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Ⅱ 정보 & 자료실

[[설정자료]]미 해군의 새로운 연안 전투함(LCS, Littoral Combat Ship) 체계 PT2

작성자mirageknight [왕성국]|작성시간10.11.08|조회수831 목록 댓글 2

 

PT1에 이어

 

미국의 해안을 책임지는 새로운 전투함 미해군 최신 연안전투함 Independence (LCS 2)

 번역 및 정리 미라지나이트 (king331@hanmail.net www.compmania.co.kr)

 

1990년대 들어 냉전이 소멸되면서 미해군은 해군전략에 있어 향후에는 대양에서의 대규모의 전투가 아닌 해안가까운 지역에서의 소규모 전투가 있을것을 대비하여 새로운 연안전투함을 설계하게 합니다.

 

 

 

 

 

 

[미해군은 90년대 들어 냉전의 소멸과 테러에 대한 대비책으로 연안전투에 적합한 새로운 해안전투선을 도입하게 됩니다. 그중 하나인 LSC-2 인디펜던스호의 모습] 

 

 

 

특히 이런 전략은 2001 9 11일 일어난 9·11 테러로 그 중요성을 더 인정받게 되는데 911 테러의 하늘을 통한 공격뿐 아니라 추후에는 연안을 이용 침투하거난 소형의 보트를 이용한 미해군소속함들에 대한 폭탄테러등이 있을것을 대비해 연안전투에 적합한 새로운 함을 필요로 합니다.  

 

 미 해군은 연안에서 다양한 전투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비교적 소형의 연안전투함(LCS : Littoral Combat Ship)에 대한 계획을 세웠고, 2002 7월에 운용 요구서를 발표하고 함정의 개발에 착수합니다.

 

 

 

 다음은 어둠의 상인님 글에서 GD사 제안만 발췌한 내용입니다.

 

 

 

 

 

 

 

 

 

 

 

 

 

 

 

 

 

 



LCS 연안전투함은 다른 나라의 해군의 호위함이나 초계함에 해당하는 함정이라고 할 수 있다.


미 해군이 구상했던 LCS의 주요 임무는 연안 해역에서의 대수상전과 천해해역에서의 대잠전 및 대기뢰전, 특수부대의 지원 및 연안의 육상목표공격 등이었다. 따라서 미 해군은 LCS에 다양한 작전임무 중 비중이 높은 임무에 맞추어 무장 및 장비체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모듈 방식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처럼 LCS는 모듈만 바꾸어 장비하면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며, 가장 인상적인 것은 LCS가 대기뢰전 임무도 담당하여 1993년에서 1999년 사이에 건조되어 신형인 오스프리급 소해함 12척을 모두 대체하게 된다는 점이다.

 



General Dynamics사의 설계안은 알루미늄제의 삼동선형(Trimaran)이다. 이 선형은 호주 Austal 조선소의 Benchijigua Express 민간 승객/차량 페리선에 기반을 두고 있다. 선체 길이는 127.8m에 너비는 28.4m, 흘수 4.5m에 배수량은 2,637톤이다. General Dynamics사의 설계에 사용된 삼동선형은 현외 장치를 갖는 선체가 길죽한 형태이므로 단일선체 함정에 비해 저항이 작고 그만큼 함정이 빠르다. 또한 같은 크기의 함정에 비해 내파성이 뛰어나고 선체 측면에서 추진되므로 기동성을 좋으며 함정이 피격되었을 경우에도 생존성이 향상된다. 그외에도 높고 무거운 상부구조를 탑재할 경우에도 선박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여유 공간이 많아 장비/무장/헬기 탑재가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General Dynamics사의 LCS 센서장비류는 Ericsson Microwave Systems사의 Sea Giraffe 레이더를 장비한다. 대공/대수상 탐색용의 Sea Giraffe AMB 레이더는 스웨덴의 비스뷔급 초계함에 장비된 것으로 다중 빔 기술을 사용하여 범위 20km, 고도 65,000피트, 고각 70도 내의 다중 위협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ECCM(electronic counter countermeasures)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 레이더는 안테나의 빔 방향 이외에서는 방사되는 전파가 극단적으로 적으며, 탐색시에는 30rpm 비율로 회전하고 대공방어시에는 60rpm으로 회전하게 된다

 



General Dynamics사의 LCS의 대잠장비로는 함수에 기뢰 대응 소나를 장비하고 있으며, 함미에는 예인 소나와 예인 어뢰 기만기를 장비하고 있다. 함미에 장비된 SSTD(Surface Ship Torpedo Defence)는 완전히 자동화된 어뢰 공격 경보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위협을 제거하기 위한 기만기의 배치나 함정의 기동에 대한 전술적인 조언을 제공한다. GD사는 대잠전 임무 모듈로서 USV(unmanned surface vehicle)를 850만 달러에 계약하기도 했다. 이 무인 수상정은 기뢰전(MIW : Mine Warfare) 능력과 대잠전(ASW : Anti-submarine Warfare) 능력을 보유할 예정이며, 아직 USV의 종류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미 해군에 따르면 21피트 길이에 5,000 파운드 이상의 적재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스파르탄 스카우트(Spartan Scout) USV가 고려되고 있다고 한다. 스파르탄 스카우트 USV는 싱가포르와 타이콘데로가급 이지스 순양함인 CG 64 게티즈버그함에서 테스트되기도 하였다. 이렇게 Lockheed Martin사의 LCS 설계안과 General Dynamics사의 LCS 설계안이 모두 USV를 탑재하는 이유는 함정에 대한 테러 위협을 줄일 수 있고 비교적 저가로 해상 초계 능력과 대잠/대기뢰 능력을 확장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General Dynamics사의 LCS 추진기관은 CODAG 방식으로 LM2500 가스터빈 2기와 디젤엔진 2기, 워터제트 4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외에도 보조용 디젤 발전기 4기와 Retractable Azi-Thrusters를 장비하게 된다.

General Dynamics사의 LCS 무장은 함수에 Mk 110 57 mm 함포를 장비하고 있다. 그러나 함수의 공간 문제 때문이지는 몰라도 탑재된 함포의 형태는 완전한 스텔스형이 아닌 보포스사의 57mm Mk 2 함포로 보인다. 이 함포는 2.4kg의 탄약을 분당 220발의 비율로 발사가 가능하며, 사거리는 17km 이상이다. 그외에도 근접하는 수상표적에 대응하기 위해 M2HB 12.7mm 50구경장 기관총 4문을 장비하고 있다. 이 기관총는 분당 550발 발사가 가능하며 유효사거리는 1.85km이다. 또한 함수의 헬기 격납고 위에는 Raytheon사와 RAMSYS가 공동으로 개발한 SeaRAM 대 미사일 방어 체계를 탑재하게 된다. SeaRAM은 기존의 Phalanx CIWS보다 시스키밍 대함 미사일에 대한 대응 거리를 늘리기 위해, 증명된 Phalanx Block 1B의 전자장비와 RAM 대 미사일 체계를 결합한 것이다. 탑재되는 체계는 11연장 발사대이며 RAM Block 1A HAS(Helicopter, Aircraft, and Surface)형 미사일을 사용한다.

 

 

 

 

 


General Dynamics사의 LCS 설계안도 MH-60R/S 2기의 격납이 가능한 헬기 격납고와 MH-60R/S 2기 또는 MH-53 헬기 1기를 운용할 수 있는 헬기 착함대를 보유하고 있다. General Dynamics사의 LCS 설계가 여유공간이 더 많으며 수직 이착륙 무인기는 헬기 격납고와는 별도의 공간에 3기를 적재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MH-60R 헬기는 현재 미 해군이 사용중인 SH-60B와 SH-60F 헬기를 대체하는 다목적 대잠/대수상 헬기이다.

이력및 제원


Ordered: 14 October 2005
Builder: Austal USA, Mobile, Alabama
Laid down: 19 January 2006
Launched: 29 April 2008
Fate: Under construction in US by Navy, unassigned to fleet

일반성능
Displacement: 2176 tons light, 2784 tons full, 608 tons dead, mission payload 210 tonnes
Length: 127.4 m (417 ft)
Beam: 31.6 m (104 ft)
Draft: 4.5 m (14.76 ft)
Propulsion: 2 Gas Turbines, 2 Diesel, 4 waterjets, retractable Azimuth thruster, 4 diesel generators
Speed: 40+ knots, 47 knots (54 mph/87 km/h) sprint
Range: 4,500 nm

무장:
Retractable mine detection sonar
57 mm Bofors gun turret
4 .50-cal guns (2 aft, 2 forward)
3 SRBOC rapid bloom chaff launchers
2 Nulka missile decoy launchers
2 torpedo decoy launchers
SeaRAM 11 missile launcher
Mission modules
Towed Array Sonar
8 Harpoon SSM[citation needed]
1x MK 41 VLS 32-cell to launch ESSM, ASROC[citation needed]

Aircraft carried: 2 MH-60R/S Seahawks
MQ-8 Fire Scout

 

출처 어둠의 상인님 홈페이지 중에서

 

 

이 계획안에 응모한 LM사의 USS Freedom (LCS-1)과 더불어 GD사 제안 연안전투함이 바로 사진의 Independence, LCS 2호입니다.

 

 

 

 

[진수중인 LSC-2 인디펜던스호의 모습 미해군은 2010년까지 LSC-1 /2 중 하나의 함선을 채택 총 51척을 도입함으로서 새로운 연안전투함을 도입하려는 계호기을 추진중에 있다] 

 

이들 연암함들은 2010년안에 LCS 1/2 번함중 한함정을 채택후 향후 50여척이 미해군등에 납품될 예정으로 최근 침체기에 빠진 함선제작업체들에게는 매우 큰 프로젝트중 하나가 될 예정입니다.

 

 

 

[GD사가 주축이 된 LSC-2의 경쟁함정인 LAC-1 의 모습 LM사가 주죽으로 한 LSC-1은 새로운 기술보다는 이미 익숙한 기존의 기술을 주축으로 한 안정적인 성능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중 오늘 알아볼 연암전투함은 LSC-2 입니다.

 

LCS-2함은 냉전 이후 걸프전과 이라크전등을 통해 대양에서의 대규모 해전보다는 연안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해야하는 상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연안 해역에서 비교적 소형으로 빠르게 작전할 수 있는 다목적 전투함의 필요성을 느낀 미해군의 주문으로 개발중인 함정입니다.

 

 

 

 

[LSC-2는 다가올 연안에서의 다양한 임무 대수상전,대잠전,대기뢰전 및 특수부대 운용지원등을 임무를 수행하며 이런 잔적에 적합하게 스텔스 설계를 비롯 삼동선 설계로 우수한 탑재력을 자랑하는 한편 안정적인 항해가 가능한 성체구조를 하고 있다]  

 

LCS 2 전투함은 2003년 미해군이 General Dynamics에 발주한 쌍둥선방식의 전투함으로 알라바마주 Mobile에 있는 Austal USA 조선소에서 2005 10월부터 건조를 시작하여 2006 1월 기공식을 하였고 2008 4월말 진수식을, 2008 10월초 세례식을 거행하였습니다.

 

 

[조선소에서 제작중인 USS Independence (LCS 2) 함의 모습 첫번째 LAS-2 함은  2010년 1 16 Mobile에서 취역식이 거행되었다]

 

함이 완성되어 건조사 시험을 시작한 시기는 2009 10 21일부터이며 11 19일 수락 시험을 실시합니다.

 

2009 12 9일 미해군은 첫번째 INSURV 검수후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지만 해군이 함을 인수하기전까지 수정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고 2009 12 17일 미해군은 Independence (LCS 2) 함을 인수하며 18일 공식적으로 함의 관리를 인정합니다.

 

USS Independence (LCS 2) 함은 2010 1 16 Mobile에서 취역식을 거행합니다.

 

 

[ 2010 1 16 Mobile에서 취역식을 거행한후 취역중인 USS Independence (LCS 2) 호의 모습]

 

LCS-2함은 현재 취역중인 함선으로는 특이하게 새로운 기술과 스텔스 설계를 적극 도입하였는데 대표적인 함체 설계에는 호주 Austal 사의 삼동선 Benchijigua Express 민간 승객/차량 페리션을 베이스로 개발되었으며 Austal USA 조선소에서 알루미늄으로 선체를 제작한것으로 알려졌습니다.

 

 

[LAC-2의 함체는 Austal 사의 삼동선 Benchijigua Express 민간 승객/차량 페리션을 베이스로 개발되었으며 Austal USA 조선소에서 알루미늄으로 선체를 제작한것으로 알다. 이는 삼동선 (Trimaran)형 선체를 적극 채용하여 배수량에 비해 탑재능력을 대폭 키웠으며 이런 높은 탑재력에도 불구하고 삼동선 특유의 뛰어난 설계로 인해 안정성이 우수한 함체로 알려져 있다.]

 

 

LSC-2 는 이런 삼동선 (Trimaran)형 선체를 적극 채용하여 배수량에 비해 탑재능력을 대폭 키웠으며 이런 높은 탑재력에도 불구하고 삼동선 특유의 뛰어난 설계로 인해 안정성이 우수한 함체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최신 함체설계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스텔스 설계를 적극도입 함재배수량 약 2,743톤급에 해당되는 함선임에도 불구하고 레이다상으로는 보트수준의 작은 표시로만 측정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날로 문제시 되는 미해군의 인원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40여명의 승무원으로 모든 함정의 운영이 가능하며 임무에 따라 필요한 경우 추가승무원이 35명을 더 추가될 수 있습니다.

 

 

 

 

[LSC-2 에는 날로 줄고 있는 인력수급의 어려움을 감안해 30~40명 규모의 소규모로도 운용이 가능하도록 많은 부분이 자동화 되어 있다 또한 임무에 따라 30~35명의 추가 인력을 배치하여 다양한 임무에 맞게 튱통성 있게 운용할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LSC-2 는 주임무가 연안해역에서 대수상전,대잠전,대기뢰전 및 특수부대 운용지원등을 임무를 수행하며 이에 따라 무장은 MK 110 57밀리 함포와 팰링스의 레이다 시스템과 RAM11 연장 발사기를 결합한 SEA RAM 미사일등으로 무장하고 있습니다. 그외 함수 부분에는 현재 개발중인 NETFIRES PAM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는 수직발사기 를 탑재하여 함대전 임무와 부분적인 함대공 임무를 모두 행할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주무장으로는 연안에서의 주임무를 고려해 MK 110 57밀리 함포 를 장비하고 있다. 이는 최근 보포스사가 개발 미해군등이 배치중인 신형주포로 분당 220발 이상의 고속발사가 가능하며 대수상 및 대공포로도 사용이 가능한 최신의 함포시스템 이다. 미해군은 LAC-1/2를 비롯 DDG-1000 줌 왈트 신형 구축함의 주포로도 이를 채용하고 있다]  

 

 

 

 

 

[MK110 함포뒤에는 현재 개발중인 NETFIRES PAM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는 수직발사기 를 탑재하여 함대전 임무와 부분적인 함대공 임무를 모두 행할수 있게 되어 있다]

 

 

 

 

 

 [Raytheon/Lockheed Martin PAM/LAM (NetFires NLOS-LS) 사의 신형미사일은 소형이면서 대전차 및 대함 대공용으로 사용한 신형 미사일로 현재 개발중에 있다 이개발이 성공하면 사진과 같이 트럭에도 장착이 가능한 수직형발사기를 장착 다양한 임무로 사용이 가능하며 약간의 개량을 거치면 대함용 미사일로 사용도 가능할 전망이다]

 

 

 

[팰링스의 레이다 시스템과 RAM11 연장 발사기를 결합한 SEA RAM 미사일등도 기본무장으로 탑재중에 있으며 이는 대공 및 대함 미사일로 사용이 가능하다] 

 

 

LSC-2함의 가장 큰 특징은 후방에 위치함 대형의 비행갑판으로 이는 경쟁중인 LSC-1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부분중 하나 입니다.

 

 

 

[LSC-2는 연안전투와 다양한 임무에 적합하게 효율적인 구조를 하고 있다]

 

MH-53 헬기까지 탑재 운용할수 있는 대형갑판에는 보통 SH-60/MH-60 헬기 두대를 운용하여 막강한 대잠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밖에 RQ-8B 무인스카우터 헬기까지 탑재하여 정찰임무에도 탈월한 임무를 수핼할수 있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LSC-2 에는 수송 및 구조 그리고 대잠헬기료 MH-60R 2대를 동시 운용할수 있으며 이 헬기는 현존하는 최고의 대잠용 플랫폼중 하나이다]

 

 

[LSC-2의 가장 큰 장점은 후방의 헬기착륙장에는 MH-53 급의 헬기까지 이착륙이 가능할정도로 넓다. 평소에는 MH-60R급의 헬기를 두대 운용한다]

 

 

 

 

 

[LSC-2에 탑재되는  수직 이착륙 무인기(VTUAV) MQ-8B 파이어 스카우트(Fire Scout)는 탐지 및 전술표적 포착, 추적 및 표적 형상화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공격/전투기, 헬기, 수상함 등의 플랫폼에 정확도가 높은 표적 추적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장 피해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장으로 2.75인치 로켓의 발사가 가능하며, 개량된 정밀 타격 체계를 장비하여 레이저 유도 로켓의 발사가 가능하게 하는 방안도 연구 중이다]

 

 

LSC-2 1번함은 인디펜던스호 (Independence) 호로 2010 116일 알라바마 Mobile 사에서 취역식을 가졌으며 이머 LM사의 2번함 LSC-3, GD 사의 2번함 LSC-4가 건조중에 있습니다.

 

미해군은 올해안에 LSC-1/2중에서 한 함정을 선정하여 모두 51척을 취역시킬 예정에 있습니다.

 

연안전투함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LSC-2

 

LSC-2는 향후 채택된다면 총 51척이 미해군에 납품되며 21세기의 미해안을 지킬 연안전투함으로 미래의 대표적인 연안전투함 입니다.

 

LSC-1 과 비교후 결정되겠지만 현재로서는 제식연안전투함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함으로 911 태러이후 미해군의 전투방향과 전략을 잘 알게 해주는 대표적인 함정이라 하겠습니다.

 

과거 미해군은 4천톤급 이상의 중대형 함선 위주로 대양해군을 꿈꾸었다면 최근 잇따른 테러사건으로 인해 연안에서 활동이 쉽고 빠른 기동이 가능한 함정의 필요성을 뼈저리게 느끼게 되었습니다.

 

특히 2000 10월 발생한 미 해군 함정 USS콜 호() 폭파사건은 9·11테러 이전 알카에다의 존재를 세계에 알린사건으로 콜 호는 남부 아덴항에 정박하던 중 폭탄을 가득 실은 고무보트에 자폭 테러를 당했고, 이 테러로 인해 미 해군병사 17명이 사망한 사건입니다. 당시 미해군의 함정등은 주로 큰 함선들을 추적 섬멸할수 있는 레이다와 무장을 하고 있었으나 고모보트에 폭탄을 가득싣고 자폭테러 같은 원시적인 공격에 거의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 교훈은 2천톤급 미만의 연안전투함의 중요성을 절실하게 깨달게 해주는 좋은 교훈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2000 10월 발생한 미 해군 함정 USS콜 호() 폭파사건은 9·11테러 이전 알카에다의 존재를 세계에 알린사건으로 콜 호는 남부 아덴항에 정박하던 중 폭탄을 가득 실은 고무보트에 자폭 테러를 당했고, 이 테러로 인해 미 해군병사 17명이 사망한 사건이다 ]

 

 

[간단한 고무보트에 폭탄을 싣고 자살폭탄으로 미해군은 소중한 인명 17명의 사망자를 낸 사건으로 이 사건 이후 미해군은 모든 함정에 M2 12.7 mm 중기관총과 M60 7.62mm 기관총등 중화기를 다수 배치하는 한편 같은 테러와 당하지 않기 위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행하였다. 사진은 피격이후의 USS COAL 호의 모습과 피탄구멍의 모습] 

 

 

[USS 콜호의 테러는 함정의 침몰까지는 가지 않았지만 소중한 17명의 사상자와 더불어 3년간의 수리기간 그리고 수많은 수리비가 청구된 사건으로 미해군의 전략에 있어 일대 큰 변화를 준 사건이기도 했다. 사진은 피격당한 콜호를 수리하기 위해 이동중인 모습]

 

 

 

[3년간의 수리를 마치고 콜호는 결국 전선에 복귀할수 있었다. 하지만 이미 사망한 17명의 수병의 목숨은 살릴수 없었으며 미해군의 모든 전술과 무장시스템에 큰 변화를 주는 소중한 경험이 되었다]

 

특히 최근 날로 증가하고 있는 연안으로의 해상침투와 항구등을 목료포하는 테러에 대비하여 기존의 함정들에 비해 더 작으면서 날렵한 기동이 가능한 작은 함선을 필요로 했으며 여기에 대수상전, 대잠전, 및 대기뢰전과 특수부대 운용등 여러가지 다목적 임무에 맞는 새로운 함선의 필요성을 날로 높아져 가는 추세에 맞추어 등장한 LSC-2 함은 이들 임무에 딱 맞는 일석삼조의 다목적 수상함으로 손색이 없어 보입니다.

 

 

 

 

[ 한국해군의 초계함인 포항급 초계함(초계함(浦項級哨戒艦, 영어: Patrol Combat Corvette, PCC) 의 모습 지난 3월 북한의 어뢰공격을 받고 침몰한 천안함 역시 같은 급 함선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연안전투함중 하나이다. 1980년대 개발된 이 초계함은 이번 천안함 사태로 볼수 있듯 북한의 비대칭 전술앞에는 무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이를 대신할 새로운 초계함을 필요로 하고 있다. 만약 새로운 초계함이 도입된다면 LSC-2 를 참고 할만하다]

 

 

 

이는 최근 대양해군으로의 꿈을 펼쳐가는 우리의 해군에 있어 좋은 참고가 될듯한데 지난 3월에 있었던 천암함 사건과 같은 북한의 비대칭전술 공격에 대한 대비책과 삼면이 바다인 우리의 바다환경에서 LSC-2의 개념과 비슷한 연안전투함의 필요성이 더 절실하게 느껴진다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제원

 

 

 

형식: Independence-class littoral combat ship

경하배수량: 2,176 tons

만재배수량: 2,784 tons

적재화물중량: 608 tons

길이: 127.4 m (417 ft)

함폭: 31.6 m (104 ft)

홀수: 4.5 m (14.76 ft)

추진기관: 2× gas turbines, 2× diesel, 4× waterjets, retractable Azimuth thruster, 4× diesel generators

속도: 40+ knots, 47 knots (54 mph/87 km/h) sprint

항속거리: 4,500 nm at 20 knots

적재량: 210 tonnes

승조원: 40 crew (8 officers, 32 enlisted)

 

센서및 관제장비:

Sea Giraffe 3D Surface/Air RADAR

Bridgemaster-E Navigational RADAR

AN/KAX-2 EO/IR sensor for GFC

 

전자전및 기만장비:

EDO ES-3601 ESM

4× SRBOC rapid bloom chaff launchers

 

무장:

57 mm Bofors gun turret

4× .50-cal guns (2 aft, 2 forward)

Evolved SeaRAM 11 cell missile launcher

Mission modules

 

탑재헬기: 2× MH-60R/S Seahawks, MQ-8 Fire Scout

 

 

참고싸이트 및 참고서적

 

 

미라지의 콤프방 (www,compmania.co.kr)

 

트럼페터 홈페이지 (http://www.trumpeter-china.com)

 

유용원의 군사세계http://bemil.chosun.com/)

 

어둠의 상인님 홈페이지(http://icc.skku.ac.kr/~yeoupx/Project636.htm)

 

http://www.fas.org/man/dod-101/sys/ship/row/rus/1155_1.htm

 

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world/russia/1144-pics.htm

 

          (말이 필요없는 군사관련 외국 싸이트)

  

 

모든 무기가 잘 소개된 우리나라 최고의  무기블로그 비겐님의 블로그

(http://kr.blog.yahoo.com/shinecommerce/16465.html?p=7&t=2)

 

위키백과사전 영문판http://en.wikipedia.org/wiki/Wasp_class_amphibious_assault_ship)

 

http://en.wikipedia.org/wiki/Tarawa_class_amphibious_assault_ship

 

http://en.wikipedia.org/wiki/Landing_Platform_Helicopter

 

참고서적

 

세계의 항공모함 (Worlds AIRCRAFT CARRIERS)

(멀티미디아 호비스트 2009.4.10일 홍희범외 ISBN 978-89-85578-18-9)

 

세계최강의 미해병대 (우에다신 1997.12.31 호비스트 ISBN-13 9788985578011)

 

밀리터리 리뷰 (2010.5월호 군사연구)

 

 

           * Wrighten By Mirageknight (2010.11.7  ver 1.0) *

 

 

 

 

(본 게시물의 권리는 미라지콤프(www.compmania.co.kr) 에 있습니다.)

 

 

본 게시물의 상업적 이용과 무단게재를 엄격히 금합니다. 게재를 원할시는

King331@hanmail.net 으로 메일 주시길 바랍니다. 단 개인적 사용하시는건 마음껏 퍼가셔도 됩니다. 다만 출처는 꼭 밝혀주시길… 틀린내용이나 수정부분의 대한 지적은 언제나 환영 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레이(정호경) | 작성시간 10.11.08 엘에쓰씨 외벽이 철은 아닌것 같고 무슨 시멘트로 반죽해서 만든 느낌이 듭니다..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 작성자SoulFlower [김승대] | 작성시간 10.11.08 호오~~저런 사건이 있었군요~~우리나라도 천안함 사건에서 교훈을 찾아야 할텐데 말이죠~~그런데 아직도 의문이 듭니다. 천안함 관련 정부 발표는요~~~ㅡ.,ㅡ;;
댓글 전체보기

Ⅱ 정보 & 자료실 다른글

현재페이지 1234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