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운해본 승리

작성자규 경 덕 곽경국|작성시간22.03.10|조회수41 목록 댓글 0

 

운해본이 혜례본을 이김 그러므로 미음비읍 초성은 수고 이응 히옷은 토가 확실하다알갓냐 윤석열 열자가 이재명 하는 명자를초성으로 토극수해선 이긴거다 알갔느냐 어리석은 아그들아

윤석열이 이재명 다시겨룰일은 없지않는가 그러므로 작명을할적 반드시 이응 히옷을 토성을 해선 작명을 해야한다 미음 비읍 피읍은 수성이다

 

작년 팔월달글 리바이벌

 

머리 얼굴에 있는 감관기관 이목구비(耳目口鼻) 설(舌)에 대한 오행의 서로 연관 관계를 한번 강론해볼까 합니다.

사진 삭제링크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2021.08.13. 15:57조회 0

댓글 0URL 복사

머리 얼굴에 있는 감관기관 이목구비(耳目口鼻) 설(舌)에 대한 오행의 서로 연관 관계를 한번 강론해볼까 합니다.

https://youtu.be/s1TFU4z65DQ

 

이 오행은 생극 조화하는 거 아니야 생이라 하는 것은 이렇게 살려줌으로써 상부상조하는 거고 극이라 하는 것은 견재함으로 인해서 균형을 잡으려 하는 그런 논리 체계다 이런 말씀이여

혓바닥 설은 이렇게 혀를 궁굴려서 입을 ㅡ 입 속을 울려서 목구멍에서 올라오는 목청에서 올라오는 기운 울 때가 떨림 판이 목에 있는 거 아니야.

그 떨림 판을 울려오는 올라오는 소리를

서로 조화를 부려서 입에 공명 현상을 일으켜서 각종 말 씀을 만들어내는 것이거든 그러니까

혀의 조화가 대단하다. 혀는 또 음식을 먹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맛을 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거야.

그런데

혀가 입을 도와서 말하자면 말씀을 함으로 인해서 귀를 견제하는 겨 귀를 소리를 듣게 하는 데

귀가 얼마나 귀가 아주 말하자면 말을 많이 함으로 인해서 송구럽다고 그러잖아.

그러니까 그 말을 못하게

오형 배열을 본다면 혀는 화에 해당하고 입은 토에 해당하며 귀는 수에 해당하며 눈은 목에 해당하며 그 빛을 발하는 것은 역시 화에 해당해 불에ᆢ ㅡ 해당해 ㅡㅡㅡ

코는 금 쇠에 해당한다.

이래서 오행이 각자 배치되어 있는 모습이야.

눈은 색을 구별해 청황적백흑. 그 코는 냄새를 맡아 아ㅡ냄새로도 구분하는 게 있지

혀는 맛을 보고 입은 말을 하게 되며.

귀는 발음 소리를 이렇게 높낮이 같은 걸 억센트 억양 이런 것을 구분한다 이런 말씀이지

이렇게 다 그 맡은 사명이 다르다 이런 말씀이야 이제.

저 비행기가 또 오네. 비행기가 오면서 이 강론을 방해하려 하는 거여.

또 이렇게 비행기 길목이라야 하지만 지금

와이파이가 터지거든. 와이파이가 안 터지면 이것을 전부다 말하는 녹화를 모바일로 한다 하면 돈이 많이 들잖아.

그래서 나는 늘상 이렇게 와이파이가 터지는 데 와가지고서 이렇게

말하자면 인터넷을 보며 강론을 한다 이런 말씀이야.

그래 말하는 게 귀를 얼마나 송구럽게 해.

그래 그래서 입이 토니 토극수 귀를 이겨서 너 이 말 먹혀들어라.

이 귀구멍아 이렇게 되는 거거든

그러니까 말을 만들어내는 혀바닥을 넌 그렇게 나를 입터러.

토극수 해서 내 귀을 송그럽게 말소리를 먹혀들라고 자꾸 혓바닥을 놀리니.

안 되겠어 너 수극화로 꺼버려야 되겠어.

그래서 혀바닥을 꽉 눌러 재킬려해 그러면서 귀가 눈 색깔이를 구분하는 눈을

생조를 해. 그러면서 저 말 못하게 입을 못 놀리게 목극토해라.

말하자면 입을 놀려서 저건 꽃이다. 지금 저 우는 메미다 하는 거 보다 시야 눈으로 봐가지고.

저건 메미구나 아 -저건 꽃이구나. 저건 색깔이가 노랗다 파랐다 저건 나무다.

이런 삼라만상 삼라만물을 보게 하는 게 목이다 이거야.

눈이다 이거지. 그래 그거 입으로 짓거려 되는 것을.

그래서 귀를 송그럽게 하는 걸 못하게 막는 걸 갖다 목극토라 하는 거야

아 눈을 그래 떠가지고 있으면 계속 사람이 눈을 떠가지고 있어서.

말해 자지 않는다면 얼마나 피곤해 피로하지 ᆢ.

그래서 코가 수면욕을 가리켜. 숨을 쉬면서 편안하게 쉬는 거.

숨을 쉬어 말야 ᆢ 그래서 금극목해서 너 눈 감아라.

금극목해서

자꾸 뭘 쳐다볼 게 아니라 남 잠 못 자겠시리.

왜 저렇게 쳐다보기만 하고 어ㅡ괜히 피곤한 거지 심신을 ᆢ.

심신을 피곤하게 하느냐 이러면서 금극목해서 눈을 감게 한다 이런 말씀이야.

너 색깔이 구분하는 것보다 내 코로 냄새 맞는 게.

더 빠르다. 더 낫다. 어-

냄새가 향기롭잖아. 고소하고 악취가 나면 구린내가 나며 별 이상한 냄새까지 다 맞지 않아 신 산 끼도 냄새를 맡아보고.

시거운거 이런 거 냄새를 다 맞으며 코가 코 역할이 대단한거여

그러니까. 그래서 내 코이 냄새 맞는 기관이 너 눈으로 보는 색갈을 보거나 하는 데 그런 기관보다 더.

말하자면 더 높으다. 그래서 금극목이다.

이놈의 새끼 맞아. 뒤져라 이런 식으로 눈을 감아.

내 죽창 세례를 받아라. 이런 식으로

말이야 ᆢ 눈을 감으라고 그래. 나 잠 못 자고 방해하니까 사람의 욕망 중에 수면욕이 제일 중요한 게 푹 잠을 자야지 피곤함이 풀리거든.

그래서 수면욕을 말하는 게 코다 이거야.

드르렁 컹캉 드르렁. 쿵 쿵. 코로 숨쉬어 코가 자꾸 그렇게 잠 만 그리고 잠을 잘라 하면 잠을 못 자게 시리 들깨우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혀바닥이야.

화극금 견제를 그렇게 하는 게 자꾸 너 잠만 잘래.

그래 입을 놀리게 해서. 잠 못 자게

아ㅡ화극금으로 이렇게 헛바닥을 놀려서. 그래 헛바닥에 놀려서.

너 코 냄새 맞는 것보다 내 혓바닥 맛이 더 중요하다.

어ㅡ이렇게 시리 말하자면 오행생극 논리가 돌아간다 이런 말씀이야.

그래선

잠을 못 자게. 화극금 하려 하니까 그렇게 말라고 또 인제 입이 그 혀 기운을 당겨 받아서 당겨 받아 가지고 화생토로ᆢ 토생금 코를 도울려해

그래 그럼 입을 당겨가지고 받아서 토를 도을라 하니까 토가 입이 그러면 그렇게 못하게 기운 못 뺏어가게 눈으로 떠가지고 목극토.

아ㅡ유 잠에서 부시지 일어나면 안 되겠구만.

내가 깨어나야 되겠고만. 그러면서 말하자면 목극토로 입을 누르고 혓바닥을 목생화로 도와서

코.구멍이 숨 쉬어 가지고 잠만 자려는 걸 못 자게시리 콱 막아 재킨다 이런 말씀이야.

알았어 화극금으로 알겠어 ᆢㅡ 이시브럴넘들아

그저 입에서 육두 문자가 부글벅직 지글벅적 지글벅적 막 끓는 다

아 이런 식으로 오행히 돌아가게 되어 있다 이런 말씀이여.

그러니까 오감관 오행 기관이 얼굴에 붙어 있는 오감관 오행 기관이 얼마나 우리 삶에 필요한가 중요한가를 잘 말해준다 할 것입니다

예ᆢ ㅡ이번에는 이렇게 얼굴에 붙어 있는 오감관 기관이 무슨 역할을 하는가.

견제와 상부상조 견제와 상부 상조 역할을 하게 된다.

그래서 균형을 잡아서 사람들이 활동하고 만물 생물들이 활동하는 데 대해서 많은 도움을 줘가지고 삶이 잘 융화되도록 잘 좋게 되도록 하는 그런 성향을 주는 오감관 기관이 되어 있다

아ㅡ이것을 여러분들에게. 지금 강론 드렸습니다 이번에는 여기까지 강론하고.

그저 육두문자가 입에서 부글 지글 벅적 끓는 걸 꾹 참고 강론을 드렸습니다.

여기까지 강론하고 또 다음에 강론을 드릴까 합니다.

*

또 강론을 첨부해 본다 할 것 같으면 얼굴에 있는 이목구비설 오감관기관이 입의 발음.

성향 소리 성음 오행 관계와도 다 연계되어 있다.

이런 말씀입니다

그러니까 목청 울 때를 운해본으로 본다 할 것 같으면 거기 울려서 나오는 근본을 토로 삼는다 이응ᆢ 히옷 인후성 발음 ᆢㅡ 그것을 오감관 기관에서는 전체 입의 상황을 말하는 거야 전체 입의 상황을 입의 공명현상을 말하는 거로 표현하고 있다 이런 말씀이야

그런 다음 눈에 해당하는 목성 발음은.

어금니 이렇게 울 때에서 올라져 올라서 나오는 발음 성향이 꺾어진다 입으로.

이렇게 나올적에 꺾어진다. 기억 자 처럼 꺾어진다 해서 목성 발음으로 하는 거야.

어금니를 울려서 나오는 발음이 울 때에서 목청.

울대에서 그걸 눈으로 보는 거야

오감관 기관에서 그 다음 혀

혀를 입천정을 굴려서 나오는 발음 성향을 화성으로 보는데 불성향으로 보는데 그것 역시 역시 오감관 기관에서도 역시 같이 설 혀바닥으로 본다.

이 혀의 논리로 본다. 이런 말씀이야 그다 금성 코에 해당하는 허파.

코에 해당하는 그런 발음 성향은

앞니 부딪히는 거 그것이 아랫니와 윗니가 이를 부딪히는 것이 세모진 형상 새모뿔 형상을 그린다.

이게 서로 그래 맞닥뜨린다 그래서 그것을 시옷 발음 금성 쇠 발음으로

말하잠 여긴다 이런 뜻이고 그다음 수성 발음.

귀를 생각하는 것은 말씀이 입에서 나아가 가지고 귀를 울린다 이런 뜻도 있겠지만 미음 비읍 피읍하는 이 입술을 미음으로서 말하자면 여긴다.

수성 물성으로 여긴다 그것은 귀와 동일시 된다.

귓구멍 어. 귀청과 동일시 되는 것으로 여겨본다.

이런 뜻이야 말하잠

그러면 예를 들어서 해레본으로 논한다면 미음 비읍 피읍이 입술 발음인데 그것이 토성으로 한다 하면 그것을 귓구멍 토극수 해서 귀를 송그럽게 하는 거.

귀를 못 살게 굴게 하는 거. 그런 의미가 된다 또 목구멍에 있는

인후성 발음 이응히옷 발음을 수성으로 본다면 그것이 귀하고 같은 역할이 된다.

귀가 들어주는 역할로 된다 이렇게 또

말하자면 헤레본으로 보면 그렇게 된다 이런 뜻이야.

그런데 가만히들 곰곰히 생각해 봐. 이것이 그 원리가 해례본이 맞는가 운해본이 맞는가를ᆢ 공곰히들 여러분들 생각하며 연구해 보시길 바랍니다.

입술에서 미음 바읍이 토성이라서 귀구영을 토극수 해서 귀를 송그럽게 해서 소리 귀청을 울려가지고 알아듣게 한다

또 그것이 인제 헤레본인데 ᆢ그것을 이제 미음비읍 같은 귀성으로 여겨서.

같은 귀 수성으로 여겨가지고서 말하자면

입에서 울려 나오는 말씀을 그냥 귀로 바로 이렇게 서로 연계되게 한다.

이것이 이제 두 가지 구분인데 그렇게 한번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목구형에 있는 토성 인후성 발음이.

토성이라 하면 그것이

어떻게 무슨 조화로 인해가지고 입을 공명 현상을 일으켜가지고 뭐든 무슨 여러 말을 해가지고 귀를 토극수로 때리는 역할을 한다 입의 전체로 돼가지고 입을 ᆢ.

전체 공명현상을 일으켜선 귀를 토극수로 때려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니까 말하자면 인후성 발음 이응 히옷이 토성 발음이라면 입술을 미음 비읍 피읍을 토극수로 눌러재켜 때려 억압을 한다.

극으로 부려 일을 시키는것 입술놀려 귀구멍에 소리 집어넣어 귀청때려라 이런식도 된다

그 억압을 해재키면 . 기만 그만. 입을 못 놀리면 귀로 들어갈 말씀이 없을 거 아닌가 뭐 입을 닫고 배로 말을 하는 복화술을 하는가.

꿍꿍이 모냥. 입을 닫고 배로 말을 하는 그런 복화술도 있잖아

그러니까 여러 가지로 한 번 생각해 볼 문제다 이런 말씀이야 그러니 어느 것이 맞는지.

어느 것이 근본인지 울 때가. 인후성 이응 히옷을. 토성 발음으로해 근본으로 해서 그걸 중앙 50토로 삼는가 아니면 입술발음 미음 비읍 비읍을 토성 하고 인후성 발음을 수성으로 생각해서 북방 일육수를 근본으로 삼는가

이것을 한 번 우리는 곰곰히 생각해 봐야 한다 이런 말씀입니다.

그래 요번에도 이 선거에서 아주. 그걸 아주 판갈음 내릴거야.

미움 하는 이재명이가 이길 것인가 이낙연 연 하는 연자와 윤석열 열 하는 그 이응 발음 끝에 발음이 그것이 이길 것인가 이번에 아주 보면 판갈음이 나는 거여.

요번 이제 대선에

임인년 대산에서 판갈음이 나게 되어 있다 말하자면 운해본과 혜레본이 어느 것이 더 발음 성향의 오행을 구분하는 것이 정확한가 이런 것을 판가름해주는 한

판가름 내주는 그런 대선이 될 것이다 이런 말씀이기도 하다 이런 말씀입니다. 예ㅡ

여기까지 강론을

또 첨부해 왔습니다 또 다음에 강론을 드릴까 합니다

*

그러니깐 혜례본 추종자들은 이재명이를 찍어야 자기네들주장이 승리하는거고 운해본 추종자들은 윤석열이를 찍어야 승리한다

오세훈이는 다섯살 훈이지만 ,도리도리는 한살도 못되고 칠개월 아이다

한자 숫자 형(形)을 볼것 같음 일(一)출생해선 바닥에 눞혀놨다는 일개월 됐다는것 거다 이(二)는 수유(授乳)하는 어미 하고 같이 누워 있다는 것 이개월 됐다는표현 ... 삼(三)은 삼개월째 어미 아비 상간에 귀염둥이로 누워 있다, 사(四)사개월째 눈으로 어린 거림을 보고 알아보며 웃고 옹알이 한다는 뜻, 오(五)개월째 아기가 모로 뒤척인다는 취지, 육(六)개월째 배밀이하는 형상이다, 칠(七)개월째 일어나 앉아선 엄마가 하자는 대로 도리도리 짜짝궁 하는 모습이다, 팔(八)개월째 어미가 붙들어 줌 의지해 선다는 뜻 , 구(九)개월째 온전하게 서질 못하고 뒤뚱 거린다는 뜻

십(十)개월째 완전하게 팔벌려 선다는 취지 올된 아이면 12개월 돌새 전에 걷게된다

우리가 잘함 도리도리 짝짝궁 하는 애를 대통령으로 모시고 오년간 지낼판 그 알아볼 징조.. 일편은 재롱보니 즐겁고 일편은 어린 것을 잘 발육 시켜야 하니 암울하고 그런 거다 혹독하고 고달픔을 말로 다할수가 있을가 이다 그렇다고 , 무례한 넘 쌍욕하는 넘 나옴 난 절대 투표 안한다

모두 함량 미달이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