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_kSkei6ZTw4
汽水기수=淡海水담해수
■ 汽(=氣 기운기)
김 기, 물끓는 김기, 증기(蒸氣) 기
참고정보
氣(기)의 고자(古字). 氣(기)의 간체자(簡體字). 乞(걸)의 속자(俗字).
자원 字源
상형문자
气자는 ‘기운’이나 ‘기세’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气자는 구름이 흘러가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갑골문에서는 단순히 획을 세 번 긋는 것으로 하늘의 ‘기운’을 표현했었다. 그러나 금문에서는 숫자 三(석 삼)자와의 혼동을 피하고자 위아래의 획을 조금씩 꺾어 그리는 방식으로 바뀌면서 지금의 气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气자는 눈에 보이지 않는 ‘기운’을 표현한 것이기 때문에 부수로 쓰일 때는 ‘기’나 ‘기운’과 관계된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