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초보들을 위한 용어해석 팁 2개~~(중수이상 가세요~~)

작성자WT_Funk|작성시간05.07.05|조회수778 목록 댓글 9
종종 Q&A나 저지에게 룰 질문란에서 보이고 또 예전부터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이 매우 헷갈려 하시는 두가지 경우를 놓고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
"comes into play" VS "put into play"
======================================================================================
1)comes into play
comes into play는 그 문장의 주어가 들어올 때 무언가 특수한 능력이 발동됩니다.
예를들어,

When A comes into play, do B

라는 문구가 있으면(A 가 주어겠죠?)

A라는 녀석이 들어올 때, B 라는 녀석을 하라.

라고 이해를 하시면 됩니다.
comes into play는
주로 자신(즉 comes into play 문구가 들어있는 카드)이 주어이거나
(이런 경우에는 주어 앞에 When이 붙습니다.)
자신이 주어가 아닌 경우에는 생물 타입이나 스펠 타입이 주어인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Whenever 라는 말이 주어 앞에 추가로 붙습니다.)
따라서 생물이나, 아티팩트, 인첸트먼트 등에 많이 볼 수 있는 문장이 되겠습니다.

2)put into play
put into play는 문장이 바로 이렇게 쓰여있지는 않구요

(You may) put A from B into play

이런 형식으로 쓰여 있습니다.

B로부터 A를 플레이에 놓아라(놓을 수 있다)

라고 해석됩니다.
즉 여기서 말하는 A는 주어가 아니고 목적어입니다. 그리고 B는 특정 장소(핸드 혹은 무덤 등..)를 가리킵니다.
주어는 보시다시피 you may(간혹 가다가 target player 혹은 target opponent 등등..)
또는 아예 없는 명령어 형식입니다.
즉, 플레이하는 사람이 주어가 됩니다.
따라서 이런 종류의 문구는 소서리나 인스턴트 같은 주문과 생물등의 활성화 능력에
많이 존재하게 됩니다.

즉 두 가지 경우에 따라서 그냥 자연스럽게 해석만 잘하면 전혀 헷갈릴 것이 없는 거죠
아주 쉽게 따져보면
플레이어가 있고 A라는 생물이 있다면,
플레이어는 A라는 생물을 플레이에 놓고(put into play),
그에 따라서 A라는 생물이 플레이에 들어오게 되므로(comes into play) A라는 녀석이
뭔가 능력을 행하는 것입니다.


즉 put into play는 플레이어(사람)가 카드를 골라서 플레이에 내리라는 명령조의 문장이고
comes into play는 주어인 카드가 플레이에 들어올 때, 특정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

두번째 "All" VS "each"

자...All과 each 두개 다 특정 타겟이 아닌 전체에 발동시키는 마법입니다.
All과 each가 다르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다른 것 없습니다 같은 마법입니다.

그럼 한개의 단어로 통일 시켜 쓰지 왜 all이라고 되어있는 카드도 있고
each라고 되어 있는 카드도 있느냐???
이것은 앞에 있는 단어의 성질에 따라서 결정됩니다.

1)앞에 있는 단어가 수와 관련 없을 경우 all
자. 살펴보시면 아시겠지만 all 이라고 되어있는 경우의 앞 단어는 대부분
destroy이거나 혹은 remove 혹은 return 일 것입니다.
이런 것들은 숫자와 관련이 없이 파괴하다, 제거하다, 되돌리다 등의 그저 행동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따라서 all을 써도 무방합니다.

2)앞에 있는 단어가 수와 관련 있을 경우 each
자. 다시 살펴보시면 아시겠지만 each라고 되어 있는 경우의 앞 단어는 대부분
X damages 혹은 put X token 등...X라는 수에 관련된 단어들이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두 문장을 비교해 볼까요?

가. A 2damages all creatures.
나. A 2damages each creature.

두 문장이 같다라고 하시겠지만 가. 문장은 의미가 애매합니다.
2데미지를 모든 생물에게 준다라는 것은 모든 생물이 있는데 고작 2데미지만 준다는 것인지
아니면 한 생물당 2데미지씩 준다는 것인지 의미가 명확하지 않죠.
(즉 생물이 5마리 있다면 전자는 5마리중에 몇한테 2데미지 주고 끝 <--제가 쓴 이 문장도
상당히 의미가 애매함..어찌 하라는 건지..
후자는 한 생물당 2데미지씩 주었으므로 2*5 =10 데미지를 주었군요.)

그러나 나. 문장은 각각의 생물에게 2데미지를 주라는 명확한 의미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5마리의 생물이라면 각각 2데미지씩 주었으므로 2*5 해서 총 10데미지.)
따라서 앞에 숫자를 언급해 주어야 하는 상황에서는 all을 쓰지 않고 each를 써서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해 주는 것입니다.

예전 매직 카드들을 보시면 가. 처럼 쓰인 문장도 간혹 볼 수 있지만
최근에 들어서는 그 의미를 명확하게 서술하기 위해서 나. 의 문장 식으로 서술 합니다.

결론은 all 과 each는 같은 전체마법이라는 것입니다.
======================================================================================

잠 안와서 몇자 적었네요..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유레카]아이링 | 작성시간 05.07.06 프로텍션은 해당 색의 주문이나 능력의 목표가 되지 않는 다는것인데 2/2짜리 레드 프로텍션 슬리버가 죽지 않았다는것은 레드의 목표가 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만약 all이였다면 죽었겠죠. all은 목표를 정하는게 아니니까요. 결국 each라는 것은 해당목표를 개별적으로 각 각 지목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작성자현동섭 | 작성시간 05.07.06 protection from ~은 해당 색의 소스로 부터 오는 데미지를 0으로 만들기 때문에 죽지 않고 살아 있는 것입니다. all과 each의 차이 때문이 아닙니다.
  • 작성자WT_Funk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05.07.07 현동섭님 말씀이 맞습니다. 프로텍션이 있는 슬리버는 전체마법이기 때문에 2데미지를 받게 됩니다 그러나 프로텍션의 능력으로 2데미지가 0데미지가 되어 죽지 않는 것입니다...
  • 작성자dark templar | 작성시간 05.08.18 으음.... 전에 백색 카드중에서. 올블랙크리쳐는 공격 할 수 없다. 라는 인챈트? 였나 뭐, 있었는데 그 효과에는 흑기사(백색보호)가 영향을 받았죠. 만약 현동섭님 말씀처럼 타겟팅이 됫는데 데미지가 0이기 때문으로 해석한다면 흑기사 또한 영향을 받지 않았겠죠?
  • 작성자Mage Power | 작성시간 05.09.25 두둥.. 봐도 이해안간다..=_=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