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abs공에서 정통 드라이브 전형이 블록, 푸쉬보다 우위라는 것을 마롱이 증명해주고 있네요

작성자꼭붙을거야| 작성시간19.04.28| 조회수1708| 댓글 37

댓글 리스트

  • 작성자 에라모르겠다 작성시간19.04.28 작년에...남자든 여자든 우승자보면 다 받을만한 사람이 받았죠. 이토야 가끔 미쳐 날뛰면 막을 사람이 없는데 그거야 이레귤러 같은거고요. 영향이 없진 않겠지만 결국 잘치는 사람들이 올라간거죠. 슈신, 마롱, 린가, 리앙, 옵차로프, 장우진..다 드라이브 전형인데요 뭐..하리모토 백푸쉬가 강하긴 하지만 전체적인 기술 완성도가 좋고 특히나 미스가 적은 선수고요.
  • 답댓글 작성자 꼭붙을거야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9.04.28 슈신, 마롱, 장우진, 옵차로프, 이상수, 안재현은 포핸드 정통 드라이브 전형에 속하지만 린가오위엔, 하리모토, 이토 미마, 리앙징쿤, 마티아스 팔크는 백핸드 푸쉬와 블록이 포핸드 드라이브보다 더 강하고 주특기인 선수들입니다.
  • 작성자 상암탁린이 작성시간19.04.28 마티아스 팔크 선수가 하리모토 선수랑 같은 전형인데 이겼었더군요. 갠적으로 마롱이 이기면 좋겠네요 ㅎ ㅋㅋ
  • 작성자 ○스핀돌이● 작성시간19.04.28 아!~ 제 고장 춘천의 장우진을 꺽고올라가서 마롱과 한판승부벌일줄알았는데 어느나라국적의 선수인지 ,그리고 숏핌플이요!~@@? 졌내요 ㅡㅡ;;
    과연그렇다면 돌아서는것이 능사가아닌 백푸쉬및 백스매싱도 잘배워야겠내요!~^^

    그래도 마롱이 이길것같습니다!~
  • 작성자 ○스핀돌이● 작성시간19.04.28 세탁은 몇년마다열리는것인지요? 그리고 나머지 탁구대회는 올림픽,그랑프리는요?!~@@;
  • 답댓글 작성자 앞집우유스틸 작성시간19.04.28 세탁은 매년 열립니다 개인단식과복식, 팀(국가)대항전으로 번갈아 열립니다 올림픽은 4년마다 열리는거는 아실테구요
  • 답댓글 작성자 꼭붙을거야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9.04.28 세탁 개인 단식은 2년에 1번씩 열리는데 여기서 우승하는 것은 대단한 것이고 엄청난 스포트라이트를 받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스핀돌이● 작성시간19.04.28 꼭붙을거야 아네!~1년은 팀 1년은 개인전과 복식이 맞나요!?~ 영상찾아보겠습니답 감사합니다 좋은휴일되세요^^
    댓글 이모티콘
  • 작성자 redfire 작성시간19.04.28 마티아스는 빽드라이브도 엄청강합니다~ 파티아스 우승 예상해봅니다.
  • 작성자 도모드라이브 작성시간19.04.28 셀볼에서 폴리볼로 넘어갈 때 탁구가
    점점 재미없어 지는구나 생각했습니다
    조금 있으니 ABS공으로 넘어갔는데.
    ABS공 정말 탁구공 맞나 생각이 들 정도로
    공 회전이 줄고 바운도도 이상하고 타구감도
    완전 엉망이고..드라이브 위력도 감소하고
    한마디로 탁구 칠 맛 안나더군요

    하지만 지금은 공이 바뀐것이 잘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회전수가 줄어서 저도 손해보는 사람이지만,

    초보자들이 탁구에 정착하기에는 ABS공이
    조금 더 좋은 것 같았습니다

    탁구가 힘든것 보다 어려워서 포기하는 종목...
    어렵다보니 재미도 없어지고...

    탁구종목으로 유입인원도 많이지고
    초보자가 탁구배우다 어려워서 포기하는 사람이 거의^-^ 없기를 바래요
  • 작성자 규신 작성시간19.04.28 ABS볼도 폴리(플라스틱)볼 인 것은 아시지요? 흔히 말하는 폴리볼이 플라스틱중에서 PET 재질이고 ABS볼이 플라스틱중 ABS재질이지요. 지금은 abs볼이 pet재질과 큰 차이를 못 느낄 정도로 개선 되지 않았나요?
  • 답댓글 작성자 꼭붙을거야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9.04.28 Abs볼이 스피드 측면에서 많이 개선된 것은 맞는데 회전량은 폴리볼에 비해 부족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래도 개선되기 이전보다는 훨씬 나은 것은 사실입니다 초창기 abs볼은 너무 느려서 탁구칠 맛도 안나고 국제대회 경기도 하나도 재미없었습니다 그나마 지금은 스피디한 측면이 살아나서 좋기는 합니다
  • 작성자 중펜12 작성시간19.04.28 동의하지 않습니다. 하리모토는 안재현에게 져서 탈락했고, 이토미마도 일찌감치 탈락했죠. 드라이브 전형들은 여전히 ABS공에서도 강세이구요. 마티아스 팔크는 백푸쉬 전형이 아니고, 백핸드 드라이브의 회전과 정확성이 장난이 아닙니다. 저는 백핸드 쇼트/스매시를 많이 사용했는데, ABS공에서는 공이 찌그러지는 듯 날려서 위력이 훨씬 더 떨어졌습니다. 뭘 쓰든 다 적응하기 나름이고, 잘 치는 사람이 이깁니다. 제가 겪어본 38mm공 시절에도, 40mm공 시절에도, 폴리볼 시절에도, ABS공 시절에도 다 마찬가지입니다. 조금 지나면 다 철지난 이야기가 됩니다. 이상하다 싶으면 용품 좀 조정하고 열심히 연습하면 됩니다.
  • 답댓글 작성자 오리지날 작성시간19.04.29 안재현 선수도 1~2년 사이에 플레이 영역이 앞으로 많이 당겨진겁니다.
    이전에는 지금보다 중진 플레이가많아고 특히 로빙을 꽤 많이 했지요.
  • 작성자 셰이커 작성시간19.04.28 그냥 지금 잘하는 선수가 올라간 것입니다. 올라간 선수 중에 드라이브, 백푸시, 블록 못하는 선수가 어디 있나요. 경기라는게 이길 때도 있고 질 때도 있는거겠지요. 경기에 임할때마다 상황에 맞게 백푸시, 블록 비중이 올라가는 것일뿐..
  • 작성자 다요트 작성시간19.04.28 공감가지 않습니다 컨디션좋고 그날잘하는선수가 이긴거지 전형이 유리해서 이겼다? 전혀요
  • 답댓글 작성자 꼭붙을거야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9.04.28 Abs공 이후로 정통 드라이브 선수들은 그대로이거나 약간 실력이 하락한 반면에 백핸드 푸시와 카운터를 잘하는 선수들이 초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린가오위엔, 리앙징쿤, 하리모토, 마티아스 팔크 등은 전부 그러한 전형입니다
    정통 드라이브 선수 중에서 마롱같이 파워 위주의 두터운 드라이브를 가진 전형은 전혀 손해를 보지 않았지만 쉬신같이 중진에서 회전 위주의 드라이브 전형은 굉장한 손해를 보았지요
    하리모토와 마티아스도 이 정도까지 잘하지는 못했는데 abs공에서 많은 혜택을 보고 있는 것입니다 상대방 드라이브에 대한 블록과 푸시, 스매싱의 비중이 높은 선수들이니까요
  • 작성자 맞드라이브까지 작성시간19.04.28 린가오위엔, 리앙징쿤이 백이 좋긴 한데 백드라이브 전형으로 봐야지... 백푸쉬, 블럭전형으로 보긴 어려울 것 같네요.
  • 답댓글 작성자 꼭붙을거야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9.04.28 리앙징쿤과 린가오위엔은 백드라이브를 잘하는 것은 맞는데 연속 백드라이브를 구사한다기 보다는 백드라이브 선제 이후에 푸쉬나 스매시성 포핸드를 주로 구사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 맞드라이브까지 작성시간19.04.28 꼭붙을거야 개인적인 해설로 생각되나 저는 좀 다르게 봅니다... ㅎㅎ 선수들이 스매시성으로 친다해도 그게 생체인들의 스매시 같은 거라 보진 않습니다. 선수들은 기본적으로 드라이브성이라 생각합니다. abs로 바뀌면서 중진 드라이브랠리가 사라진 건 아쉽습니다... 그리고 저도 플라스틱볼 중에선 그래도 pet볼이 좋습니다. ㅠ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