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구
너무 잘 아니 설명생략
2. 태양계
우리 지구가 속해있는 곳
3. 카이퍼 벨트 & 오르트 구름
태양계를 껍질처럼 둘러싸고 있다고 예상하고 있는 가상의 천체집단
4. 우리 은하
지름 약 10만 광년
그렇게 거대한 태양조차도 우리 은하에만 5~6천억개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됨
그런데 우리 은하도 아주 작은 은하에 속하며,
바로 이웃 은하라는 안드로메다 은하에는 항성만 1조개가 넘개 존재할 것으로 예상
5. 국부 은하군
우리 은하, 안드로메다 은하같은 은하들이 약 50여개가 모여 구성되어 있는 은하군
가장 작은 은하 무리를 은하군이라고 부름
그 중 우리가 속해있는 곳이 국부 은하군
(우리 은하군은 30여개로 구성되어 있음)
우리 은하가 속한 국부 은하군은 지름만 약 500만 광년
그런데 이 국부 은하군은 은하군들 사이에서도 작은 은하군으로 분류됨
스테판 오중주라고 불리는 밀집은하군
6. 은하단
수백~수천여개의 은하들이 중력으로 묶인 곳
우리 은하를 중심으로 35억광년 내에서만 약 20개에 가까운 은하단이 존재할 것으로 예측
처녀자리 초은하단
우리 은하가 속해있는 초은하단
국부 은하군을 포함하고 있으며, 때때로 국부 초은하단이라고 불림
처녀자리 초은하단에만 약 5만여개에 가까운 은하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
예전에는 처녀자리 초은하단이라고 표현했는데, 2014년 이 처녀자리 초은하단은
8.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이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으로 편입됨
저 처녀자리 초은하단조차도 이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의 일부일 뿐
초은하단이 여러개가 모인 곳이 바로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즉, 지구, 태양, 태양계, 오르트구름, 우리 은하, 국부 은하군, 처녀자리 초은하단을 포함한 집합체
당연히 우주에는 이런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이 여러개 존재함
대표적으로
섀플리 초은하단
바다뱀자리-센타우루스자리 초은하단
물고기자리-고래자리 초은하단
히페리온 원시 초은하단
같은 것들이 있음
9. 슬론장성
우주의 거대한 벽
관측 가능한 우주 지름의 약 1/60에 해당됨
대표적으로
우주에서 가장 무겁고 거대하다고 알려진 헤라클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도 이런 유형
10. 우주 필라멘트
우주 거대가락이라고 불리는 곳
우리 지구부터 장성들까지 전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크기는 약 930억 광년으로 추정됨
일부의 학자들은 이 필라멘트조차도 우주의 아주 극히 일부일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음
댓글
댓글 리스트-
작성자푸크리린 작성시간 22.05.10 이쯤되면 외계인 없는게 더 이상하네..
-
작성자대충살아그냥 작성시간 22.05.10 우주가 큰 이유를알아
인간중심적 사고로 말하자면
우주 필라멘트도그렇고 구성의생김새가 인간의 뇌랑 비슷하다며
그래서 우주는 인간의 상상력으로 만들어낸 공간이라서 상상=무한이라는 뜻임
그래서 큰거임. 한사람 한사람의 상상력이(우주)가 커서 모으다보니까 커진거임
은 그냥 내 뇌피셜로나온 개소리
우주는 인간이 존재하기 이전부터 존재... 궁시렁 -
작성자내인생의작가는나니까 작성시간 22.05.10 아니 이걸 대체 어떻게 알아낸거냐고.. 이정도면 다른 행성에서 지구에 스파이 심어놓고 힌트주는거 아닌지;;
-
작성자포르타 작성시간 22.05.10 옛날엔 이런거 보면 인간이란 우주의 먼지조차도 못한 존재군.. 이런 생각이었는데 어떤 여시가 이런 먼지만도 못한 인간이 이렇게 드넓은 우주를 관측했다는 게 정말 대단하다!라고 했던 댓글보고 관점이 좀 달라졌어ㅋㅋ
-
작성자나는세상에서라면이제일조아 작성시간 22.05.10 이정도면 뭐 거의 먼지도 눈에는 보이는데 우리는 먼지보다 작겟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