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교수협의회에 가입을 하였는가(17)

작성자이뭐꾜|작성시간13.04.13|조회수1,394 목록 댓글 12

   그간 많은 분들이 저의 글을 읽고 성원해 주셔서 여기까지 왔습니다우리는 처음부터 교수협의회의 목적이 구성원들의 상생과 행복임을 분명히 했기 때문에, 우리의 진심을 알리면 학교측에서 우리들의 충정을 이해하고 좋습니다. 수원대의 발전을 위해 같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 봅시다라고 나올 줄로 기대했습니다그런데 그게 아니었습니다우리가 너무 순진했나 봅니다

   교수협의회가 출범된 그 다음 날부터 감시가 시작되고 곧 이어서 미행이 시작되었습니다저의 연구실에 출입하는 사람들을 체크하고 제가 드나드는 것을 일일이 감시하기 시작했습니다저는 처음 겪는 일이라 당황했지요.  아무리 교내이기는 하지만 이것은 일종의 불법 사찰이 아닌가 생각이 되더군요 . 그렇다면 저로서도 대비하지 않을 수가 없지요.

   어느 날 연구실이 있는 5층 복도 끝에서 책을 읽는 척하고 앉아 있는 교직원을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었습니다.  카메라 찰칵 소리에 직원은 당황하더라고요그리고는 슬쩍 자리를 비키더라고요아마도 학교측에 저의 행동을 보고했을 것입니다그 다음날은 5층에서 강의하다가 학생들 10여명을 데리고 나와서 함께 사진을 찍었습니다이제 사진 증거는 학생들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학교 측에서는 대화를 하지는 않고, 자꾸 공동대표 세 사람을 설득하고 회유하고 협박하기를 계속하였습니다그래서 제가 많은 사람들에게 교수협의회 설립의 필요성을 공감하게 하기 위하여 327일부터 글을 쓰기 시작하였습니다저의 글이 학교 측에서는 못마땅했나 봅니다원래 그렇지 않습니까양약은 입에 쓰다는 말이 있지요.

   41일에 부총장님이 전화하셔서 교무처장과 저, 이렇게 3인이 라비돌에서 만나 점심을 먹으며 대화를 했습니다.  저는 사실 큰 기대를 안 했습니다.  그분들은 재량권이 없고 단지 총장님 말씀의 전달자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그 자리에서 부총장님은 제가 글쓰기를 중단하면 감시를 중단하도록 윗분에게 건의하겠다는 말을 했습니다.  분명한 것은 부총장님과 교무처장은 감시가 계속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는 42일 하루 글을 쓰지 않았습니다저는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새나라의 어린이 스타일이라서 새벽에 글을 씁니다그런데 2일 아침에 출근하니 여전히 감시가 있고, 오후에도 감시가 이어지는 것입니다그래서 저는, 부총장님 말을 믿은 내가 바보이지 하면서 43일 새벽 다시 글을 썼습니다.

   그런데 3일 출근하고 보니 감시가 없어졌더라고요그래서 이상하다, 왜 갑자기 감시가 사라졌나 하고 알아보니 전날 기자가 취재를 나왔다는 것입니다.  그 기자는 U’s Line 이라고 저는 처음 들어보는 신문의 기자인데, 디시인사이드 수원대 갤러리에서 우리 학교 교수협의회 교수님들이 교내에서 미행 감시를 당하고 있다는 글을 보고서 취재를 시작했답니다그러므로 시간상으로 분명한 것은 학교에서 불법 사찰을 중단한 것은 제가 하루 글을 쉬어서가 아니고, 기자가 취재를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날자를 계산해보니 저는 꼬박 2(14) 동안 사찰을 당한 것입니다그래서 이왕 시작한 것, 14회까지는 가보자고 결심을 했지요그런데 독자들의 반응(?)이 좋아서 16회까지 왔습니다.  사실 매일 글쓰기는 쉽지가 않아요소재도 이제 떨어졌고요그래서 16회에서 중단하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오늘 새벽에, 우연히 이원영 교수에게서 며칠 전에 온 메일을 읽어 보니 학교 측에서 괜한 일을 가지고 시비를 걸어 형사 고발을 할 것 같다는 것입니다.  아니, 이것은 매우 중대한 사태입니다아시는 분은 알겠지만 수원대 남쪽 끝 학교 땅에서 몇해 전부터 교수님 몇 분이서 주말농장 텃밭을 가꾸고 있습니다그런데 학교 측에서는 이원영 교수가 교수협의회를 주도하고 있다고 생각하고서 이원영 교수를 손떼게 하려는 전략을 심사숙고하는 것 같습니다.

   만일 학교에서 이원영 교수를 고발하게 되면 문제가 커지고 복잡해집니다교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교외로 끌고 나가 법원이 개입하고 전선이 확대되는 셈입니다공동대표 세 사람은 도원결의하면서 생사를 같이 하자고 (혈서는 X) 굳게 다짐했는데, 그렇다면 우리도 이원영교수를 구할 전략을 찾아야겠지요이렇게 되면 눈에는 눈이라고, 우리도 학교를 괴롭히는 전략을 선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 자리에서 분명히 말씀드립니다괜히 이원영 교수를 괴롭히지 마십시오만일 이원영 교수를 고발하면 우리도 학교를 불법 사찰로 고발하는 것을 생각해 보겠습니다증거는 충분히 가지고 있습니다우리도 변호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다시 한번 간곡히 말씀드립니다우리는 위기에 처한 수원대를 살리고 구성원들의 상생을 위해 교수협의회를 시작하였습니다대결보다는 대화가 현명한 선택입니다.

 

: 앞으로 이 연재글을 매일 쓰지는 않고 주제가 있을 때에만 쓰겠습니다지금까지의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진리 | 작성시간 13.04.14 '보직'은 봉사의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빨간 완장'차는 자리가 아니지요...그 분들도 언젠가 우리와 함꼐하는 날이 있을 거라는 행복한 꿈을 꾸어 봅니다...
  • 작성자벚꽃축제 | 작성시간 13.04.13 카페 방문수가 매일 1000회를 넘고 있습니다. 물론 그중에는 간첩들도 있겠지만요..주된 이유가 이뭐꼬님의 마음에 와 닫는 글때문인데 아쉽네요. 글쓰기가 쉽지 않은 일이며 다른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 부탁드립니다. 윗분은 교협과 절대 대화할 사람이 아닙니다. 무리수를 계속 둔다면 저희도 다음카드를 꺼낼 것입니다. 두고 보싶시요 다음 카드가 무엇인지....
  • 작성자좋은대학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3.04.14 저도 이뭐꼬님의 글을 읽으면서 매일 희망을 가졌는데, 아쉽네요. 나중에 좋은 대학이 되면 점심식사 한번 대접하겠습니다.
  • 작성자유토피아 | 작성시간 13.04.14 아쉽네요. 이뭐꼬님의 재미있고 유익한 글이 기다려지네요.
  • 작성자봄꽃이좋아 | 작성시간 13.04.20 글을 읽어보면 교무처장과 부총장님은 교협대표들이 사찰당하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 사찰중단과 글쓰기 중단을 협상하자는 것 같군요. 그런데 왜 총장님은 직접 대화를 하지 않았을까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