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체질의학

여섯가지로 구분한 심리적 유형

작성자감초|작성시간12.05.06|조회수51 목록 댓글 0

 

 

허준의 동의보감에 나오는 이야기 입니다

노기상(怒氣上)

   - 화를 내면 기가 상승하고                 

희기완(喜氣緩)

   - 기뼈하면 풀어지며

사기결(思氣結)

   - 생각을 많이 하면 맺히고

비기소(悲氣消)

   - 너무 슬퍼하면 몸을 쇠하게 하며

경기란(驚氣亂)

   - 너무 놀라면 어지러우며

공기하(恐氣下)

   - 두려워하면 기운이 아래로 내려간다.

 

두무냉통(頭無冷痛)복무열통(腹無熱痛)

   - 머리는 시원하게 해서 아픈법이 없고

      배는 따듯하게 해서 아픈 법이 없다.

산수신산(酸收辛散)

   - 신맛은 살찌게 하고 매운맛은 살이 빠지게 한다.

 

 

 

엄지발 엄지손 굵은 체질 - 욕심 .나만이즘이 강함<대체로 살이찜>

새끼손까락 긴체질 - 예술적 감성 <콩팥이 발달>

가운데 손가락 엄지발가락이 긴 체질 - 자존심.지식욕 강함

 

둘째손가락 둘째발가락 발달 - 살이잘 안찜.식탐이 적고. 남의 결점 잘 지적

새끼발가락 바깥쪽 .새끼손가락 바깥쪽 발달 - 몸이 차고 .겁이 많음

네째 발가락 네째손가락 발달- 대담.용기

 

 

물질은 관찰자의 정서에 따라서 영향 받는다 <양자의학의 발견>

무정물과 유정물은 서로 교류한다 <천인상응설>

유정물에 동물과 식물이 상호 보완적이다

인간에게 여섯가지 성품이 있듯 식물들에게도 여섯가지 성품이 있다

이러한 문화는 인디언들이 약초하나를 캐도  절을 하는 풍습과 같고

한국의 심마니들의 풍습과 통한다

 

이름을 모르더라도

식물자체의 여섯가지 특성따라 분류한다

 

맛이 시고 덩쿨처럼 꼬아져 자라는 식물은  사람에게도  궐음경락에 작용한다

쓴맛에 자태가 곱고 요염한듯한  식물은 소음경락에 작용한다 <난초>

달고 수분이 많고 땅에 수평적으로 퍼지는 식물은 태음 경락에 작용한다 <수박>

 

쓰고  솜털같은것이 많고 폭발하는 듯한 모습의 식물은  소양경락에 작용한다<담배>

맵고  가시같은것이 있고 딱딱한듯한 모습의 식물은  양명경락에 작용한다 <헛깨>

짭짤하고 뭉친듯한 모습의 풀은 태양경락에 작용한다 <함초>

 

 

태음의 설탕과 양명의 고추가루가 짝이다   <음양이 상대적이다>

소음의 미원과 태양의 소금이 짝이다

궐음의 식초와 소양의 오이<쓰고 떫은>이 짝이다  .. 떫은 맛의 조미료가 없군요

 

동영상의 강의와 좀 다르지만  식탁의 조미료를 어떻게 쓰는지 예를 들었습니다

여기에 상극상생도 응용하면.. 

 

팥죽에 소금

토마토에 소금 .설탕 <차이점>

떡볶이 속에 캐찹

한과<강냉이>속 귤껍질

냉면의 계란

우동의 쑥갓 

복어탕의 미나리

아구찜의 콩나물 

 

이런 고명들의 이용에 대한  이해가 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