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성권력, 구성주의, 국제사회학파, 코펜하겐학파

작성자기영이|작성시간25.03.25|조회수36 목록 댓글 2

 

안녕하십니까 예비순환을 수강중인 학생입니다. 다음과 같은 질문이 있어 게시글을 남깁니다.

 

1. 의제설정이 연성권력의 발생 과정인 이유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2. 집단정체성, 즉 일체화가 어떻게 역할 정체성을 근간으로 형성되는지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3.  개별국가의 '주권'을 존중하는 것이 개별국가의 성격규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는데, 이러한 인정이 질서 유지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4. 국제사회학파의 핵심 주장을 '국제사회 형성을 통한 국제질서 유지'라고 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 특정 상황을 위험으로 간주하고 이슈화하는 '화행'의 과정 자체를 안보화라고 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부족한 질문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JWY | 작성시간 25.03.26 안녕하세요?
    합격을 기원합니다.

    답변1) 국제제도에서 의제설정 권력은 자신에게 유리한 의제는 논의되고 그렇지 않은 의제는 논의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권력입니다. 그러한 면에서 이는 경성권력과 개념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것립니다. 다만, 실제 상황에서는 경성권력이 강한 국가가 높은 의제설정 권력을 행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답변2) 역할 정체성에서 상호 긍정적, 포용적, 우호적 정체성 등이 형성되어야 일체화, 즉 집단정체성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의미로 보면 됩니다.

    답변3) 주권존중의 원칙으로 인해 국가 간에 상호인정하고 그 가운데 국가 간의 사회성(상호교류나 협력의 의미로 보면 될듯)이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즉, 주권의 원칙이 국가 간 상호인정, 사회성을 갖게 하는 것이 국가의 성격인 것입니다.

    답변4) 국제사회학파의 핵심적 주장은 국제적 무정부상태 하에서도 사회적 수준의 국제질서가 형상되는 국제사회 혹은 무정부적 사회가 성립됨으로써 국제적 안정이 유지될 수 있다는 의미에 초점을 맞추면 됩니다. 질문한 대용을 조금 더 풀어쓰면 좋을 듯합니다.

  • 작성자JWY | 작성시간 25.03.26 답변5) 안보화는 위협을 인식하여 담론화 할 뿐만 아니라 거기에 대한 대응의 문제까지 포함까지 포함하는 것은 안보화로 봄이 적절하다고 생각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