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최치원, 풍류(風流)란 접화군생(接化群生)

작성자향상일로|작성시간22.10.20|조회수313 목록 댓글 0

우리 전통사상에서 자유분방은 특이하지만 추앙받는 삶의 덕목이었다. 정치 지도자나 사회 지도자가 지나치게 형식화된 규칙이나 절차에 얽매이면 그 사회 분위기는 무거워지고 사람들은 삶의 멋과 흥을 잃게 되기 때문이다. 맹자가 말했다. 왕만 홀로 즐거운 것이 아니라 백성이 함께 즐거워야 한다고. ‘여민락(與民樂)’이 좋은 정치인 것이다. 민중이 절로 흥이 나려면 지도자가 위선의 탈을 벗어야 한다. 딱딱한 절차와 규정에 얽매이는 강박증에서 벗어나 바람의 흐름처럼 자유롭고 유연한 삶의 원리인 풍류를 아는 지도자야말로 착하고 어진 백성(百姓)을 살리는 진정한 지도자가 된다.

 

남북국시대에 통일신라 출신인 고운 최치원(崔致遠, 857~?) 선생은 고조선의 전통사상에서 바람처럼 흐르는 멋과 흥, 신명이 나는 삶의 원리를 발견한다. 선생은 이를 풍류도(風流道)라고 명명한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선생은 『난랑비서문(鸞碑序文)』에서 밝히기를 “나라에 현묘한 도(道)가 있으니 풍류(風流)라 한다. 그 교(敎)를 창설한 내력은 선사(仙史)에 자세히 실려 있으니, 실은 삼교(三敎: 유,불,선)를 포함하여 모든 중생을 접화(接化)하는 것이다. 들어와서는 집에서 효도하고 나가서는 나라에 충성하는 것은 공자(孔子)의 뜻이요, 무위로 일을 처리하고 말없이 교를 행함은 노자의 종지(宗旨)요, 악한 일을 하지 말고 선한 일을 받들어 행하는 것은 석가의 교화이다.”라고 하였다.

 

(國有玄妙之道 曰風流 設敎之源 備詳神史 實內包含三敎 接化群生 且如入則孝於家 出則忠於國 魯司寇之旨也 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周柱史之宗也 諸惡莫作 諸善奉行 竺乾太子之化也)

 

최치원 선생에게 풍류란 방탕한 ‘주색잡기’가 아니라 ‘우리 겨레의 전통적인 선도’를 지칭하는 말이다. 풍류도는 이기적 유아(唯我)주의도 아니며, 군중심리로 획일화된 전체주의도 아니다. 도리어 풍류도는 개체의 자유로운 개성의 발휘가 공동체의 발전과 화합으로 이끌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뜻에서 선생은 풍류의 핵심 원리를 ‘접화군생(接化群生)’이라고 표현한다. “군생(群生)에 접(接)하여 화(化)한다.” 즉 “만물과 접하면서 교화한다(조화된다).”는 원리이다. 다시 말해 풍류는 이기적인 충동에 휩싸여 무책임한 태도로 남들에게 피해를 주는 그런 방탕과는 사뭇 다르다. 한 사람의 자유로움은 모든 사람이 자유로울 때 진정으로 얻어진다. 이렇듯 정치 지도자나 사회 지도자가 뭇 생명과 만나 서로 신나는 품격으로 변모하는 것 이‘접화군생’의 진정한 뜻이며 풍류의 원리인 것이다.

 

글: 김성우 (철학저술가) 참조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