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영화 십계

작성자코난.카페장(경기)| 작성시간22.12.25| 조회수478| 댓글 7

댓글 리스트

  • 작성자 뛰어 작성시간22.12.25 좋은 영화지요 개미가 사람의 생각을 어찌 알겠습니까
  • 작성자 BladeRunner(경북) 작성시간22.12.25 모세가 40세때 히브리인 동포가 학대받는것을 목격하고 이집트인을 살해함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어쩔수 없이 도망갈수밖에 없었죠.
  • 답댓글 작성자 BladeRunner(경북) 작성시간22.12.25 그리고 모세가 히브리 민족을 이끌고 40년 동안이나 약속의 땅인 가나안을 못찾고 광야를 헤맨 이유는..
  • 답댓글 작성자 BladeRunner(경북) 작성시간22.12.25 BladeRunner(경북) 하나님의 명을 어겼기때문인데..
    히브리인들이 목이 마르다고 하자 하나님이 모세에게 이르기를 '너는 지팡이를 집어들고 너의 형 아론과 함께 공동체를 불러모아라 그런 다음 사람들 앞에서 저 바위더러 물을 내어라 하고 명령하여라' 라고 했는데 모세는 마치 자기가 기적을 보여주는 것처럼 ' 우리가 바위에서 너희가 마실물을 나오게 하랴?' 라고 했기 때문에 하나님의 노여움을 사서 저주를 받은 것이지요.
  • 답댓글 작성자 코난.카페장(경기)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2.12.26 BladeRunner(경북) 아 그런 사정이 있었군요 하느님 따른다는 모세도 자기 권세에 취해서 나쁜짓 햇었군요 ㅎ
  • 작성자 길비켜 작성시간22.12.26 감사합니다.
  • 작성자 팔랑개비(미국) 작성시간22.12.26 모세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도 아니고 이집트 전설에 유대인들이 후대에 살을 붙여 만든 신화적 이야기죠. 배우 문성근의 아버지인 신학자 문익환 목사님이 이쪽 전문가셔서 학창시절 분의 구약 해설책을 재밌게 읽었던 기억이 있네요. 당시 여호와, 야훼 등 여러 다른 신들이 유대민족의 형성 과정에서 하나의 신으로 통일되어 가는 과정을 흥미롭세 설명했었습니다. 그 구심점에 모세가 있었구요. 아버지 여호와와 어머니 아세라, 아들 바알의 이야기가 바빌론 유수 이후 여호와 유일신 이후로 구약이 새롭게 쓰였다는 것도 나중에 밝혀지게 되었죠. 구약의 여호와를 창조주 하나님이 아닌 사막의 전쟁신으로 모세를 통해 유대민족의 핵심 신으로 자리잡아 가는 과정으로 이해하면 이집트 탈출과 오랜 방황의 이야기가 더 재밌게 느껴질 수 있을겁니다. 유대민족의 혈통적 다양성을 국복하여 하나의 민족으로 거듭나는 이야기니까요.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