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갑하근의 기능, 통증 원인 및 증상, 검사법
견갑하근은 어깨 통증 발생 유발의 흔한 근육에 해당하지만, 견갑골아래 숨어있어서 치료에서 자주 소외되는 근육이라고 할 수 있다. 견갑하근은 기본적으로 상완이두근, 횡인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견갑하근 건염이 상완이두근 건염으로 흔히 오인되기도 한다. 또한 견갑하근은 견갑골아래에 숨어 있으면서도 움직임이 많기 때문에 흔하게 통증이 발생하며, 따라서 잘 낫지 않는 어깨통증일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근육이다. 견갑하근 검사는 Lift off test로 수행한다. 견갑하근 Trp로는 손목에 연관통 발생한다.
△ Lift Off Test - Youtube 동영상
여기까지가 견갑하근의 기능과 통증 원인 및 증상, 검사법에 대한 간략한 요약에 해당하고, 본격적으로 《M.P.S.와 Trigger point》 라는 책을 참고로 견갑하근에 대해서 찬찬히 살펴보고자 한다.
△ 견갑하근 (이미지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Subscapularis_muscle)
1. 견갑하근의 해부학적 부착 및 신경지배
견갑하근은 회전근개 중 맨 앞에 있다. 견갑골의 내측면에서 기시하여 상완골의 소결절, 견관절낭의 하부절반(견갑하와)에서 정지하는 근육으로, 점액낭이 견갑골경과 근육을 분리시킨다. 견갑하신경과 C5, C6 신경의 신경지배를 받는다.
2. 견갑하근의 기능
견갑하근은 상완의 내회전과 내전에 작용하며, 상관골두를 관절와 내에 유지하고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외전시 삼각근이 상완골두를 관절와에서 벗어나 견봉을 향하게 위로 당기려는 힘에 대한 하방의 힘으로 대응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밖으로 뻗는 상지의 손의 회외를 억압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로 인해 손에서의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다.
3. 견갑하근의 기능 단위
대원근은 견갑하근의 강력한 협력근에 해당한다. 광배근과 대흉근은 견갑하근과 같이 내회전 및 내전에 작용한다. 상완 회전기능의 길항근은 극하근과 소원근이며, 외전과 굴곡시 삼각근, 극상근과 근 기능 단위를 이룬다. 견갑골에서 상완으로 부착되는 근육 전체가 한 기능 단위이며, 체간에서 견갑골로 부착되는 근육은 견갑골 안정성을 위해 또한 기능 단위를 이룬다.
△ Anatomy Of The Subscapularis Muscle - Dr. Nabil Ebraheim
4. 견갑하근의 통증의 양상 및 증상
1) 양상
안정시와 동작시 모두 통증이 나타난다. 견갑골을 덮으며 밑으로 상완의 후면에까지 특징이 확장된다. 손목 둘레로 띠 같은 부위의 방사통이 특징이다. 대부분 손등이 손바닥보다 압통과 통증이 심하게 나타난다. 동작시, 특히 외전 동작시의 견관절 통증이 심하게 나타난다.
△ Subscapularis Trigger Point Map
(이미지 출처 : http://www.triggerpointnc.com/conditions.asp?c=shoulder)
2) 증상
어깨높이에서 유지된 팔을 뒤로 뻗을 수 없으며, 45도 그 이하로 움직임이 심하게 제한된다. 휴식 활동시 모두 통증을 호소하며, 손등과 손목이 시리고 아프다고 호소하기도 한다. 반신불수 환자의 외전과 외회전의 제한과 통증이 나타난다. 상완 골두의 아탈구에도 관여하며, 환자는 심리적 불안 상태를 겪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통증으로 인해 수면을 방해받을 수 있으며, 통증이 심한 경우 팔을 부딪히는 정도에 의해서도 통증이 극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5. 견갑하근의 통증의 원인과 활성화 요인
- 자유형 수영, 야구공을 던질 때와 같은 강력한 내회전이 요구되는 종작
- 강한 내전력을 발휘하면서 시행되는 반복적으로 머리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
- 넘어질 때 어깨높이에서 등을 부딪히는 갑작스러운 스트레스성 과부하
- 견관절의 탈구
- 근위부의 상완골의 골절, 견관절 관절낭의 열상
- 견관절을 내전과 내회전시킨 자세로 장시간 고정
- 교정의사들의 경우 반복적으로 요구되는 내전과 내회전 동작의 과용
6. 견갑하근 검사
견갑골의 이동성 검사를 우선한다. 견갑하근 단독의 문제인 경우에는 견관절의 제한은 있으나 견갑골의 움직임에는 제한이 없다. 만약, 견갑골의 운동 제한 시에는 소흉근, 전거근, 승모근, 능형근의 근육들을 고려한다. 견갑하근 만의 단축 경직시에는 외전과 외회전이 제한된다. 반 정도로 심할 때에는 최대로 내회전시킨 상태(손등이 앞으로 된 상태)에서 시작하여 상완의 외전이 90도 정도로 제한된다. 상완골 쪽의 부착 부위는 견갑하근의 문제가 만성적인 경우 촉진시 매우 심한 압통이 나타날 수 있다. 환자는 심리적, 정신적으로 운동이나 접촉에 대한 공포를 지니게 되며, 치료사의 접근시 불안해 하며 감사시 수동검사를 원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 Shoulder examination : Lift-off test for subscapularis tear
7. 견갑하근과의 연관 근육
견갑하근의 단독 증상이 가능한데, 경직과 단축시 자발적인 영양적 변화를 초래한다. 대흉근, 대원근, 광배근은 내회전 및 내전과 관계되는 근육군이다. 극상근, 삼각근 중부 등은 길항근에 해당한다. 외전의 각도에는 전거근이 관여한다. 삼각근의 전부와 후부 섬유와도 연관이 된다. 외전 및 노력시 수반되는 보상 작용을 시도하는 근육의 이차성 통증군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8. 견관절 외전 기전 (정상적인 경우)
- 외전 90도 : 삼각근 중부, 극상근이 주로 기능
- 외전 90 ~ 150도 : 전거근 기능
- 외전 150 ~ 180도 : 흉근 기능
이 때, 전거근의 60도 기능은 견관절이 60도 이상 외전이 가능한 경우는 항상 작용한다.
※ 참고 문헌 :
1. 정희원 외. 《M.P.S.와 Trigger point》 일중사. 119~12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