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스크랩] [흥미돋]나는 정말 멍청하지만 젖소가 임신을 해야지만 우유를 만든다는걸 몰랐다.

작성자Jack Harlow|작성시간25.03.16|조회수3,882 목록 댓글 12

소울드레서는 우리가 만들어가는 소중한 공간입니다.

댓글 작성시 타인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다해주세요.














젖소는 어떻게 항상 우유를 생산할 수 있을까?

너무나 당연한 얘기지만 임신과 출산을 거치지 않은 젖소는 우유를 생산할 수 없다.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포유류란 동물은 새끼를 배고 낳았을 때만 젖이 나온다. 자연의 섭리에 따른 당연한 사실이지만 관심을 가지고 생각해보지 않으면 눈치채기 어렵다.

즉 우유를 짜내는 젖소는 늘 임신과 출산의 과정을 끝없이 반복한다는 얘기다.

국립축산과학원에 따르면 태어난 송아지는 생후 14~15개월령, 체중이 350kg 전후가 되면 첫 수정을 시작한다. 젖소의 임신 기간은 일반적으로 약 10개월 정도로 생후 약 24개월령 전후에 첫 새끼를 낳는다. 새끼를 낳은 후 약 60일이 지나면 다시 수정을 시켜 임신하게 된다.

국제 동물 권리 보호 기구 애니멀 이퀄리티(Animal Equality)는 '낙농업의 8가지 잔인한 표준 관행'이라는 글을 통해 젖소의 열악한 삶을 고발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소들이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너무 빈번한 인공 수정의 출산, 우유 생산의 과정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애니멀 이퀄리티는 젖소가 '원치 않는' 임신과 출산을 반복한다는 점에서 비윤리적이라고 비판한다.

1년을 주기로 계속해서 출산과 우유 생산의 주기를 반복하게 되면 젖소는 급속도로 기력이 쇠하며 각종 질병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제공하는 인공 수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직장질법으로 한손은 직장을 통하여 자궁경부를 찾아 잡아들고 다른 한손은 정액 주입기를 질로 삽입하여 자궁경부를 통과하여 정액을 주입한다.

애니멀 이퀄리티는 현재 우리 주변에서 우유를 대체할 수 있는 식물성 제품이 많다고 소개했다. 동물을 학대하지 않고도 고영양을 섭취할 수 있는 식품으로 코코넛, 아몬드, 오트밀, 캐슈너트, 두유 등을 시도해볼 것을 권유했다.

joongang.co.kr/article/21815198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소울드레서 (SoulDresser)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아니근데대체왜? | 작성시간 25.03.16 헐 ㅠ미친 ㅜ 존나 당연한건데
    나도 먼가 일케까진 생각못했어ㅜㅜ 젖소 ㅜㅜ
  • 작성자충청레프트 | 작성시간 25.03.16 또 별개로 동물권리운동단체는 젖소, 물고기 이렇게 인간의 쓰임에 따라 이름 붙여진 것도 지적하더라.홀슈타인소, 물살이 이렇게 부르던데
  • 작성자무로돌아가고싶음 | 작성시간 25.03.16 나도 몰랐어ㅜㅠㅠ 이름이 젖소여서.. 진짜 멍청했어 그래서 소문내고 다님 ㅠ
  • 작성자신십오 | 작성시간 25.03.16 역겹다 정말..
  • 작성자콩콩하이 | 작성시간 25.03.17 나도 꽤 나이들고 알았음 충격적이야 ㅠ
댓글 전체보기

악플달면 쩌리쩌려.. 다른글

현재페이지 1234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