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이야기(정영진 지음) 작성자우하하하|작성시간21.05.12|조회수36 목록 댓글 0 글자크기 작게가 글자크기 크게가 수백년간 경상도 중심도시 대구(조선조때 경상도 감영이 있었죠)! 국난기의 사건과 인물로 보는 대구 이야기 정영진 지음.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북마크 공유하기 신고 센터로 신고 댓글 댓글 0 댓글쓰기 답글쓰기 댓글 리스트 - 역사 서적 추천 다른글 이전 현재페이지 1234 다음 답글 고대 일본은 한국의 분국(이대구 지음)댓글(3)답글 대구 이야기(정영진 지음)답글 기후, 문명의 지도를 바꾸다 (브라이언 페이건, 남경태 옮김)답글 프랑스의 정체성(페르낭 브로델 저 / 안옥청, 이상균 옮김)답글 <발해왕조실록(구난희 지음)>답글 발해를 다시 본다. (송기호 지음)답글 발해의 역사 (왕승례 지음, 송기호 역)답글 [신간] 신주 사마천 사기 표 서 10-16 세트(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출판)댓글(2)답글 발해국 흥망사(하마다 고사쿠 지음, 신영희 옮김), 발해제국사(서병국 지음)답글 메트로폴리스 (벤 윌슨 지음, 박수철 옮김, 박진빈 감수)답글 고구려, 역사에서 미래로 (윤명철 저)댓글(2)답글 원치 않은 오랑캐와의 만남과 전쟁 (한명기 저)댓글(2)답글 동아시아 고대 효의 탄생(김진우 저)댓글(1)답글 중국과 일본(부제: 1500년 중일 관계의 역사를 직시하다) (에즈라 보걸 저 / 김규태 역)답글 몽골 제국, 실크로드의 개척자들(미할 비란 외 다수, 이재황 옮김, 책과 함께)답글 금기어가 된 조선 유학자, 윤휴 (이덕일 지음, 다산초당)답글 우당 이회영과 범정 장형의 발자취를 찾아서(박성순 저, 단국대 출판부)댓글(1)답글 중국 사회의 지속과 변화 (로이드 E. 이스트만, 이승휘 역, 돌베개)답글 이슈와 쟁점으로 읽는 한국고대사 (전덕재 저/역사산책)댓글(1)답글 한국유학사(윤사순, 지식산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