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자유로운 노동에는 희망이 있다.’

작성자Red eye| 작성시간22.02.20| 조회수217| 댓글 3

댓글 리스트

  • 작성자 노스아스터 작성시간22.02.20 노예의 노동효율성은 고용된 노동자의 노동효율성과 비교하면 압도적으로 떨어지죠.
    농경지는 자영농=자작농한테 분배하는게 여러모로 효율적이었고요.
  • 작성자 프리드리히대공 작성시간22.02.20 이 사람이 대단한게 자기의 공약을 실천하려면 당시 국론이 극도로 분열된 분위기상
    전쟁이든 뭐든 큰 일이 터지는 걸 감수해야할 거란 걸 알면서도 그걸 밀어붙였고,

    거기다 끝까지 실천을 해냈다는 것 같죠


    물론 남북전쟁 발발 당시 수많은 유능한 장교들이 남부에 쉽게 붙어버릴 줄 예상 못했으니

    그 전만 해도 남부연합이 모든 면에서 달리니 전쟁 걸어오더라도 연방군이 비교적 손쉽게 물리칠 거라는 인식도 있었던듯 합니다만.


    19세기 후반에는 링컨과 그의 유지를 이은 뒤의 대통령 그랜트 말고는 그 어떤 정치인도 굳이 흑인의 권리 향상에 진정성을 가지려 하진 않앗던 것 같습니다


    당시 민주당은 노예제 폐지를 굳이 밀어붙이지 말고 남부와 적당히 타협하자는 스탠스였어서

    남북전쟁이 장기화됨에 따라 많은 인명피해에 지친 여론도 그쪽으로 많이 기울어서
    링컨의 재선도 위험했을 정도니까 리스크가 큰 도박이었던 것 같음요.


    만약 그가 전쟁을 1865년 내에 끝내지 못하고 미얀마처럼 양쪽 모두 결정적 우위를 취하지 못한채 고착화되거나 했다면 지금의 미국도 없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현실과 타협하고 변화하지 않는 국가가 되었다면 현재는 멕시코 같은 나라가 되엇을지도...
  • 답댓글 작성자 young026 작성시간22.02.20 링컨이 분열을 무릅쓰고 노예제 폐지를 밀어붙인 건 아닙니다. 물론 링컨은 노예제 폐지론자였지만 최우선은 연방 유지였죠. 노예 해방 선언도 전쟁 3년차에 나온 거였고.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