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점착러버초보가 궁금할 수 있는 내용들

작성자걷기싫어| 작성시간17.11.23| 조회수1684| 댓글 39

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 jazzryu 작성시간17.11.25 걷기싫어 네 그점은 알고 있습니다.사람마다 틀리죠.보편적으로 비교했을때 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걷기싫어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7.11.25 jazzryu 하이텐션러버도 타법이나 취향에따라 호불호가 갈리는데
    당연히 점착러버는 점착성이라는 변수가 하나 더 있으니 그게 더 심해지겠지요.
    이 글은 어디까지나 제 생각이며 제 경험을 토대로 한 것입니다.
    님의 경함과는 충분히 다를 수 있으며, 님의 생각과도 다를 수 있습니다.
    장문의 댓글보다는, 님이 생각하는 내용을 글로 적어 생각을 공유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답댓글 작성자 소르 작성시간18.02.09 걷기싫어 작성된지 시간이 지난 글이지만.. 공감합니다. ^^

    부수와는 상관없이 힘이 강하고 임팩트가 좋아서 핌플이 있는 부분이 닳아버리고 금새 마모되는 상황도 많이 봤습니다. (국광 블루 기준)

    중국러버라서 이렇다 저렇다 평가할 필요 없이 사용해보고 적응할 수 있느냐 문제가 더 컸던 것 같습니다.
  • 작성자 아스카리스 작성시간17.11.26 제가 생각하는 중국러버의 가장 큰 강점은, 상대에게 주는 뭔가 모를 "생소함" 이라고 봅니다. 기계적인 측정치로는 스핀계 하이텐션 러버들만큼의 회전이 나오지 않을 수 있는 일부 점착러버들이, 그보다 더 느린 속도와 더 짧은 궤적으로 호를 그리며 들어가면 일반 고마찰 러버들에 익숙한 사람들의 회전량과 타이밍 계산을 미묘하게 흐트러놓을 수 있으니까요. 말 그대로 그저 공 한개 정도만큼 일찍 떨어지고 공 한개만큼 바운드가 덜 나올 뿐인데 그게 바로 상대의 미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시합 내내 머리를 갸우뚱 갸우뚱 하다가 정확한 이유를 모르고 말리게 되는거죠.
  • 답댓글 작성자 아스카리스 작성시간17.11.26 또한 일반 고탄성 러버를 상대한다면, 저정도의 임팩트에서 저정도의 스피드와 비거리라면 대략 이런 정도의 회전량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하는 감각이 어지간한 사람들에게는 있게 마련인데, 그보다 회전량이 많거나 오히려 적죠. 러버 특성상 소위 "공빨" 의 양상이 일반 고마찰 러버들과는 좀 다르다보니 거기에 말려들면 이 또한 난감한 일이 되는것이구요.
  • 답댓글 작성자 걷기싫어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7.11.26 아스카리스 저는 장점에대해 글을 작성하지 않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볼수있게 댓글보다는 글로 작성을 해주시는게 더 좋을듯하네요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진만 볼 수 있습니다.
  • 작성자 수비전형/PAUL 작성시간17.12.18 단편적인 제경험으론 일반적인 러버보다는 무거운 편이고 특별한 관리를 잘하지 않으면 수명도 짧더군요.
  • 답댓글 작성자 걷기싫어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7.12.18 은하제품이 좀 무겁죠
  • 작성자 온천마롱 작성시간17.12.19 게임중에 러버관리는 어떻게 하시나요?
  • 답댓글 작성자 걷기싫어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7.12.19 수시로 입김불어서 바지에 닦아요 ㅎ
  • 작성자 여우비 작성시간18.02.08 항상 감사합니다 몇가지 질문드려도 될까요?
    1. 중국러버 스타일이 전진을 고수한다고 그러는데 전진을 고수한다는게 정점이전 혹은 정점일때 치는건가요??
    영상에서 중국 선수들이 연습할땐 타점이 정점이후던데 전진&정점이후 이해가 잘안됩니다.
    2. 흔히들 때리는타법에 유리하다고 하는데 이때 때린다는건 무슨의미인지 궁금합니다. 혹은 추천하실만한 레슨 동영상이있다면 부탁드리겠습니다.
    3. 공깨지는소리가 나면 임팩트가 좋은거고 안나면 안좋은건가요? 아니면 타법?에따라 다른건가요? 저는 안나는데 친한형님은 나네요 ㅠㅠ
  • 답댓글 작성자 걷기싫어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8.02.08 1. 점착러버 특성상 반발력이 덜하고 상대회전 영향을 덜 받기때문에
    흔히말하는 카운터를 구사하는데 용이하긴 합니다만, 모든 기술을 구사함에 있어 가장 큰 문제는
    그 기술을 구사하기위한 타이밍에 준비를 잘 할수 있냐는 것이지요.
    쉽게말해서, 그타이밍에 공이 잡히는가..이구요

    얼마전 중국 탁구학교에서 탁구를 배웠던 학생말로는,
    꼭 전진을 고수하지는 않으며, 상대의 드라이브를 맞드라이브하기위해 시간,공간적 여유를 만들기위해 거리를 두는것은 괜찮다고 하더라구요
    포핸드로는 그냥 받아넘기기보다 같이 적극적으로 같이 걸어서 넘기는걸 강조하는것같았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걷기싫어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8.02.08 2. 때린다기보다는, 스윙궤적이 비교적 수평에 가깝게 앞으로 나아가는 타법이라 볼수있습니다.

    https://youtu.be/xKIvu0TXK3Y
    첨부된 유튜브 동영상 동영상
  • 답댓글 작성자 걷기싫어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8.02.08 3. 두껍게라는 표현을 많이들 쓰시는데
    제 나름대로의 두껍게의 의미는
    가능한 공을 보내고자 하는 방향으로 많이 가져가면서 가능한 수평에 가깝게 스윙을 하는것입니다.

    예를들어 스윙이 완전 수평이며 라켓각이 수직이면
    회전은 거의 안먹으면서 공이 튀어나갈것입니다.

    여기서 스윙은 유지하면서 라켓각만 45도정도로 바꿔주면
    공에 회전은 걸리겠지만
    공이 낮다거나 스윙스피드가 부족하면
    공이 덜끌려서 네트를 넘기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네트를 넘어가도록 하는 스윙스피드와 스윙궤적의 기울기정도를 잘 조절하다보면 네트를 스치듯넘어가면서 두꺼운 드라이브가 나오겠죠.
  • 답댓글 작성자 걷기싫어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8.02.08 궤적이 수평에 가까울수록 스윙스피드는 빨라져야 할테고,
    공에 가해지는 힘이 커질것이고,
    라켓각이 작더라도 스윙진행방향이 수평에 가깝다면 때리는듯한 소리가 날수도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걷기싫어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8.02.09 저는 개인적으로 임팩트를
    이런 스윙의 궤적의 기울기와 라켓각도 그리고 스윙스피드를 상황에 맞게 잘 조절할수 있는 능력이라 생각합니다.

    마냥 강하게 치는것은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그 공이 테이블에 들어가냐는 것입니다.
    강하게치면서 테이블에 들어갈 확률을 높이려면 회전을 가해주는 것이고, 그것을 잘 조절하면 임팩트가 좋은 것이겠죠.
  • 답댓글 작성자 여우비 작성시간18.02.09 걷기싫어 긴 설명 감사합니다. 2번영상은 봤던 영상이었는데 그런느낌이었네요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