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창업교육

인쇄방법, 종이종류, 제본방법 등

작성자바랑|작성시간18.05.31|조회수1,604 목록 댓글 0


인쇄방법

 

마스터 인쇄

경인쇄라고 하는데, 옵셋 인쇄처럼 복잡한 제판과정을 거치지 않은 인쇄방법입니다. 대량의 인쇄물을 제작하는 출판관계자를 제외한 일반인들이 책을 제작할 때 적합한 방법이며, 가격이 저렴합니다. 논문, 회보, 제안서, 교회주보, 전단지 등에 널리 쓰입니다. 보통 컬러인쇄에는 사용하지 않고, 1(1) 인쇄를 주로 하고, 적은 부수에 가능한 인쇄방법입니다. 원본은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 출력본을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옵셋 인쇄

옵셋 인쇄에서 사용하는 인쇄판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어 대량 인쇄가 가능하며, 세밀하고 정교하게 인쇄하여 고급인쇄물에 적합하나 가격이 비쌉니다. 컬러 인쇄물, 사진이 많은 인쇄물, 부수가 많은 인쇄물, 같은 인쇄물을 여러 번 제작할 때 적합하고, 원본은 필름을 보통 사용합니다. 주로 서적, 명함, 신문 등에 많이 이용되고, 인쇄물이 힘 있어 보입니다.

 

 

판 형

 

B5판형(사륙배판)

크기는 182×257mm입니다. A5 변형판인 신국판과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는 판형으로 기술 계통 서적이나 유아용 그림책, 초등학교 저학년용 교과서, 학습참고서 등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A5판형(국판)

크기는 148×210mm으로 A4의 절반입니다. 휴대하기에 편리한 크기이므로 교과서, 소설, 수필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A5변형판(신국판)

크기는 148×225mmA5판형에서 세로의 길이만 키운 것이며 출판 서적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판형입니다. 소설류, 전문도서, 사회과학 도서 등에 쓰입니다.

 

A4판형

크기는 210×297mm로 크기가 큰 편으로 지면이 시원스럽게 느껴지므로 사진이 많이 담겨지는 그래픽지, 디자인지, 여성지, 잡지 등의 판형으로 널리 쓰이나 휴대하기에는 다소 불편한 단점이 있습니다.

 

 

본문 용지

 

백색모조지

본문용지로 사용되는 용지로, 종이의 표면이 매끄럽고 탄력성이 좋으며 색상은 백색입니다. 백색모조지는 색도 인쇄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때 자주 사용됩니다.

 

미색모조지

미색모조지는 출판물의 본문 용지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백색 모조지가 눈부심이 있어 눈에 쉽게 피로를 줄 수 있는데 이 점을 보완하여 미색 염료를 첨가하고 무광 처리하여 생산된 것이 미색지입니다. 그래서 가독성이 높고, 백색모조지보다 가격에서 좀 더 비쌉니다.

본문용지로는 평량 80g/종이를 가장 많이 활용하며 좀더 두꺼운 종이를 원하면 100g/을 사용합니다.

 

색모조지

색모조지는 본문용보다는 장이나 부를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 한 장씩 끼워 넣는 식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중질지

이 종이는 모조지 같은 상질지에 비해 질이 약간 떨어지는 종이입니다. 모조지와 함께 출판물의 본문용지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고급인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아트지

평활도와 광택이 높아 고급 인쇄나 컬러 인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흔히 볼 수 있는 팜플렛이나 광고물 등의 컬러 인쇄물에 사용됩니다.

 

 

표지 용지

 

레자크지

마스터인쇄시 일반 자료집, 회보 등의 표지에 많이 사용되는 종이입니다. 또는 표지와 본문지 사이에 넣는 면지로도 많이 활용됩니다. 다양한 종류의 무늬와 색이 있으며 표지에 사용할 때는 평량 200-250g/을 씁니다.

 

아트지

평활도와 광택이 높아 고급 인쇄나 컬러 인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흔히 볼 수 있는 팜플렛이나 광고물 등의 컬러 인쇄물에 사용됩니다. 본바탕은 흰색입니다. 표지에 사용할 경우 평량 250g/을 주로 사용합니다.

 

컬러표지

표지의 흑백 마스터 인쇄 시 사용되며 옵셋 인쇄와 같은 효과를 냅니다. 흰색 아트지에 다양한 무늬의 컬러색을 입혀 놓은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견본들이 있습니다. 레자크지나 마메이드지에 비해 가격이 비쌉니다.

 

 

출력방법

 

레이저 프린터 출력

해상도가 600dpi급으로 마스터 인쇄 시 원본으로 많이 출력합니다. 600dpi급의 잉크젯 프린터도 있으나 레이저 프린터로 출력한 것 보다 인쇄품질이 좀 떨어집니다.

 

인화지 출력

해상도가 600dpi인 레이저 프린터에 비해 1200dpi급으로 해상도가 높으나 출력비가 3-4배 비싸고, 전문출력소에서 출력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레이저프린터에 비해 해상도가 배로 높으나 마스터 인쇄 시 인쇄질에서 큰 차이를 느끼지는 못합니다.

 

필름 출력

옵셋 인쇄할 때 원본으로 종이가 아닌 1200dpi 필름으로 출력합니다. 전문출력소에서 출력하며 1도에서 4(컬러)분판까지 출력합니다. 1도로 한 페이지 인쇄할 때 1장의 필름이 필요하며 4(컬러)로 한 페이지 인쇄할 때는 4장의 필름이 필요합니다.

 

레이저프린터나 인화지로 출력해서 옵셋 인쇄를 할 수는 있으나 인쇄용 필름으로 만들기 위해 출력본을 카메라 촬영하는 공정을 더 거치게 됩니다. 그러면 처음부터 컴퓨터파일에서 필름으로 출력할 때보다 비용은 더 들고, 해상도는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이나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편집한 파일을 옵셋 인쇄할 경우 바로 출력소에서 필름으로 출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쇄도수

 

1도 인쇄

가장 일반적인 책으로 한 가지 색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합니다. 먹색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다른 색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2-3도 인쇄

다양하고 독특한 편집을 하기 위해 2-3가지 색을 사용하는 것으로 기본색은 먹색이며, 나머지 색은 주로 별색을 사용합니다. 별색이란 4원색 이외의 색을 말합니다. 별색은 도수로 계산할 때 1도로 칩니다. 3도의 경우는 4도로 인쇄할 때와 제작 비용의 차이가 적어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4도 인쇄

4원색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컬러 편집물을 제작할 때 쓰입니다. 인쇄에서 색을 조합한다는 것은 그림 물감처럼 색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4원색 별로 인쇄판을 만들어 인쇄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컬러 그림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그림을 작은 점들로 변환시킨 후 각 점마다 CMYK4등분하여 각 색별로 필름과 인쇄판을 만든 후 같은 종이에 4번 인쇄해야 합니다.

 

 

코팅(라미네이팅)

 

무광 코팅

책표지를 엷은 막으로 코팅하는 것으로 표지보호를 목적으로 합니다. 출판물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코팅방법으로, 유광코팅과 달리 빛이 반사되지 않아 코팅여부를 바로 확인 못하지만 책을 무게 있게 보이게 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유광 코팅

무광코팅과 달리 코팅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표지의 코팅이 빛을 반사해 냅니다. 가격은 유광코팅과 같습니다.

 

 

제본

 

무선철 제본

대부분의 출판물에 사용되는 제본 방식으로 떡제본이라고도 합니다. 출판물이 하나의 묶음으로 정돈이 되면 책 알멩이를 무선철기에 넣어 등면을 기계칼로 이용하여 간 뒤 강력 접착제로 통표지와 함께 바릅니다. 실이나 철사를 쓰지 않고 접착제만을 이용하여 붙이는 방식입니다. 페이지수가 적은 경우는 무선철기에 넣지 못하고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중철 제본

인쇄물의 중앙부분을 철심으로 묶어내는 방법으로 흔히 주간 잡지에 많이 사용되는 제본 방식입니다. 페이지수가 얼마 되지 않는 출판물이나 소형 출판물일 경우 많이 사용됩니다. 주의할 점은 페이지수를 4의 배수로 편집해야 보기 좋은 인쇄물을 얻습니다.(공면이 없도록 합니다)

 

용수철 제본

노트와 같이 얇은 책을 제본할 때 용수철을 이용하는 것으로 넘기기에 편리하고 본문 한 장을 떼어내도 다른 종이가 떨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통 연습장에 많이 사용됩니다.

 

링 제본

바인더라고 불리는 것으로 분문에 링을 끼우기 위해 뚫어 놓은 구멍의 수에 따라 1, 2, 3, 4공 등으로 구별합니다. 분문의 삽입/분리가 편리하지만 가격이 비싼 편입니다.

 

간이 제본

메모지, 원고지, 편지지와 같이 한 장씩 떼어 사용하기 쉽도록 접착제를 약하게 사용하여 제본한 것입니다.

 

 

기 타

 

사진분해

스캔하지 하지 않은 컬러사진을 인쇄할 경우 흑백 또는 컬러로 사진분해하는 과정을 갖습니다. 사진의 모양을 망점들로 분해하는 것으로 흑백/컬러 인쇄여부와 사진 크기, 개수에 따라 비용이 청구됩니다. 마스터 인쇄 시 레이저 출력한 원본에 사진(스캐너로 스캔한 사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사진분해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인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표지 날개

판매 서적들을 보면 표지를 책 크기보다 더 크게 제단하여 표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1/3정도 접히게 하는 제본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표지날개라고 합니다. 날개를 만들면 책이 좀 더 품위 있게 보이고 내구성을 가지게 됩니다.

 

DPI

해상도를 의미하는 DPI란 가로, 세로 1inch(2.54cm) 안에 표시되는 점의 수를 말하는 데 Dot Per Inch의 약자입니다. 600DPI1인치 안에 600개의 점이 들어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인쇄에서 모든 글자나 그림은 점이 있고 없음으로 표현되는데, 표시할 수 있는 점의 수가 많다는 것은 깨끗하고 선명한 출력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평량

종이의 평량을 계산하는 단위는 평방미터당 그램(g/)으로 표기합니다. 즉 사방이 1m인 종이를 달아보았을 때 얼마의 무게가 되는지를 따져, 그것을 단위화 한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80모조라고 하는 종이는 1당 무게가 80g이 되는 모조지라는 뜻입니다.

 

http://cafe.daum.net/sjsool/EgEp/42?q=%EB%A7%88%EC%8A%A4%ED%84%B0%20%EC%9D%B8%EC%87%84%EB%A1%9C%20%EC%B1%85%EC%9D%84%20%EB%A7%8C%EB%93%A4%EB%A9%B4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