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여성시대 갈렛
당시 모습을 과학적으로 재현한 짤
대체 어쩌다 이런 일이 생겼는지 알아보자
2000년 1월 31일 샌프란시스코로 향하던 알래스카 항공 비행기. 승무원들을 포함해 총 88명이 타고 있었어
이륙 15분 후 갑자기 뜨는 트림 경고등
저기 빨간색으로 칠해진 꼬리 부분이 트림으로 기수를 상하로 조절하는데 필요한 장치야
자동비행을 끄고 수동으로 조종간을 당겨 일단 상공
1미터로 비행기를 진입시킨 조종사들
다시 자동비행으로 돌린 후 수평을 조정하려 하지만
아무 반응이 없자 LA의 공항에 비상착륙을 선언하고 또 민가를 피해 바다가 있는 쪽으로 비행하겠다고 관제탑에 전달해
LA로 가기 위해 자동비행을 끄자 기수가 예상했던거보다 더 밑으로 기울며 급강하하는 비행기
조종사들은 온 힘을 다해 상공 7300미터로 다시 올라갔어. 60kg를 들어올리는 힘을 계속 써야해서
체력 소모가 크대. 그런데 고도가 유지가 안돼ㅜ
안간힘을 써도 점점 기수가 기울며 80초만에 다시
상공 4000미터대로 내려가버렸어…그래도 다행히
공항이 보여
그런데 그때 뚜둑하는 소리와 함께 회전하며 뒤집혀버림
그 상태로 빠르게 하강하는 비행기
이 모습을 두대의 다른 비행기도 목격했어
방향타 폐달이 발 밑에 있어서 거꾸로 돌아간 상태에선 매우 밟기 힘들었을거라고 하던데 그래도 뒤집힌 상태로 조금씩 고도를 올려가는 조종사들
그러던 와중에 기체의 비정상적인 작동으로 결국 비행기의 엔진까지 나가버려ㅜ
결국 추락하는 비행기…
물에 떨어지는 비행기 사고가 그렇듯 전원 사망이야
사고의 원인은 트림이 상하로 움직이게 도와주는 부품과 그걸 잡아주는(??) 너트가 완전히 마모된게 원인이었어 마모를 막기 위해선 윤활제만 잘 발라주면 되는데 항공사는 돈을 아끼기위해 윤활제 도포는 500시간에서 2550시간 주기로 늘렸고, 너트 점검은 5000시간에서 9550시간 주기로 늘려버린거야…
돈 몇푼 아끼려다 결국 마모 속도는 12배나 빨라지고 소중한 88명의 목숨까지 빼앗아간거지
시속 400키로로 추락해서 보통 사람이 견딜 수 없는 압력이 가해졌을거야 그래서 조사단은 모두 기절 후
바다에 빠졌을거라고 여겼지만 블랙박스 확인 결과
조종사들은 끝까지 조종간을 놓지 않았어
4시 19분
부기장 : mayday
(국제 조난 신호로 이게 관제탑과 교신한 마지막 내용)
4시 20분 38초
기장 : 기체를 다시 돌려놓자. 우리 뒤집혔지만 적어도 날고는 있으니까
4시 20분 54초
기장 : 스피드 브레이크 펴
부기장 : 네
4시 20분 56초
기장: 아 우린 여기서 죽는다
4시 20분 58초
물과 충돌로 사망
댓글
댓글 리스트-
답댓글 작성자아기솜사탕 작성시간 23.01.14 아리가파티 응ㅜㅜ게다가 바다에 떨어지면 구조도 쉽지않아
-
답댓글 작성자Oļ재명 작성시간 23.01.14 물 마찰+속도+연료 때문에 폭발한대.
숲에 떨어지는게 사장 생존율 높다고 들었어. 나무가 쿠션역할 한다고... -
작성자watuwnt 작성시간 23.01.14 너무 안타깝다...
-
작성자나르시스틱체리 작성시간 23.01.14 헉
-
작성자가을 한 장 작성시간 23.01.14 아 조종간 놓지않앗다는게 진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