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은으로 흥하고 망한 포르투갈과 에스파니아

작성자캐리어| 작성시간10.03.17| 조회수2142| 댓글 51

댓글 리스트

  • 작성자 ★海東天子☆ 작성시간10.03.22 참고로 은하면 조선도 빠질 수는 없는데, 조선의 주력상품인 '인삼'을 통해 벌어들이는 은의 양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17~18세기 한창 끗발날리던 시절에 '동지사(冬至使)'의 사행 한번에 유입되는 은의 양은 [약3톤]에 달했으며~ 이런 비슷한 사행이 일년에 여러차례 이어졌고, 인삼 밀무역을 통해 유입되는 은의 양은 또한 상당히 많았습니다. 한편, 대마도를 매개로한 일본과의 인삼거래로 벌어들이는 은의 양은 매년 [약5.3톤]에 달했으며~ 여기에도 밀무역을 통한 은의 유입을 고려하면 조선도 꽤 많은 은을 만졌다는 것을 알 수 있죠...ㅎㅎ;;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괜히 '조선인삼 국산화'를 장려한 것이 아니었다는...ㄷㄷ
  • 답댓글 작성자 오로쿠트 작성시간10.03.23 하지만 청의 1880년대 중앙의 재정수입이 1억냥에 지방재정까지 합치면 2억 5천만냥 가량이었고, 일본의 경우 7000만냥(중국 은으로 환산하면) 정도였던데 반해 조선의 화폐 수입은 30만냥에 불과했죠;; 현물조세가 주류였으니 그것까지 환산하면 더 늘겠지만, 조선의 재정이 중국과 일본에 비교하면 열악했음은 분명합니다. 중계무역으로 인한 은의 유입도 사실 청의 해금령과 관련된 경우가 커서 엘런비님의 말에 따르면 숙종대의 일시적 현상이라고 하더군요..
  • 답댓글 작성자 오로쿠트 작성시간10.03.23 다만 불확실한 연구긴 하지만 갑오개혁 이전 3개년간의 연 조세 수입이 평균 1280만냥 정도였다고 합니다. 물론 현물세까지 합친, 전체수입입니다. 그런데 이 경우 중국의 은량과 조선의 량이 동등한 단위였는지가 의문인데, 당시 조선의 세수입인 1280만량을 세곡으로 역산하면 84만석 가량으로, 15량당 1석으로 환산됩니다. 그런데 청의 경우 전귀은천(錢貴銀賤)이었던 18세기에도 1냥당 1~2석 가량으로 환산되었고, 그 이후 아편유입으로 인해 은이 귀해졌던 시기는 물론, 동치중흥 시기 은이 상당량 유입되었음을 감안해도 15냥당 쌀 1석의 가치로 떨어졌다고는 생각하기 힘듭니다. 따라서 조선의 저 수치는 중국 기준으로 환산하면 상당히
  • 작성자 오로쿠트 작성시간10.03.23 떨어지게 되는 것이죠.
  • 답댓글 작성자 ★海東天子☆ 작성시간10.03.23 제가 조선의 은유입을 논한 것은, 조선도 세계적인 '은 블랙홀'인 중국과 세계 1-2위를 달리던 '은 생산국'인 일본 사이에서 나름의 "은의 흐름"으로써 역할을 했다는 것을 말하려한 것이지, 뭔 "은을 이만큼 끌어들였으니까 킹왕짱!"이라는 얘기가 아닙니다...ㅡㅡ; 동아시아 경제사에서 조선이 단순한 일본의 은과 중국의 생사를 매개로하는 [중계무역]으로써의 참여인지, 아니면 적극적인 은 유치국이었는지는 자세한 전모가 밝혀진 바는 없으나~ 조선도 세계적인 "귀금속 무역의 흐름"에서 어느 정도의 역할을 했다는 얘기죠...ㅎㅎ;; 그리고 물론 조선의 재정상태가 다른 두나라에 비해서 열악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海東天子☆ 작성시간10.03.23 그러나 "정부의 재정상태"를 기반으로한 비교는 사실 조선의 상황으로 미루어 매우 불합리한 점이 있습니다. 조선은 후기로 갈수록 조세수취의 규모가 점점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데다, 신분제의 교란으로 안정적인 조세수입을 뒤엎는 양반나부랭이들(면세 특권층)이 늘어나 재정규모가 상당히 작아집니다! 중국이야 원체 나라가 크니 비교불가이고, 일본의 무사계급은 양반처럼 비율이 기형적으로 늘어나 '면세혜택'을 누리는 특권층이 다수를 점하지도 않았잖습니까? 게다가 일본의 경우는 시간이 갈수록 조세의 세율이 살인적으로 높아지죠...ㅡㅡ;
  • 작성자 앨런비 작성시간10.03.23 조선의 조세를 석으로 하면 250~350만 석 정도입니다. 은과 석의 변환은 기억이 까리하니 패스. 대동세, 전세, 삼수세 등을 다 포함했을 때의 이론상 수치이고, 궁방전 그딴거 생각안했습니다. 그거 빼면 좀 더 떨어질듯효.
  • 작성자 앨런비 작성시간10.03.23 중국식으로 환산하니 은으로 1천만냥정도 되는군요. 물론 중국식으로 변환시. 16세기경 은가로 계산이고, 18세기 19세기는 까먹었다능... 군대에 있으니 머리가 굳어가는 것은 좀 용서해주시고; 잡세는 귀찮아서 모두 제외임다. 그리고 이론상이고 실제 연구는 읽기 귀찮고 군대라서 패스. 군바리에게 많은 것을 바라고 떠넘기지 말라능...
  • 답댓글 작성자 오로쿠트 작성시간10.03.23 16세기 통상 은대 미곡비는 은 1냥- 미곡 2석가량이 평균이었습니다. 조세수입의 경우 쌀 4석을 은 1냥으로 대납하도록 했는데, 쌀에 비해 운송비등이 소모되지 않은것을 감안하는 듯 합니다. 순수하게 16세기 기준이면 조선의 조세 300석은 1:2로 계산하면 150만냥 즈음입니다.
  • 작성자 앨런비 작성시간10.03.23 조선인삼 국산화는 솔직히 필요했던것은 사실이나, 그당시 인삼의 무역비율은 20%임다. 대부분 중국산 생사던가, 직물인가 까리한데, 그거 판매로 60%임다. 20%도 솔직히 상당한 수치지만 중계무역의 비율과 비교하면-_-;;; 뭐 인삼의 재배가 본격화되지 않은 17세기 후반 기준이니 18세기는 또 다르겠죠. 인삼은 베트남에도 건너가서 황제께서 성은(?)을 베푸는(?) 수단중 하나로 활용된 센스. 인삼도 그냥 인삼이 아닌 고려인삼으로-_-;; 인삼무역은 생각보다 무섭습니다.;
  • 작성자 캐리어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0.07.16 헐.. 내 글이 요기잉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