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흥미돋]폭싹 속았수다 - 제주도에서 일은 여자가 다 하는데 왜 남존여비가 심했을까?

작성자(본인 닉네임.|작성시간25.03.10|조회수17,602 목록 댓글 50

출처: https://oak.jejunu.ac.kr/bitstream/2020.oak/23568/2/%EC%A0%9C%EC%A3%BC%204%E3%83%BB3%20%EC%9D%B4%ED%9B%84%20'%ED%99%80%EC%96%B4%EB%A9%8D%20%EB%A7%88%EC%9D%84'%20%EC%97%AC%EC%84%B1%EC%9D%98%20%EA%B2%BD%ED%97%98%EA%B3%BC%20%EA%B8%B0%EC%96%B5.pdf

왜 애순이네 시댁은
본인들도 여자면서
애순이를 쥐잡듯 잡았을까

왜 해녀로 일은 여자가 다 하는데
돈은 여자가 다 버는데
왜 여자가 대우를 못받지

왜 애순이 엄마는 재혼하고
한량 그 자체인 새아빠를 데리고 살았을까

그 배경으로는 4.3 사건이 있었음
원래도 섬 특성상 폐쇄적이었지만
1947년부터 시작된 4.3 사건이 결정타

1. 원래부터 존재한 전통적 가부장제

장자승계 원칙:
제주도에서는 가문의 계승이 장자에게 집중됨.

제사 중심 문화:
아들이 있어야 제사가 이어질 수 있다는 인식이 강함.

여성의 지위:
아들을 낳느냐에 따라 결정되었고,
장자를 둔 여성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높았음.

2. 4·3 사건으로 인한 남성 부족과 그 영향

대량 학살로 남성 인구 감소
→ 성비 불균형 심화.

생존한 남성의 희소성 증가
→ 일부다처제적 구조가 비공식적으로 나타남.

죽은 사람을 기리는 문화 강화
→ 제사 문화가 더욱 중요해지면서
남성 중심 사회가 공고해짐.


3. 홀어멍 마을(홀어머니 마을) 형성

4·3 사건으로 인해 많은 여성이 남편을 잃고 홀어머니들끼리 공동체를 이루며 생활하게 됨.

여성들이 노동과 생계를 책임지면서도,
사회적 권리는 여전히 남성 중심으로 유지됨.

일부 남성 생존자는 희소성이 높아져,
여러 여성과 관계를 맺거나 재혼하는 경우가 증가함.

가부장적 노동 구조 –
여성의 역할 강조, 권리는 남성에게

제주도는 원래부터 여성 노동 비중이 높은 사회였음
(해녀, 농사 등).

하지만 4·3 사건 이후에도 법적 재산 상속과
사회적 권한은 여전히 남성 중심으로 유지됨.

여성들은 가정을 책임지면서도,
사회적으로는 여전히 낮은 지위에 머무름.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미나리젤라또 | 작성시간 25.03.11 ㅋㅋㅋ지금도 저래. 남매들 남녀차별하고 키우고ㅋㅋㅋ
  • 작성자주문하신 아이야 | 작성시간 25.03.11 제주남 서울에서 자취하는데 맨날 엄마가 올라와서 집안일 다해주더라;;;;;;;;;;;
  • 작성자오빤키도작으면서 | 작성시간 25.03.12 제주남 ㄹㅇ ㅋㅋㅋㅋㅋㅋ
  • 작성자그런일을웨하심닛가? | 작성시간 25.03.12 제주남은 제주에서 살기 좋아서 그런가.. 뭍에 나와 살아도 언젠가 꼭 제주로 돌아가려는 마음이 있다는데..
  • 작성자saturnxx | 작성시간 25.03.19 와 쌍도보다 심하구나ㅋㅋㅋㅋㅋ노답이네
댓글 전체보기

악플달면 쩌리쩌려.. 다른글

현재페이지 1234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