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밀꽃 필 무렵(이효석)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의 줄거리와 등장인물(요약)
줄거리(요약)
허생원은 장돌뱅이로 장이 서는 곳마다 찾아다니며 떠돌아다닌다. 어느 날 묵고 있던 충주댁네로 돌아온 그는 우연히 젊은 장돌뱅이 동이가 충주댁과 시시덕거리는 것을 보고 질투심에 그를 나무라고 손찌검까지 한다.
그러나 자신의 당나귀가 괴롭힘을 당하는 것을 달려와 알려주는 동이의 행동에 화는 누그러들고 대화 장까지 칠십 리 밤길을 동행한다. 그 유명한 달밤 봉평 메밀꽃밭의 풍경 속에서 허생원은 젊었을 적 봉평 성서방네 처녀와의 하룻밤 인연을 이야기한다. 그 인연만이 그에게는 평생을 간직한 그리움이요 살아갈 힘이었다.
이어 동이도 홀어머니 밑에서 어렵게 자란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그러던 중 허생원은 개울에서 발을 헛디뎌 동이의 등에 업힌다. 등에 업힌 채, 그는 동이 모친의 친정이 바로 봉평이라는 것, 동이가 자신처럼 왼손잡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동이가 어쩌면 허생원의 아들일지도 모른다는 암시와 함께 이야기는 마무리된다.
등장 인물
* 허 생원
-얼금뱅이에다 왼손잡이인 장돌뱅이. 투전을 하는 호탕함과 함께 서정적인 면도 간직하고 있는 소박한 인물이다. 평생을 나귀와 함께 장돌뱅이 생활을 하면서 단 한 번의 낭만적인 추억을 소중하게 간직하고 살아간다.
* 동이
-행동에서는 본능적이지만, 어머니에 대한 효심이 지극한 인물이다. 성격이 소박하고 꾸밈이 없으며 허 생원의 친자식으로 암시되고 있다.
* 조 선달
-허 생원의 친구로 순박한 성격을 지닌 허 생원과 같은 장돌뱅이 처지이다.
목차
작가 | 이효석 | 갈래 | 단편 소설, 순수 소설, 낭만주의 소설 |
성격 | 서정적, 낭만적, 사실적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배경 | ▶ 시간 - 1920년대 어느 여름 낮부터 밤까지 ▶ 공간 -강원도 봉평에서 대화 장터로 가는 길 | ||
주제 | 떠돌이 삶의 애환과 육친의 정(情) |
작품 설명
- 이 작품은 허 생원이라는 한 장돌뱅이의 삶을 통해 떠돌이 삶의 애환과 육친의 정(情)을 그린 소설로, 특히 배경 묘사와 문체가 조화를 이루어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작가 소개
▶이효석(李孝石, 1907~1942) 1928년 "조선지광"에 단편 '도시와 유령'을 발표하면서 등단하였다. 초기에는 현실 문제를 다루기도 했으나, 이후심미주의 소설로 일컬어지는 작품들을 창작하였다.'돈(豚)', '수탉'등순수한 자연을 배경으로 한 향토색이 짙은 작품을 발표하였다. |
작품 이해
- 이 작품은 남녀 간의 만남과 헤어짐, 그리고 부자간의 정(情)이라고 하는 두 가지 이야기를 근간으로 하여 일생을 길 위에서 살아가는 장돌뱅이의 삶과 애환을 통해 인간의 근원적인 애정을 다루고 있다.
- 이 소설은 토속적인 어휘 구사와 서정적이고도 낭만적인 묘사로 한국 근대 단편 소설의 백미(白眉)로 평가되고 있다.
- 이 작품의 중심 구조는 허 생원과 동이 사이의 갈등과 해소에 있다. 작가는 치밀하게 계산된 과거와 현재의 사건을 구조적으로 배치하고 적절한 공간적 배경과 향토적 어휘를 구사하면서 갈등을 해소하고 있는 것이다.
'메밀꽃 필 무렵'의 이중적 구성
이 작품은 두 개의 사건을 축으로 하고, 그 두 축이 씨줄과 날줄처럼 서로 교차하면서 이야기가 진행된다. 하나는 허 생원이 회상하는 과거의 추억이고, 다른 하나는 등장인물들이 봉평 장에서 대화 장으로 옮겨 가는 과정과 관련된 현재의 사건이다.
인물 소개
허 생원 | 얼금뱅이에다 왼손잡이인 장돌뱅이. 투전을 하는 호탕함과 함께 서정적인 면도 간직하고 있는 소박한 인물이다. 평생을 나귀와 함께 장돌뱅이 생활을 하면서 단 한 번의 낭만적인 추억을 소중하게 간직하고 살아간다. |
동이 | 행동에서는 본능적이지만, 어머니에 대한 효심이 지극한 인물이다. 성격이 소박하고 꾸밈이 없으며 허 생원의 친자식으로 암시되고 있다. |
조 선달 | 허 생원의 친구로 순박한 성격을 지닌 장돌뱅이이다. |
'메밀꽃 필 무렵'에서 배경이 지니는 의미
▶ 이 작품은 배경 묘사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배경 자체가 사건이 일어나는 장소나 시간을 제시하는 본래 기능뿐만 아니라, 작품의 분위기 형성과 사건의 진행, 주제 형성 등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 특히 자연적 배경이 중심을 이루는데,달이 비치는 메밀밭과 산길이 향토적 서정이라는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면서 허 생원과 동이를 결합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 이 작품의 배경은 시간적으로는 여름날 달밤이며, 공간적으로는 산길인데달밤이라는 시간적 배경은 인간의 본연적인 애정(혈육의 정)을 부각하는 역할을 하며, 산길은 삶의 역경과 허 생원과 동이의 혈육 관계를 확인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개울은 허 생원이 동이에 대해 육친으로서의 따뜻한 정을 느끼게 한다. |
'메밀꽃 필 무렵'의 서술 방식과 문체적 특징
▶ 이 작품에서는 과거의 시간과 현재의 시간이 교차하는데과거의 시간은 주로 요약적 서술 방법으로 제시되어 있고,현재의 시간은 장면적 서술 방법으로 제시되어 있다. ▶ 이 작품에서는 마치 한 편의 시를 읽는 것처럼서정성이 짙은 문체적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
'허 생원'과 '나귀'의 관계
나귀는 허 생원과 정서적으로 동일한 존재로 등장하고 있다. 허 생원과 나귀의 밀접한 연관성은 단순한 묘사에 머무르지 않고 자연과 인간의 합일이라는 작가의 주제 의식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다음 보기의 질문에 답하시오.
<보기>
1. 이 소설의 시점은? 2. 이 소설의 계절적 배경은? 3. 이 소설의 지배적인 색채는? 4. 허 생원과 조 선달의 직업은? 5. 허 생원의 추억이 서려 있으며, 허 생원이 빼놓지 않고 가는 곳은? 6. 허 생원이 잊을 수 없었던 '꼭 한 번의 첫 일'은? 7. 허 생원이 물에 빠진 이유는? 8. 허 생원이 동이를 자신의 아들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이유는? 9. 허 생원과 동일시되는 소재는? |
정답 :
1. 전지적 작가 시점
2. 늦여름
3. 흰색(달, 메밀꽃)
4. 장돌뱅이
5. 봉평
6. 성 서방네 처녀와의 인연
7. 동이가 자신의 아들일지도 모른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아
8. 그녀의 모친이 봉평 출신, 동이의 고향은 제천, 왼손잡이
9. 나귀
이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이 글의 갈래는 단편 소설, 순수 소설, 농촌 소설이다.
② 시간적 배경은 1920년대 어느 여름 낮부터 밤까지이다.
③ 전지적 작가 시점을 취하고 있다.
④ 이 글의 주제는 '떠돌이 삶의 애환과 육친의 정'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정답 :
①
해설 :
이 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의 갈래는 단편 소설, 순수 소설, 낭만주의 소설이지 농촌 소설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