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덕 기술사 (제77회 정보통신기술사/㈜데이콤크로싱)
※ 경력사항
- 자 격 : 제77회 정보통신기술사
- 현재 직장명 : ㈜데이콤크로싱
※ 현재연락처
- 핸드폰 번호 : 011-9013-6803
- 이 메일 주소 : yjd0321@chol.com
▒ 인터뷰
1. 요즈음 어떻게 지내십니까?
- 합격자 발표 시 잠시 성취감을 느끼며 기뻐하였으나, 막상 기술사란 글자가 이름 뒤에 붙을 때 마다, 과연 실력 있는 기술사 인가를 내 자신에게 묻곤 합니다. 그래서 대학원에 등록하여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있습니다.
2. 수행하고 계시는 업무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세요
- 2003년 동아시아횡단 (EAC: East Asia Crossing) 해저케이블을 한국(충남 태안 신두리)에 육양(Landing)하는 Project를 성공적으로 수행 한 후, 줄곧 SDH over DWDM 해저망과 국내 기간통신망 운용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올 1월부터는 한국(태안 신두리) 과 중국(청도)간 EAC 해저 통신망 연장 Project 업무를 수행을 하고 있습니다.
3. 앞으로 어떤 업무들을 수행하고 싶습니까?
- 현재 한국에서 외국으로 나가는 국제 트래픽의 95% 이상이 해저 광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중요 통신망에 대한 체계화된 기술자료가 국내에는 없습니다. 이 업무를 우선적으로 수행하여 후배들이 어려움 없이 이 분야에서 일할 수 있는 바탕을 만들고자 합니다.
4. 기술사 준비과정에 대해 몇 가지 여쭙겠습니다.
4-1 . 기술사 자격을 획득해야겠다는 계기는 무엇이었습니까?
- 저는 실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직장을 다니며 야간 대학을 졸업했습니다. 그래서 제대로 배우지 못했다는 부족함이 늘 가슴 한 구석에 있었으며, 남들과 경쟁에서 이길 수 없는 실력으로 직장 생활을 하고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97년 IMF는 나의 미래를 깊이 있게 생각 해 보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습니다. 그때 내가 남들과 경쟁력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는 길을 결정하게 되었는데, 그게 정보통신기술사였습니다.
4-2. 필기시험에서 낙방하셨을때 무엇을 느꼈습니까?
- 시험 준비 중 EAC Project 때문에 3년 정도는 준비를 못하기도 했지만, 저는 7전 8기로 기술사에 합격하였습니다. 처음에는 몰라서 떨어지고, 정보통신 기술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이해를 할 때는 오만함으로 떨어졌습니다. 결국, 내 자신을 돌이키며 보며 겸손함을 배우게 하더군요. 즉, 기술사 시험은 한 인간을 만드는 시험이란 생각입니다.
4-3 . 검정 준비 중 가장 힘들었던 점은 무엇이었습니까?
- 시험을 준비하는 모든 수험생이 느끼듯, 오랫동안 준비한 것에 대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에 대한 불안함과 주위 사람들에게 미안한 마음을 극복하는 것이 어려웠습니다. 그때 마다 내가 꼭 이루어야 하고, 이 길 외에는 남보다 잘할 수 있는 일이 없다는 것을 마음속에 강하게 심었습니다.
4-4. 학업의 생산성이 어떻게 해서 개선(올랐습니까)되었습니까?
- 저는 학원을 통해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세부적인 공부는 논문자료나 인터넷을 통해서 준비하였습니다. 기술사 시험은 전체의 숲을 보지 못하면,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며, 무슨 자료가 중요한지를 모르게 되어 혼자만의 힘든 싸움이 됩니다. 시간을 줄이는 길은 전체 개요를 빨리 잡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4-5. 경험하지 않은 분야에 대해 어떻게 대처 했습니까?
- 회사의 기술서적을 많이 이용했으며, 내가 이해할 수 있도록 쓴 기본서를 본 후, 점차 논문자료를 통해 깊이와 폭을 넓혀 습니다.
4-6. 새로운 이슈(앞으로 출제 가능성 있는 주제어)는 무엇일까요?
- 먼저, 기출문제를 완벽히 분석하고 이해 한다면 시험범위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며, 각 기술 별로 현재 사용하는 기술에 60% 비중을 두고 신경향 부분에 25%, 기본 개념에 15%정도의 비중을 두고 준비하시면 출제 경향에 맞는 것 같습니다. 새로운 이슈에 대한 대처 방법은 신문, 학회지 등에서 타이틀로 다루는 것을 놓치지 않으시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4-7. 예비기술사들에게 당부의 말씀은?
- 쉽게 합격하기 어려운 시험이다 보니, 무엇보다 자기자신을 이기는 기술이 필요 합니다. 자신을 이길 수 있는 “시험 준비 목적”을 마음속에 강하게 심어 놓으면, 때가 되면 합격의 영광을 얻을 수 있습니다.
5. 인생의 비젼과 좌우명이 있으시면 알려 주시겠습니까?
- "균형 있는 삶을 살자"
6. 앞으로 주변 분들에게 어떤 모습으로 기억되길 원하십니까?
- 한번 만나면 따뜻한 정을 느낄 수 있는 사람으로 기억되길 원합니다.
인터뷰에 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G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