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초보]마나커브와 덱

작성자LoudestSilence|작성시간04.11.13|조회수1,827 목록 댓글 0

꼭 초보를 위한 팁이라고는 하지 말아야 할지도..

마나커브는 아직 감이 안잡히는데..--;;;;

 

 

마나커브란?

 

마나커브의 정의:

 

Mana Curve (마나커브) 란 카드의 오른쪽 상단에 있는 마나비용을 수로 전환한것 (즉 컨버티드 마나 코스트 converted mana cost)로 그래프를 그리는것!

 

이라 생각하면 편합니다..-_-;;

 

황당하다고 생각되기도 하겟지만 일단 하나하나 설명을 해 나갑니다..

 

 

컨버티드 마나 코스트 converted mana cost

 

마나비용을 수로 전환한 개념으로써 아래의 예를 보아요~

 

예:  Fact or Fiction 이란 카드의 마나 비용은 3B 입니다...

 

즉 이경우 종합적인 마나비용은 4개가 되죠? 이 4 라는 숫자가 Fact or Fiction 의 컨버티드 마나 코스트 입니다..

 

 

4BB 는  6의 컨버티드 마나 코스트..

BBBBBBBBBB 은 10의 컨버티드 마나 코스트를 가지게 되는거죠...

 

그러니까 총 마나비용이네요...(진작에 이렇게 설명하지;;)

 

 

일단 마나커브 란것은 이렇게 덱의 마나 비용을 계산하여 가상의 그래프를 그린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막대 그래프는 좀 곤란하긴 하지만 상관은 없을지도...-_-;;

 

이렇게 하고 나면 일단 덱에 어떤 카드가 얼마만큼의 마나를 차지하는지 알 수 있죠.

 

가장 안정적인 마나커브는 랜드를 제외한 대부분의 카드가 1에서 3 사이에 있는 경우입니다.

 

혹 비용에 X 라는 것이 들어간다고 하면 대부분 X 는 2 이상이 되는 경우가 많으니 X 대신 2 더하기 다음에 들어가는 마나코스트를 해주세요..

 

 

소위 말하는 안정적인 마나커브를 가진덱의 범주에 포한되지 않는 덱은 어피니티 입니다.

그러면서도 잘도 굴러가는데 이것은 어피니티란 특성 덕분입니다.

어피니티란 것이 컨버티드 마나 코스트 에 관련없이 카드의 비용을 싸게 만들어 주거든요.

기본적으로 4정도 없애는것은 웃으면서 하죠.

즉 어피니티 란 덱은 덱의 구성 자체가 1에서 3 사이 밖에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마나 코스트가 낮은게 왜 안정적이냐고요?

빵빵한 11/11 짜리 생물도 못만드는데?

 

왜냐하면 적은 마나를 사용해서 나온 효과적인 생물들은 상대가 많은 마나를 만들기 전에 상대를 죽여버리기 때문이죠..(과격한가;;;)

 

매직은 오래버티기 게임이 아닌 어떻게든 상대의 라이프를 0으로 끌어내리는 게임입니다.

 

빠르게 나올수록 그만큼 더 공격이 가능하고 그만큼 더 위협이 되는거죠.

 

예외가 없는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덱이 많은 분량의 카드를 이 1에서 3 마나의 카드를 씁니다.

 

컨트롤이라면 조금 더 많은 마나를 사용, 승리조건도 대부분 마나가 많이 들어가는 경우지요.

하지만 이경우 그들은 살아남기위해 (유일한 이유입니다. 살기위해) 모든 것들을 죽이는 공격마법 '신의 분노' 따위를 써버리지요..

초반에 나온 1에서 3 마나 사이의 생물을 죽이려고요..

그만큼..1에서 3마나는 중요하다는 겁니다...

 

 

덱을 짤때는 그 생물ㅡ 혹은 스펠이 강한가 아닌가를 판단하지 말고

 

과연 그 생물-스펠 이 게임을 이기도록 도와줄까를 생각하셔야 합니다.

 

쓸데없이 마나가 많이 들어가고 승리를 확실케 하지 못하는 것들은 필요가 없는것이 매직이니까요. (컨트롤도 포함. 이 경우 승리를 확신하게 해주는것이 최고.)

 

 

물론 토너에 가지 않고 친구들끼리 한다고 해도..

 

결국 카드를 사고 덱을 개조하다보면 스피드에서 나오는 힘은 무시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을 느끼실 겁니다..

 

이만~

 

 

 

PS...번역은 언제해...ㅠ_ㅠ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