다. 너무 늦은 깨달음이지만 적용할 대상이 아직 존재한다는 사실에 의미를 두기로 한다.

간은 시간이고 관계이며 관심이다. 어떤 요리가 완성 되었다 해도 보편성 원리의 으뜸은 간이 맞아야 한다. 소금이 빛과 비견되는 이유다. 상대를 너무 지치게 해도 내가 너무 지쳐도 사람 사이 간은 맞지 않을 것이다. 착한 인사만 주고받는 사이는 설탕으로만 간을 맞춘 호박죽 같다. 아픔도 나누고 미움도 삭힐 수 있는 사이는 소금으로 완성된 단맛 같은 것 아닐는지. 조금 짜게 간이 된 김치 사이에 박아 두는 넓죽한 무처럼 서로를 알맞게 이어주는 존재이기를 소망해본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김희자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3.01.01 내, 맞어요,
    채정순, 김정수 언니 두 분도 에세이포럼 문우님이지요.
    세 분 모두 아깝습니다.
  • 작성자박승기 | 작성시간 13.01.01 최종심까지 오르셨다니, 이미 실력은 인정받으신 거 잖아요.
    여기 계신 분들 정말 대단하세요. 부럽습니다.
    축하합니다.
  • 작성자박동조 | 작성시간 13.01.01 채정순씨, 김정수씨, 두 분 모두 문장이 빼어난 분이지요.
    최종심에 올랐다는 건 실력으로는 당선되신 거나 진배 없다는 소리지요.
    최종심에 오르신 분들께서 대단하시다는 말씀 올리고 싶습니다.
    정말 대단하셔요.
  • 작성자정애선 | 작성시간 13.01.01 박헌규님, 채정순님, 김정수님 정상을 눈 앞에 두고... 안타깝습니다.
    글솜씨를 인정 받으셨으니 함께 한 시간들이 저는 자랑스럽습니다.
  • 작성자덕혜-김민주 | 작성시간 13.01.02 우와..수필세계에 계신 선생님들 필력이 대단하신가 봐요.
    부럽습니다.
    당선자도, 최종심까지 오르신 분들도...
    기쁨의 박수 크게 쳐 드릴께요
    2013년 올 하반기...신춘때 그때는 이분들의 작품 꼭 보고잡아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