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올 북-중 교역, 사상 첫 60억 달러 돌파 전망' - WFP '북한 가계 지출 43% 식량 구매'

작성자정론직필| 작성시간13.12.05| 조회수1242| 댓글 7

댓글 리스트

  • 작성자 와룡잠호 작성시간13.12.05 엥겔지수가 40%인데 저축 5% -> 이게 상당히 의미있는 숫자같군요. 자본주의에선 엥겔지수가 높을수록 저축이란 꿈도 못꾸는게 맞지 않나요? 또 두집 중에 하나가 텃밭을 갖고 있고 가축도 기르며 대다수가 야생식품을 섭취(1주일에 한번 정도?) 한다는 건 어쩌면 많은 사람이 갈망하는 참살이(웰빙)를 살고 있다는것 아닌가요?
  • 작성자 떼까치 작성시간13.12.06 "세계식량계획 WFP가 올해 7월 북한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북한 주민들의 소비지출에서 식량 구매가 43%를 차지했습니다.




    에너지 비용이 23%로 뒤를 이었고, 의복 구매 12%, 주거 비용 11%, 저축 5%, 교통비 4%, 교육과 기타가 각각 1% 였습니다."


  • 작성자 떼까치 작성시간13.12.06 교육과 기타가 각각 1%
    기타 1%라 한다면 이 속에는 다른 비용과 함께 의료비가 포함되겠군요.
    따라서 의료비는 1%가 안된다는 결론.
  • 작성자 떼까치 작성시간13.12.06 남쪽의 소비지출 내역과 비교하면 참 희안하고 의미있는 결론을 얻을 수 있겠죠?
    남쪽의 소비지출 순위는 아마도 주거비용(주택 융자금과 각종 공과금과 관리비), 교육비, 의료비, 이자. 교통비.......순이 아닐까요?
  • 작성자 떼까치 작성시간13.12.06 남과 북의 소비지출 내역 순위만 가지고도 엥겔지수를 가지고서 남과 북의 생활수준을 비교한다는 것이 얼마나 웃기는 짓인지 알 수 있음.
  • 작성자 떼까치 작성시간13.12.06 남쪽이 만일 북한처럼 주거비용, 교육비, 의료비가 매우 낮고 이자가 없다면 진탕 먹고 노는데 지출이 가장 많겠죠?
    즉 엥겔 지수가 매우 높게 나타나겠죠?
  • 작성자 시간 작성시간13.12.06 2020년 남북이 각각 일인당소득 3만불이 되었을 때
    서로의 생활이 어떨지 참 궁금하네요.
    한 쪽은 북유럽식, 다른 쪽은 약육강식...

    하기야 남쪽이 2020년까지 이런 빈부격차를 이어나가면
    디집어지는 난리가 두어번은 않날까요?

    잘 보았습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