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좋은 글들

콕싱가(Koxinga)의 포르모사(Formosa) 정복에 동원된 군대

작성자왕마귀|작성시간06.04.18|조회수1,710 목록 댓글 8



정성공(鄭成功) (병)Zheng chenggong (웨)Cheng Ch'engkung.


그는 대만 해협에서 무역업과 해적 행위를 겸업하여 큰 돈을 모은 정지룡(鄭芝龍)을 아버지로 하여 일본 나가시키(長崎)의 히라도(平戶)에서 태어났다. 모친은 다가와 시치자에몬(田川七左衛門)의 딸인 일본여자였다.


그는 콕싱가(Koxinga 또는 Coxinga)로 서양에 알려진, 서양식 이름을 갖고 있는 몇 안되는 중국의 역사적 인물 중의 한사람이다. 서양에 이름이 알려지게 된 것은 대만에 세력을 구축하고 있던 네덜란드 인을 무력을 동원, 내쫓았기 때문이다.


그는 명나라 멸망 후 명의 회복을 기도하던 명황실에 의해 황족의 성(姓)인 주(朱)씨 성을 하사받을 정도로 명에 충성을 다하였다. 이 때문에 그는 ‘국성야(國姓爺)’로 불리웠는데 이것이 그가 서양에 콕싱가로 알려진 까닭이다.


대만의 안핑(安平 : 지금의 타이난 台南부근)에 네델란드인 요새를 2만여 군대를 동원 9개월 간 포위 공격을 한 끝에 항복을 받아냈다. 그리고 자기들의 사물만 가지고 대만을 떠나도록 했다.


네덜란드 식민주의자들의 이 참혹한 패배가 정성공의 이름을 유럽사회에 널리 알려지게된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그는 필리핀의 에스파냐 식민 세력마저 구축할 계획이었으니 당시 동양에 또아리를 틀기 시작하던 서양의 식민주의자들에게는 ‘공포의 대상’이 아닐 수 없었다.



----------------------------------------------------------------------------------------------------------------------------------------


정성공은 자신의 군대를 두 가지 타입으로 구성했다. 첫번째 부대는 야전에서 싸우고 나머지 한개 부대는 마을이나 중요한 요새를 지키기 위한 방어전 용도로 사용했다.


정성공 군대는 투구, 등나무 방패, 화기, 도검과 도끼등으로 무장했다. 흑인 노예들은 정예부대에 소속되서 화기를 사용해 마을을 방어했다. 정경(鄭經) - 정성공의 아들 -이 활동하던 시기에 흑인노예들은 근위대와 같이 궁전을 수행하는 역할을 맡았다.


철갑군






1658년에 정성공은 하격관과 호국령에서 청군을 패배시키고 빼앗은 그들의 갑옷에 대해서 부하장수들에게 언급했다. 전리품으로 노획한 갑옷은 무쇠 비늘로 덮여있었다. 정성공은 어렸을 때 일본에서 보았던 중갑옷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고 병사들에게 철갑을 입힘으로써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나 강하게 만들어줄 것임을 결정한다.


철갑옷을 입고 바위를 안은 채 들판을 3회 이상 왕복할 수 있는 병사만이 정예 부대로 선발되었고 철갑병이라고 불리며 한달에 은 3냥씩을 받았다.





철갑군은 금속 가면과 금속 갑옷을 입고 얼굴에는 그림을 그려넣었다. 정성공은 1만명의 병력을 소집해서 철갑군을 만들었다. 그들은 적의 무기를 두려워하지 않았으며, 항상 부대의 선두에 서서 참마도를 휘둘러댔다. 정성공의 적들은 종종 철갑부대가 신적인 존재라 생각했다. 청나라 군대가 처음 철갑군을 보았을 때 그들은 공격하기를 두려워했다.








포르모사 전투에서 네덜란드인들은 철갑군을 목격하고 정성공의 군대에 대한 공포감이 증가하게 된다. 심지어 그들은 일기장에 정성공의 군대를 그려넣기도 했다. 네덜란드인들은 철갑군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콕싱가의 군대가 사용하는 무기는 3가지로 구분된다. 병력중 일부는 등에 활과 화살을 짊어지고 오른손에는 매우 무거운 검과 왼손에는 방패를 쥐고있다. 나머지 병력은 끝에 휘어진 칼날이 달린 길다란 막대기를 휴대하고 있다. 콕싱가 병사들 모두는 팔과 다리까지 덮는 무쇠비늘 갑옷으로 무장하고 있다.... 그들은 방패로 몸을 보호하고 적을 향해 돌진한다. 적들은 목숨이 두 개라도 있는 것처럼 우리 병력에 돌진하고 후퇴하기를 반복한다. 심지어 돌진하던 병력 중 상당수가 죽었음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병사들은 쳐다보지조차 않고 미친개처럼 우리에게 달려든다."





위의 기록에서 언급하는 방패는 등패이며, 무거운 검이란 운남참마도(雲南斬馬刀)를 의미한다.





네덜란드인이 그린 정성공의 철갑군


등패(藤牌)


정성공의 부대가 등패를 즐겨사용한 데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대만 지역 대부분은 정글로 뒤덮여 있으며, 등나무는 다른 재료에 비해 훨씬 쉽게 구할 수 있고 제작하는데 비용도 적게 든다. 게다가 등패는 대단히 가볍기 때문에 운반과 운용이 매우 쉽다. 마지막으로 등패를 뗏목처럼 이용할 수도 있다. 기름을 먹여 가공한 등패는 화살이나 기타 발사 무기를 막을 뿐 아니라 부력(浮力)도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병사들이 물을 쉽게 건널 수 있었다. 철갑군도 이 방법으로 강을 건너고는 했다. 등패부대는 묘도나 운남참마도를 무기로 사용했다. 전투시에 병사들은 등패를 이용해 날아오는 발사무기 공격을 막아내고 몸을 날려 적병과 말의 다리를 공격했다. 적군의 대형을 격파하는데 이 방법은 매우 효과적이었다.


지휘관에서 말단 병사에 이르기까지 정성공의 병사들은 모두 등패를 휴대했다. 일반적으로 정성공의 부대는 화기와 등패의 비율을 비슷하게 유지했다.


전투시 등패를 이용하는 방법은 보통 5가지로 나누어진다.


1. 몸을 굴려 적병과 말의 다리를 벤다.


2. 성벽을 기어오르거나 적군의 배에 뛰어들 때 화살과 돌을 방어한다.


3. 3명이 조를 지어 한명은 등패로 방어하고 나머지 2명은 공격을 가한다.


4. 등패로 무장한 방진이 적군 대열에 돌진해 근접 백병전을 벌인다.


5. 등패를 이용해 지붕과 벽처럼 대열내에 방어망을 만든 후 적군에게 돌진한다. 청나라 궁기병의 공격이나 기동성이 뛰어난 적과 싸울 때 사용했다.



명계남략(明季南略)이라는 책에서는 정성공 군대가 북방에서 벌인 전투에 대해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첫번째 대형은 창과 함께 둥근 방패로 무장하고 있다. 두번째 대열은 일본제 화기로 무장했다. 정성공의 병사들은 나는 듯이 움직여 적의 기병대앞에 도달해 그들을 죽이고는 했다. 3명이 1개 조를 형성했다. 한명이 방패로 나머지 두명의 병사를 보호했다. 나머지 병사들 중 1명은 말을 공격하고 1명은 기병을 공격했다. 그들의 검은 무척 날카로워서 일격에 갑옷을 베고 말을 두동강 낼 정도였다. 정성공이 군대는 무쇠 갑옷과 무쇠 탈로 무장했으며 길다란 검을 사용해 말들을 토막내었고 오직 발에만 갑주를 착용하지 않았다. 화살이 발에 맞으면 다시 뽑아낸 후 전투를 계속했다. 청군은 그들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오늘날의 등패. 대만 몇몇 지역에서는 등패를 사용하는 무술이 전승되고있다. 그러나 이들이 사용하는 등패는 정성공 부대가 사용하던 것보다는 크기가 작다.





17세기 네덜란드 대포. 정기룡과 정성공은 영국제 대포를 사용했다.








네덜란드측에서 묘사한 콕싱가의 군대





코예트, 최후의 네덜란드인 대만 총독





함부로크 주교가 콕싱가에게 항복하기 위해 코예트 총독을 데려가는 장면을 묘사한 네덜란드 기록화이다. 총독의 딸들이 그를 가지못하게 붙잡으려 하고있다.





네덜란드 측의 항복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나욱 | 작성시간 06.04.18 정성공의 아들대에는 허망하게 무너지던데 ;;;
  • 작성자흑태자 에드워드 | 작성시간 06.04.19 강희제의 치트키앞에서 어쩔수 없었죠;
  • 작성자한교 | 작성시간 06.04.19 그 중국식 성의 특징인 돌문인가.. 겉으로 보기엔 성벽같은데 막상 내부에서 몰래 밖으로 나갈수 있는 구조로된 문을 사용해서 상륙부대를 기습해서 관광했다고 하더군요.
  • 작성자라파예트 | 작성시간 06.04.23 -ㅂ-! 강희제의 치트기의 압박... [엄청난 센스!~]
  • 작성자라파예트 | 작성시간 06.04.23 철갑군이라... 상당히 일본군갑과 비슷한 느낌도 들지만 몽고식 풍도...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