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스티가의 블레이드 개발사 - (1) 히노키가 없어요

작성자TAK9.COM| 작성시간15.08.27| 조회수1475| 댓글 23

댓글 리스트

  • 작성자 KOTI 작성시간15.08.27 그렇군요. 어쩐지 호주에선 저 빼곤 아무도 히노키 재질의 블레이드를 사용하지 않더라구요.
  • 작성자 레지스터 작성시간15.08.27 여담입니다만 탁구를 전혀 모르는 분도 스티가를 아는분들이 있습니다. 본래 스티가는 조경/농경 용 장비(소중대형 일체) 를 만들던 기업이었고 지금도 만들고 있습니다. 이 방면에서도 글로벌 기업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심심찮게 스티가 중장비를 목격할수 있습니다.) 그런데 탁구용품으로 진출해서 또 대성공을 거뒀죠.
  • 답댓글 작성자 TAK9.COM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5.08.27 잔디깎기가 대박이지요~^^
  • 답댓글 작성자 슈미아빠 jw 작성시간15.08.27 아.... 처음 듣는 얘기네요...
    저희집엔 마당과 잔디가 없어서 ㅠㅠ
  • 답댓글 작성자 nexy 작성시간15.08.28 스티가의 다른 사업부에서 관리되는 킥보드,눈썰매,축구및하키 게임등,여러다양한 품목들도 탁구닷컴에 입고되어
    지금 판매되고 있습니다.
  • 작성자 사각하늘 작성시간15.08.27 말씀하신 것으로 본다면,,,스티가에서 히노키 표층이 들어간 블레이드를 한국 시장에 출시 하는건 조금 어렵다는 생각도 드는군요.스티가에 낮설음이 또한번 살짝 느껴지는 대목이네요.
  • 답댓글 작성자 TAK9.COM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5.08.28 예, 사실 유럽 브랜드로서는 히노키가 낯설어요. ~^^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레지스터 작성시간15.08.27 히노키는 편백나무(히노키 사이프러스)입니다. 크리스마스트리에 쓰는 그 나무죠.
    그런데 이 나무는 겉은 같지만 지역에 따라 성질과 결이 다릅니다. 유럽쪽의 히노키는 목질이 단단해서 탁구라켓의 목재로는 썩좋지 않다고 들었습니다. (도마등에 쓰죠) 탁구라켓에 사용하는 히노키는 일본 기소지방의 편백나무로 한정됩니다.
  • 답댓글 작성자 레지스터 작성시간15.08.27 즉 중국에 공장을 두고 생산하는 브랜드와 달리 스티가는 히노키를 운송해오는 비용이 더 들게됩니다.
    더불어 스티가 = 순수합판의 명가 라는 이미지가 강한데 (몇년전만해도 특수소재가 들어간 라켓은 라인업에 거의 없었습니다.) 순수합판 라켓중 히노끼를 표층소재로 쓴라켓은 극히 드뭅니다. 이 부분은 라켓설계의 전문가님들이 더 잘 아시겠지만 제 소견으로는 히노키는 타목재와의 직접결합에선 장점이 적은 편이라봅니다.
  • 답댓글 작성자 TAK9.COM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5.08.28 히노키는 타 목재와 잘 묻어나지 않고 겉돌아요~^^
    그래도 넥시가 히노키 연구는 아주 많이 했지요.
    이 부분은 다음 기회에 더 자세히 적어보겠습니다~^^
  • 작성자 솜사랑 작성시간15.08.27 30년전쯤 제가 처음 동네 탁구를 시작할 때 주변에 히노끼 일펜 사용자만 있었고 셰이크로 탁구하는 사람는 없었지요. 탁구 브랜드도 버터플라이, TSP, 참피온, 피스 정도만 알았고요. 지금은 스티가 러버, 블레이드만 사용중입니다. ^^
  • 작성자 미라쥬 작성시간15.08.27 이런 글 대환영이고 감사드립니다. 무언가 꽉 채워져가는 그런 느낌이네요. ^^;
  • 답댓글 작성자 TAK9.COM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5.08.27 감사합니다~^^
    이어지는 글에서 탁구계에 공개 안 되었던 얘기들을 더 진행시켜 보겠습니다~^^
  • 작성자 내사랑기사 작성시간15.08.28 바로 밑에 품질에 대한 이야기에 대해서는 뭐 본사에다 언급하겠다나, 주의 멘트를 강화하겠다거나, 일언 반구도 없이 이런 글 쓰고 있으면 '빠가 까를 만든다'라는 멘트밖에 안 떠오릅니다.
  • 답댓글 작성자 TAK9.COM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5.08.28 "빠가 까"가 무슨 뜻이에요~?
  • 작성자 다같이 셰이크 (구/나홀로 펜홀더) 작성시간15.08.28 이번 글은 예상보다 너무 짧아서 깜짝 놀랐네요. 어디 중간에 안 읽고 뛰어넘었는 줄 알았습니다. 많이 많이 써주세요. 늘 재미있게 읽고 있습니다. 늘 감사드리고요.
  • 답댓글 작성자 TAK9.COM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5.08.28 예, 글을 조금 짧게 끊어 올리려고 해요~^^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TAK9.COM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5.08.28 목재가 아닌 특수 소재에 대해서는 성분 규제는 없지만 양의 규제가 있어요~^^ 어쨌거나 나무가 주재료여야 하지요. 표면층이 나무가 아닌 경우도 사용 불가이구요~^^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