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30일까지 계속된 캄보디아 성역 침공 작전에서 미군과 남베트남군이 얻은 전과는 주로 장비와 보급품의 노획이었다. 공식 집계된 전과는 적 사살 11,390명, 포로 2,300명과 개인화기 22,900정, 공용화기 2,500정, 각종 탄약, 지뢰 1,700톤, 식량 7,200톤 등을 노획하였고 피해는 미군 전사상자 1,860명, 남베트남군 4,650명이었다. 노획된 화기와 탄약의 양은 북베트남군 55개 대대를 무장시킬 수 있는 개인화기, 33개 대대분의 공용화기, 10개 사단의 1년분 탄약소모량(당시 북베트남군의 탄약소모량 기준), 1만여 회의 포격을 할 수 있는 포탄량이었다. 특이하게 대부분이 군용트럭인 차량도 300여 대 노획하였는데 이중에는 포르쉐 스포츠카와 메르세데스-벤츠 세단도 있었다.
이 작전은 사전에 예고된 거나 다름없는 작전으로 기습은 달성되지 못하였다. 4월 14일부터 남베트남군이 월경하여 제한된 작전을 실시하였고 앵무새 부리, 낚시 바늘 지역 작전도 2일 간격으로 실시되어 기습효과를 반감시켰다.
북베트남군도 캄보디아에 우익정권이 들어서고 미국에 지원요청을 하였을 때 월경 작전을 예상하여 북베트남 노동당 남부 위원회(COSVN), 민족해방전선(NLF), 임시혁명정부(PRG) 등의 기구는 이미 철수완료 하였었다. 워싱턴에서 검토되는 기간만도 10일 이상 끌어 적의 사전철수를 도와준 꼴이 되었다. 이와 같은 작전이 완전기습을 달성하였다면 치열한 접전이 예상되어 작전양상부터 달라졌을 것이다. 그러나 기습을 상실한 이 작전으로도 미군의 판단대로 북베트남군의 공세를 최소 6개월 이상 지연시킬 수 있는 효과는 달성하였다.
남베트남군은 보병, 기계화 부대, 포병 등의 제 병과간의 합동작전과 공지합동작전을 실시해보는 중요한 경험을 하였다. 이 경험을 최대로 확대하기 위해서 선두 공격부대를 교대시킬 때에는 새로운 대대를 투입하여 같은 경험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지금까지 책임지역 내에서 통상적인 작전만을 수행하다가 캄보디아 영내 북베트남군의 성역이라고 일컬어지는 지역에서 과감한 공세작전을 실시했던 남베트남군들은 사기가 올라갔음은 물론 자신감도 가질 수 있었다. 작전간 노출된 약점은 항공지원만 선호하였다는 것이다. 적의 강력한 저항에는 뒤로 물러나 건쉽(Gunship)이나 근접항공지원만 요청하였다. 표적의 성질이나 크기가 포병화력이 더 효과적이고 즉각 가용한데도 남베트남군은 포병화력 정도로는 양이 차지 않았고 포병은 아직 신뢰할 수가 없었다.
미 지상군이 개입한 이래 그렇게 희망하였던 캄보디아 성역에 대한 공격작전은 미국과 남베트남의 대학생들을 자극하여 격렬한 반전운동을 일으켰다. 미 의회는 5월 13일 캄보디아 론놀(Lon Nol) 정권을 지원하려는 행정부의 전비지출을 동결시키라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또한 6월 22일에는 지금까지 베트남전 개입의 근거가 될 수 있는 통킹 만 결의안마저 폐기시켰다. 휴전협상도 무기한 연기되었다. 9월 7일부터 비밀협상이 개시되었으나 지지부진할 수밖에 없었다.
댓글
댓글 리스트-
작성자튜어니즘. 작성시간 13.05.15 파월 한국군도 그 작전에 참가했나요?
월남전에서 한국군의 비중이 작았나요?
베트남 전쟁사 연재하는것 보는데 한국군의 존재가 거의 없다시피 했네요?
한국군도 대략 5만명의 전투부대가 월남에 주둔했으면 과히 무시할 수준은 아니라고 봅니다... -
답댓글 작성자푸른 장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 13.05.15 한국군들은 주로 각 지역에서 주요 거점을 방어하는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맹호부대(퀴논), 백마부대(닌호아), 청룡부대(출라이), 비둘기부대(붕타우), 십자성부대(나트랑, 사이공)입니다. 주로 중부 고원지대와 해안지역을 연결하는 지역에 주둔했으며 주로 상대하는 것은 북베트남 정규군이 아니라 지역 베트콩들이었죠. 나중에 춘계공세 때는 북베트남 정규군과 접전을 벌이기도 합니다만 그건 거의 후반기이고 주로 베트콩 상대라고 보면 됩니다. 따라서 캄보디아나 라오스 월경작전에 투입되지 않았죠. 한국군의 비중이 적은 편은 아니었습니다. 미국 다음으로 많은 병력을 파견했고 각 지역을 방어하는 임무는 가장
-
답댓글 작성자푸른 장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 13.05.15 우수하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다만 전쟁 후반기에 가면 한국군도 미군의 영향을 받아 항공지원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여서 미군들의 비판을 받았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