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남의진 정치화(鄭致化)의사 독립유공자로 대통령표창 추서되심
2016년 3월1일 제97회 삼일절에 호수공(湖叟公)의 10세손이시고 삼휴공(三休公)의 8세손이신 정치화(鄭致化)의사께서 독립유공자로 대통령표창을 추서 받으신다.
정치화(鄭致化)의사께서 1906년에 나라의 독립을 위해 영남일대에서 창의한 의병들의 모임인 산남의진(山南義陣)에 삼종(三從)간이신 정치석(鄭致錫), 정치우(鄭致宇) 형제분과 같이 참여하여 큰 공을 세우셨다.
지난 68회 광복절에 정치우(鄭致宇)의사께서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 받으셨고, 70회 광복절에는 형이신 정치석(鄭致錫)의사께서 대통령표창을 추서 받으시어 형제분이 독립 유 공자가 탄생 하였고 이번에 정치화(鄭致化) 의사께서 대통령표창을 추서 받으시니 인구(仁邱) 한마을에 셋 분의 독립 유공자가 탄생한 것이다.
영천시 자양면 충효리 충효재에 서있는 고종황제 밀조비
포항시 죽장면 입암리에 서있는 산남의진 발상지 비
영천시 조양각 뜰에 서있는 산남의진비
제97회 삼일절기념식에서 추서 받은 표창장과 흉장 및 기념품을 증손 정동채가 받고 있다
추서받으신 지일할배의 후손들
1.인적사항
o성명 : 정치화(鄭致化)
o본적 : 경북도 영천군 자양면 용산리 947 번지
o생몰년도 : 1868년 7월 8일생 ~ 1942년 8월 15일 몰
o독립운동계렬 : 의병(산남의진)
o후손 : 손자(孫子) : 정대용(鄭大容), 정동국(鄭東國), 정세용(鄭世容).
증손(曾孫) : 정동채(鄭東彩), 정오식(鄭午植), 억(檍), 성윤(盛尹), 은진(銀眞)
2.공적사항-이기(移記)함
정치화는 (1868년 7월 8일부터 1942년 8월15일) 본관은 영일 자는 예중(禮重) 초명는 정치렬(鄭致烈)이다. 영천출신으로 아버지는 정유보(鄭裕保) 어머니는 이씨이다.
정치화는 산남의진의 대장 정환직의 5종제로 1906년 3월 창의한 산남의진의 중심인물로 참여하여 물자지원 및 연락책을 맡아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산남의진은 1906년 3월 경북영천에서 조직된 항일 의병부대이다. 을사늑약으로 의병이 전국각지에서 일어나자 고종황제의 밀지를 받은 시종관 정환직은 아들 정용기에게 의병을 일으키도록 하였다. 아버지 뜻에 따라 정용기는 1906년 3월 영천을 중심으로 산남의진을 결성하고 의병항쟁을 전개하였다.
이때 정환직의 5종제였던 정치화는 의병 모집 등 창의과정에서 물자를 지원하고 연락을 담당하여 큰 역할을 하였다.
산남의진은 창의를 위해 각군 동모자(同謀者) 연락책을 선정하였는데 이때 정치화는 6촌인 정치석, 정치우 등과 함께 이 임무를 맡았다. 이와 더불어 특히 그는 자신의 사재를 의병자금으로 후원함은 물론 소집 및 군자금모금에 힘써 산남의진이 활약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산남창의지 하권 및 산남의진 유사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o성품이 단아하고 초기에 수차래 오가며 통모(通謀)하였다(선남창의지)
o성품이 단아하고 가계가 부유하였다. 처음에 물력으로서 의진을 원조하였고 후에는 은적
하였다.(산남의진유사)
그 뒤 1차대장 정용기가 전사하고, 2차대장 정환직 마저 순국하고 의병활동이 실패로 끝나자 그는 개탄하며 은거하다가 1942년 생을 마감하였다.
3.근거자료 목록
1).山南倡義誌 卷下 pp34-35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제4집.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0 pp611-612
2).山南義陣遺史 산남의진유사간행위원회 1970. pp,257-258, 542
3).영천의 독립운동사 영천항알독립운동선양사업회, 2013, pp,106-108
4).조인호 <산남의진의 조직과 대일항쟁>. <鄕土慶北> 제7집,
경북향토사구협의회, 2009, pp112-114
5).<영일정씨세보> 9권 영일정씨세보청, 1981, p879
6).忠義孝烈記, p334-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