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스크랩] [기타]긴 여행 끝에 자신이 최초로 발견한 별에 도착한 천문학자.jpg

작성자참버드|작성시간22.08.28|조회수6,624 목록 댓글 10

Clyde William Tombaugh (클라이드 윌리엄 톰보) 
1906년 2월 4일 ~ 1997년 1월 17일

 

 

 

미국 일리노이 주에서 태어난 클라이드 톰보는 
어렸을 때부터 별을 관찰하기를 좋아하는 몽상가였다.

 


그는 삼촌의 망원경으로
하늘의 별을 관찰하면서 꿈같은 별의 세계에 푹 빠져들었다.

 


캔자스의 버뎃으로 이사한 후 그는 혼자 힘으로 망원경을 만들었다.
톰보는 새 망원경으로 목성과 화성을 관찰한 후
그림으로 그려서 로웰천문대에 보냈다.

 


그것이 그가 본격적으로 천문학에 뛰어들게 된 계기가 되었다.
로웰천문대의 부름을 받은 톰보는
1929년부터 1945년까지 그곳에서 근무하게 된다.

 

 

 

* * * * *

 

 


1930년 2월 18일 클라이드 톰보는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찍은 사진을 훑어보고 있었다.

 


그 중 한 사진을 보며 톰보는 탄성을 질렀다.

 


그 별은 그토록 찾아 헤매던 행성 X,

 

 

인류가 찾아낸 태양계의 아홉 번째 행성,
나중에 명왕성이라 이름 붙은 바로 그 행성이었다.

 


(아쉽지만 국제천문연맹이 행성에 대한 기준을 바꾸면서 명왕성은 2006년 왜소행성으로 격하되며 재분류되었다)

 

 

 

* * * * *

 

 

 

톰보는 세상을 떠나기 직전

"내 유해를 우주 공간에 보내달라"는 유언을 남겼는데,

 


그의 뜻대로 사후 화장하고 남은 뼛가루 1온스(약 28그램)를
뉴 호라이즌스호에 실어 발사하게 되었다.

(톰보의 유해가 담긴 알루미늄 상자)

 

 

미국인 클라이드 톰보 여기에 눕다.

그는 명왕성과 태양계의 세 번째 영역을 발견했다.

아델과 무론의 자식이었으며, 패트리샤의 남편이었고,

안네트와 앨든의 아버지였다.

천문학자이자 선생이자 익살꾼이자 우리의 친구, 클라이드 W. 톰보(1906~1997)

라는 추모 글귀가 적혀있다.

 

 

 

 

 

2006년 1월 19일 발사된 뉴 호라이즌스호는
9년 6개월 동안
태양을 등지고 56억7천만㎞ 거리의 우주 공간을 날아가

 


2015년 7월 14일

명왕성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약 1만2천550㎞ 거리까지 접근했다.
1만 2천500km는 서울에서 뉴욕만큼 가까워지는 것으로,

 


광대한 우주의 크기를 감안하면
종이 한 장 두께만큼 스치듯 지나간 셈이다.

 

 

 

* * * * *

 

 

 

뉴 호라이즌스호가

명왕성을 직접 관측하면서 보내온 사진 중

 

 

<하트존>이 발견되었는데,

NASA에서는 이곳을

<톰보영역>이라고 이름붙였다.

 

 

 

 

 

"그 순간 마치 그 별이 나에게 윙크하는 것처럼 보였다."

 


─ 클라이드 톰보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기세가다르구나 | 작성시간 22.08.28 소름돋았어!
  • 작성자춘시기고구마 | 작성시간 22.08.28 아 소름돋았어ㅠㅠ 진짜 로맨틱해
  • 작성자도늬노예 | 작성시간 22.08.28 로맨틱 그자체 ..
  • 작성자치즈가치즈 | 작성시간 22.08.29 왠지 모르겠지만 눈물나
  • 작성자속이좀쓰린편 | 작성시간 22.08.29 낭만적이다 뭔가 ㅎㅎ
댓글 전체보기

악플달면 쩌리쩌려.. 다른글

현재페이지 1234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