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연재소설 및 에세이

생명탈핵 실크로드 방문기 23 - 터키 에르주룸으로 이동

작성자무심거사|작성시간19.11.29|조회수176 목록 댓글 16

7/28 ()

 

오늘은 국경을 통과하여 터키로 건너가는 날이다. 아침 이른 시각에 숙소를 출발하여 시내 버스를 타고 시외버스 터미널로 이동하였다.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그리고 조지아까지 세 나라를 지나는 데 2주가 걸렸다. 남은 2주 동안은 터키를 동쪽의 에르주룸에서부터 시작하여 서쪽의 이스탄불까지 횡단할 예정이다.


<그림23> 바투미에서 에르주름까지 버스 여행

 

바투미에서 국경까지는 시외버스를 타지만 국경을 넘은 이후의 교통편은 아직 미정이다. 병산에게 물어 보니 국경에서 가까운 호파(Hopa)까지는 버스로 가고, 호파에서 에르주룸으로 가는 시외 버스를 5시간 정도 타면 오후에 도착할 것이라고 말한다. 모든 교통편과 일정은 병산이 알아서 결정하고 철저하게 준비를 하므로 나는 병산을 놓치지 않고 따라다니기만 하면 된다. 국경을 통과하는데 시간이 조금 걸렸다. 커다란 건물에 들어가서 X레이로 짐을 검사하고, 여권을 제출하고, 얼굴 사진을 찍고, 입국 비자 도장을 받고 등등 국경을 통과하는 데 10분 정도 시간이 걸렸다. 국경 통과를 여러 번 경험한 병산 말에 의하면 다른 곳보다 훨씬 간편하고 시간이 덜 걸렸다고 한다. 한국 여권은 세계적으로 공신력이 높아서 국경 통과하기에는 매우 편리하다고 한다. 그만큼 한국의 국력이 강해졌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23> 터키 지도


인터넷을 검색하니 터키를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정식 명칭은 터키공화국(Republic of Turkey)으로, 한자어로 토이기(土耳其)라고도 한다. 지중해 및 흑해 연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안선의 길이는 7,200이다. 면적은 78(남한의 약 8) 2018년 기준으로 인구는 8200만명(남한의 1.6)이다. 수도는 앙카라(Ankara)이다. 종족 구성은 터키인 80, 쿠르드인 19%, 아랍인 1% 등이다. 언어는 터키어가 공용어이고, 쿠르드어와 아랍어 등도 사용된다. 종교는 인구의 98이상이 이슬람교(종파는 수니파)를 믿고 있다.

 

터키는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10년간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기록했으나, 석유 수입을 위한 과중한 지출에서 오는 국제수지 적자가 산업 발전의 구조적인 결함과 연계되어 1977년에는 높은 재정 적자로 거의 파산지경에 이르렀다. 1978년 국제통화기금(IMF)이 엄격한 금융 규제를 가했으며, 1980년 정부에 의해 실시된 긴축 경제 계획이 주효한데다 해외 근로자들의 송금액이 증가함으로써 터키는 고질적인 무역 적자를 상당 부분 상쇄할 수 있었다. 1970년대에는 많은 비숙련 노동자들이 서유럽(주로 서독)으로 일자리를 찾아 떠났으나 1980년대 이후에는 중동 국가들로 나가는 사람이 많아졌다.

 

수출품은 농업 제품에서 산업 제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데, 섬유 직물이 최대 수출품이다. 주요 수출 상대국은 독일, 이탈리아, 미국이다. 석유가 주요 수입품목이며, 독일은 기계와 장비의 주요공급국이다. 2018년 현재 1인당 국민소득은 11100달러로서 유럽 국가들에 비해서 낮은 편이다. 터키는 NATO, OECD의 회원국이지만 유럽연합(EU)에는 가입하지 못하고 있다.

 

터키의 역사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터키 민족은 서기전 2000년 경부터 아나토리아 반도에 정착하여 독립 국가를 형성해 왔다. 1281년에 설립된 오스만 투르크 제국은 1354년에 유럽에 진출하고 16세기에는 헝가리, 루마니아, 이집트, 알제리까지 그 영토를 확장하였으나 17세기부터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1차 세계대전 때 독일측에 가담하여 패전국이 되고 1920년에 연합국과 체결한 강화조약에 의해 콘스탄티노플의 배후지와 아나토리아 고원만으로 영토가 축소하였다. 19231029일에는 터키공화국으로 독립하고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아타튀르크가 재임 중이던 1938년에 죽은 후, 잦은 정권 교체와 두 번의 군사혁명을 거쳐 1982년에 신헌법을 채택하였다. 신헌법에서 대통령은 7년 임기의 간선제를 채택했으나 2007년 개헌을 통해 대통령의 임기를 5년 직선제로 하되 중임이 가능하도록 했다. 새로운 헌법에 의해 2003년부터 총리로 재임했던 에르도안이 2014년에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에르도안은 2017년에 개헌안을 통과시켰는데, 대통령이 중임 임기 중에 조기 선거를 단행하여 당선되면 다시 5년의 임기 수행이 가능하도록 했다. 새로 개정된 헌법에 따르면 에르도안 대통령은 최장 2033년까지 집권이 가능하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터키와 매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터키는 1949814일 우리나라 정부를 승인하고, 이어 1950년에 6.25 전쟁이 발발하자 유엔군의 일원으로 참전하였으며, 이후 혈맹의 우방국으로서 긴밀한 우호 관계를 유지해왔다. 우리나라는 1957년에 터키와 대사급 외교 관계를 수립한 후 1974년에 문화 협정, 1976년에 항공 협정, 1977년에 경제기술협력 협정, 1978년에 사증 면제 협정, 1994년에 투자 보장 협정, 1997년에 섬유 협정, 1999년에 원자력 협력 협정을 체결하였다. 특히 1971년에는 서울시와 앙카라시가 자매 결연을 맺은 바 있다.

 

터키(Turkey)는 영어식 명칭이고, 현지에서는 터키를 튀르크(Türk)라고 부른다. 튀르크는 국가 이름도 되고 민족 이름도 되는데, 원래 용감한이라는 뜻도 포함되었다. 터키 사람들은 터키라는 영어 이름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터키인들도 영어로 Turkey가 칠면조라는 뜻임을 잘 알고 있고, 또한 영어에서 turkey'겁쟁이'라는 뜻으로 쓰인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터키의 유래가 된 튀르크가 용감하다는 뜻이었는데, 영어에서는 정반대가 되고 말았다.

 

국경을 통과하는데 우연히 친절한 터키 형제를 만났다. 우리의 가방을 들어주고 통관 절차를 친절하게 도와 준다. 국경을 넘자 다른 터키 사람이 승용차로 터키 형제를 기다리고 있었다. 우리가 호파까지 간다고 하니까 차를 태워 준다. 터키 사람에 대한 첫 인상이 매우 좋게 출발하였다.


<그림23> 국경에서 호파까지 승용차로 함께 가다

 

호파에서 35인승 버스를 타고 에르주룸으로 향했다. 에르주룸까지 거리는 245km이고 험준한 산악 지대를 통과하므로 5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버스를 타고 가면서 휴대폰에 앱으로 설치된 고도계로 고도를 재보니 해발 900m에서 1100m 사이를 오르락 내리락 하면서 산악지형을 통과한다. 호수는 하나 보였는데 사람이 사는 마을은 매우 드물었다. 산골 마을이 나타나더라도 불과 몇 가구가 모여 있는 정도였다. 기후가 건조한 듯 바위산이 많고 키작은 나무가 조금 보였다. 우거진 숲이나 경작지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그림23> 터기 동부의 험준한 산악 지형

 

버스가 조그마한 마을에 30분 정도 쉴 때에 식당에서 간단하게 점심을 해결하였다. 터키 화폐 1리라는 우리 돈으로 200원에 해당한다. 두 사람이 30리라를 내고 괜찮은 점심을 먹었으니 터키의 물가가 우리보다 싸다고 말할 수 있겠다. 한참을 더 가자 넓은 평원이 나타나고 멀리에 도시가 보인다. 가는 도중에는 목장도 있고 제법 큰 마을도 나타났다. 에르주룸은 에르주룸주의 주도인데, 로마 시대에 개척된 고도이다. 2017년 기준 인구는 41만명이고 아르메니아 고원에 위치하고 있는데 해발 고도가 1950m나 된다. 2011년 동계 유니버시아드의 개최지였던 에르주룸은 여름보다 겨울이 더 길며 눈이 많이 내려 겨울 스포츠가 발달되었다.

 

버스에서 내려 병산은 휴대폰 가게를 찾아 유심칩을 사서 교환하였다. 나는 휴대폰으로 카톡과 데이터 검색만 가능하면 충분하지만, 병산은 현지에서 국제 전화를 주고 받아야 하기 때문에 유심칩이 필요하였다. 우리는 시내를 걸어서 예약한 호텔에 도착하였다. Hekimoglu라는 이름의 허름한 호텔에 들어가자 남자 직원이 환영하면서 먼저 악수를 청한다. 그러더니 생수 한 병을 먹으라고 주고 또 차를 대접한다. 다시 한번 터키 사람은 매우 친절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한 가지 불편한 점은 터키에서는 어디서나 영어가 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나는 터키어를 전혀 모르고 터키 사람은 워터, 쌩규, 쏘리, 커피 같은 아주 간단한 영어만 알아들으니 대화는 손짓 발짓을 동원하여 겨우 겨우 어렵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답답함은 터키를 여행하는 내내 우리를 떠나지 않고 따라다녔다.


<그림23> 에르주룸의 숙소 (가운데 6층 건물)

 

짐을 풀어놓고 호텔을 나와 근처를 걸어서 둘러보았다. 호텔 가까이에 모스크가 있고 멀리에도 모스크의 커다란 첨탑이 곳곳에 보인다. 터키는 이슬람 국가라는 것이 실감났다. 거리를 걸으면서 식생을 유심히 살펴보니 나무로는 장미, 전나무, 측백나무, 버드나무, 황금 조팝나무, 마가목, 소나무 등이 보였다. 풀 종류로는 팬지, 붉은 크로바, 그리고 반갑게도 접시꽃이 보였다. 조금 걷다가 호텔로 돌아왔다. 우리가 정한 호텔의 1층은 식당이어서 터키 음식으로 저녁식사를 해결하였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단풍나무 | 작성시간 19.11.30 그가 소련의 독재자이던 시절 1951년 지금 이 자리에 사회주의 박물관을 건립한다는 구실로 생가 좌우로 줄지어 있던 비슷한 집들을 모두 헐어버리고 이 박물관 터를 가장 큰 블록으로 조성하는 도시계획을 마련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그 크기는 서울 광화문광장과 비슷하다.
    ‘고리’ 도시를 개조해서 성역화 작업을 한 셈이다.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단풍나무 | 작성시간 19.11.30 광장 한가운데 홀로 자리한 신전처럼 보이는 건축에 다가가면 그 안에 모셔진 아담하고 허스름한 스탈린 생가가 보인다. 그 뒤로는 스탈린의 업적을 전시하는 박물관이 규모와 품격을 과시하며 애워싸고 있다.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단풍나무 | 작성시간 19.11.30 성역화된 신전 내부의 생가 모습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작성자단풍나무 | 작성시간 19.11.30 생가 주변에 스탈린 동상과 그가 사용하던 개인전용열차를 볼 수 있는데, 한국사와도 관련있는 얄타회담에 참석할 때도 이용했다고 하며 경호 목적으로 방탄장치를 해서 무게가 83톤이나 되는 특별한 객차이다.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단풍나무 | 작성시간 19.11.30 열차 내부

    출처: www.molon.de/galleries/Georgia/Gori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