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MTW1:고수가 되자!

전술개념정리iv-쐐기형-1.20

작성자hotpocket|작성시간04.09.20|조회수2,928 목록 댓글 10

4. 쇄기형 (중앙돌파)

? 카페에 들어오니 뭔가 달라졌음돠. 핫포켓이란 닉넴 옆에 뜨는 얼굴이 손오공이 쓰는 링 비스무리한거 쓰구 있더군요. 이상타…내는 아바타 절대루 관리않하는 넘인데… 쩝…알구 보니 등급이 하나 올라갔더군요. 뭐시기 장군? 글 많이 올림 되는 건가? 이거 하면 밥이 나오나? 라면 붙여주나? 험험… 거기 까지 생각이 갔을 때 요 진급으로 고수 뭐시기 게시판에 글 을쓸 권한이 생긴다는걸 알았음돠. 흐흐… 당신들 실수한겨. 호랑이한테 날개 달아준거여. 이제 맘대루 휘저으며 다녀야쥐.

 

전술 1편에 양익기병을 추가 했습니다. 게시판을 뒤적거리며 전에 분들이 올린거 뒤지다

바람소리님 글 제목을 보는 순간 아차! 했져. 어떻게 칸나이 회전은 기억하면서 기병양익은기억 못했는지… 읍… 생각해보니 칸나 회전에서 가이우스 테렌티우스 바로… 그 넘이 이거쓰다가 한니발한테 꺠졌음돠.

 

글구… 요번 편하구 담편은 확실한 쓰레기가 될겁니다. 여기 올릴 전술들은 과연 제대로 써먹을 기회가 있는지 많이 의심가는 것들입니다. 그렇다구 오해하지는 마셔. 이 것들이 토탈워에서 효력은 확실히 발휘할 거란거 장담해 들리지. 그런데 그거 하기까지 과정이 무자게 까다로워서…원.

 

1. 쐐기형이란?

2. 쐐기형 진의 전개

3. 주의사항

 

1. 쐐기형이란?

쇄기형이라… 근디 지는 쐐기가 뭔지 모르오. 누가 좀 갈켜주라. 다행히도 요 진형이 어케 생겨먹었는지는 알어. 그러니까 나는 이걸 설명하지.

쐐기형 진은 삼각형 모양을 하고, 날카로운 쪽이 적을 향하는 모양을 하고 있슴돠. 이 진형은 이것저것 생각할것없이 명백히, 오로지 중앙돌파를 위한 진입니다. 굳이 그림 그려 설명할 필요 못 느끼는데, 이제까지 하던거 않함 이상하니까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부대를 정확히 이런 형태로 배치하는 것은 힘들고, 중앙에 밸러가 높은 보병대를 놓고, 또는 본진 앞에다가 별도의 공격력 높은 돌격부대를 편성하는 것으로 사용합니다. 가운데에 기병을 돌격시키고, 보병이 들어가는 것도 같은 방법입니다.

 

2. 쐐기형 진의 전개

쐐기형 진을 짜셨으면 더 이상 생각할것없이, 적의 중앙에다가 박아주면 되겠습니다. 전군은 적극 교전모드로 설정 해주시고, 돌격 유닛은 쐐기진으로 설정해준다음 돌격해야 합니다. 쐐기진으로 설정하면 빠르게 적을 부술수 있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중앙 돌파를 노리는 이 전술에서 필수 입니다.

근디… 여기서 돌파를 하구선 뭘해야 하는지 착각하시는 분들이 있던데 결코 쇄기형은 정면전이 아닙니돠. 댁들이 잘못 이해하구 있어. 쇄기형은 돌파전술이야, 돌파! 뚫고 지나가는거지 누가 거기서 어물쩡거리래? 거기서 적들하구 뒤썩이며 싸웠다간, 상대는 그 시간에 자세를 가다듬을거고, 그러면 기껐 나누어 논 적에의해 양쪽에서 협공당해. 무슨 샌드위치 될일 있어?

댁이 무슨 말을 하고푼지 압니당. 토탈워에서 완전한 돌파는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댁들이 적 돌파도중에 걸려서 못 나오는게 당연하오. 완존 돌파하는게 비정상입니당. 그리고 그러면 어쩔수 없이 그 상태에서 정면전으로 들어가게 되죠. 당신이 원하든 아니든 거기서 서로 갉아먹으며 싸워야 할겁니다. 그럼 도대체 쐐기형을 토탈워에서 어케 써야하는가?

 

여기 나의 대안이오. 이보다 낳은 쐐기형 활용법 있으면 주저말구 리플다시오. 당장 뜯어 고쳐야 하니까. 글구 나두 알구 싶소.

일단 쐐기형을 썼으면, 돌파에 성공해야 합니다. 돌파하여 적을 두개로 갈라놔야 합니다. 완존 돌파일 필요는 없습니다. 대충 두 뭉텅이로 나뉘기만해도 성공입니다. 그런다음, 두 뭉터이로 나뉜것들을 각개격파 해나갑니다. 샌드위치에 않당하게 조심하면서. 별동대로 한쪽발목을 좀 잡아 놓는게 좋습니다.  각개 격파시에는 제발 욕심부리지 말구 작은넘, 해치우기 쉬운 쪽부터 잡으쇼. 빨랑해치우고 뒤돌아서서 공격하는게 관건이니까. 

3. 주의점

쐐기진에서 신경써야 할점은 2가지.

1. 꼭지점의 공격력

2. 돌파후 빠른 공격방향 전환

 

돌파후에 공격방향을 적보다 먼저 돌려야 함돠. 당신이 이끄는 작전으로서 당근히 당신은 무슨일을 해야하는지 알겁니다. 만약 적보다 늦는다면, 고대로 샌드위치 되는거지 뭐.

 

꼭지점의 공격력. 이게 쐐기진에서 젤 중요한겁니다. 빠르게 적의 중앙을 붕괴 시켜야 합니다. 당근히 랜서들이 나서야합니다. 랜서로 하여금 중앙에 구멍을 뻥 뚤어주는 거져. 그럼에 따라 가장 주안이 되는 것은 적군 보병의 낮은 배럴. 알다시피 적의 배럴이 높으면 그 넘들이 랜서가 돌격해 와두 도주를 않함돠. 확실히 말하지만, 그들이 도주하지 않는 이상 이 작전의 희망은 까막득합니다. 정면전이 되어서 당신에게 치명적 일거야 없지만, 서로 소모전에 들어간다는 것은 승률을 1:1로 갈라 먹는다는걸 의미합니다.

 

꼭지점 공격력은, 중앙에 영국의 Gallow Glass같은 유닛을 놓는 것이 탁월합니다. 여기에 각 유닛을 쐐기진으로 설정하고, 각 유닛을 일일이 적의 각각 유닛에 클릭하여 돌격 시킵니다.

 

또는 경우에 따라 우연히 적이 2갈래로 나누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 같은경우 지형이 한쪽으로 기울어있는 산에서 중턱 전투에서 많이 봤습니다. 산 중턱에 있던 적 보병대가 산밑에 있는 저의 군을 내려가 쳐서 언덕 보너스로 공격하려구 하는거져.

그 경우 저는 밑에 넘들을 포기하구, 가운데 있던 넘들을 산위로 보내어 위를 정리시킨 다음, 그 넘들을 긁어 모아서 이번에는 산밑에 있는 적의 주력을 언덕보너스를 얻으면서 돌격, 섬멸 시킵니다.

 

실력자들 사이에서는 중앙돌파란것이 잘 않먹히며, 양익기병이나 초승달진 형태의 진에의해 오히려 포위 당하기 딱좋은 전술입니다. 아마도 고수 소리들으실 때면 알아서 이것의 사용을 자재하게 되실겁니다. 

 

상당히 힘든 전술이란거 이해 하셨는지? 지송함다만, 담편에도 만만치 않게 힘든 전술 올릴겁니다. 초승달형진.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카탁프락트 | 작성시간 04.01.28 쇄기전술이 가능 하려면... 만화 베르세르크에 나오는 가츠정도 되는 장기말이 있을경우에나 가능한.... 전술... 이지요.. 가장 용맹한 병사가 돌파구를 만들고 그틈으로 적의 진형을 파고드는 진형이지요.. 정말 용맹한... 돌격대장이 필요한...ㅡㅡ;;; 진형입니다. 이런 장기말만 갖춘다면 엄청나게 공격적인 진형이지요
  • 작성자카탁프락트 | 작성시간 04.01.28 미디블에서 활용하려면...흠.... 기병이 공격후 이탈하는게 아니라 서있기 땜에..-_-;;; 틈만들려다가 오히려 포위되는게 미디블의 쇄기대형... 위에서 설명하신 적병력을 이분하여 상대하는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제생각엔 말그대로 충격용으로 사용하심이..적군사기저하와 동시에 적군이 움찔하고 움직이게 만드는것..
  • 작성자카탁프락트 | 작성시간 04.01.28 예를 들면 랜서로 중앙에 쳐박으면 랜서를 공격하려고 우르르 몰리는 적들을 아군 보병대가 상대하고.. 경무장병력이 측면과 배후를 돌아치는 전술.... 사실 미디블에서 쇄기대형은 잘안쓰입니다. 하지만 전체적인 부대들의 진형을 삼각형 모양으로 배치시키는방법이 미디블에서의 쇄기대형 정도가 아닐런지.....;;^^
  • 작성자hotpocket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04.02.05 님들의 관심 감사. 쐐기 대형을 중앙에 박아서 충격 주고, 측면 공격을 노린다라... 적을 중앙으로 유도에 성공한다면 대박이겠군요. 음...저의 생각은, 그렇게 쐐기를 쓰느니 차라리 망치 모루를 전개 하여 측면을 전문적으로 노리는게 훨 낳을거 라구 봄돠. 쐐기대형이 효용성이 떨어진다는게 다시 증명되는 군요.
  • 작성자wkdrnssmmla | 작성시간 05.12.30 쒜기 박았는데.. 박는 순간 완전 포위상태면은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