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北, 의제 설정 범위 두고 막판 이견
뉴스1 제공 |입력 : 2013.06.09 20:50
특히 양측은 개성공단 정상화와 금강산관광재개, 이산가족상봉 행사 개최 이외의 추가적인 의제 상정 가능성을 두고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우리측이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재개, 이산가족상봉 행사 개최 이외의 다른 의제를 논의할 가능성을 열어두려는 반면 북측은 의제의 틀을 확대하는 것을 꺼리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이와 관련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은 최근 조국평화통일위원회 특별 담화문에서 밝혔던 수준을 주장하고 있고, 우리측은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이산가족 상봉 문제 등 남북 간 현안'을 의제화 하자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6일 조평통 특별 담화를 통해 개성공단문제와 금강산관광사업, 이산가족상봉, 6·15 공동선언과 7·4 공동성명 발표일을 공동으로 기념할 것 등을 회담 의제로 제시했다.
북한이 미리 밝혀둔 대로 이같은 의제들을 '서울 장관급 회담'에서 다루자며 회담의제를 제한하려는 입장이라면, 우리측은 북측이 상정한 의제 외에 추가로 "남북 간 현안"이라는 문구를 통해 다른 의제도 이번 회담에서 논의할 여지를 남겨두려는 것이다.
이같은 우리측 입장은 일단 북한 문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비핵화 문제 등을 회담에서 제기할 가능성을 열어두려는 의도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뻔할 뻔자지요.
남측은 적당히 꼼수를 부려 기필코 "비핵화" 문제를
당국자 회담에서 논의 하려고 하는 것이고....
북측은 그 문제는 어디까지나 북미간 문제이지 남북간 문제가 아니므로
논의 자체를 거부하고자 하는 것이고.....
따라서 만일 남측이 "비핵화" 문제를 고집한다면
결국 남북회담은 파탄날 수 밖에 없지요.
다음검색
댓글
댓글 리스트-
작성자구분 작성시간 13.06.10 유성 00:37 님/
임동원은 노태우 정부 때부터 남북간 실무군축회담의 주역이었습니다.
노태우때 한반도 비핵화 선언이 나오고 이를 위한 실무군축회담이 진행되었는데요.
임동원은 이때부터 북한 인사들과 만나면서 실무회담을 진행했습니다.
그러다가 김영삼 정부 때 김일성 주석과의 정상회담에도 관여했고요.
임동원이 이러한 경력들을 쌓은 정권은 모두 한나라당 정권이었다는 것을 말하는 겁니다.
그리고 노태우 정권 말기에도 이미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했다고 합니다.
다만, 이때는 너무 정권 말기라서 추진의 실익이 없어 중도에 포기했다고 하더군요.
뭐 대충 이런 뜻에서 한 말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풍계 작성시간 13.06.10 유성 00:37님 이건 누구를 지칭하시는 건가요?
-
답댓글 작성자구분 작성시간 13.06.10 풍계 00:57 님/
유성이라는 닉넴을 쓰는 분이 임동원의 이력에 대해서는 이해를 할 수 있으나,
남북대화가 한나라당 정권 때부터 시작되었다는 말은 납득하기 힘들다고 말하길래
이에 대해 답글로 쓴 겁니다. -
답댓글 작성자소도 작성시간 13.06.10 신한국당인듯~
-
작성자사계 작성시간 13.06.10 원래 쉬운일이 아니라고 봅니다.
물과 기름인데, 물보다 피가 진한건 맞지만
남.북 관계만큼은 예외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