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한국사 사료

고려 사심관 제도

작성자빈구름|작성시간11.08.19|조회수210 목록 댓글 0

태조 18년에 신라왕 김부가 항복하였으므로 신라국을 없애고 김부를 경주의 사심관으로 삼아 부호장 이하 관직 자들의 일을 살피도록 하였다. 이를 본받아 여러 공신을 각각 그 본주(本州)의 사심관으로 삼으니 사심관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중략)충렬왕 9년 여러 주의 사심관을 임시로 파하였다. 충숙왕 5년 주군의 사심관을 파하니 백성들이 매우 기뻐하였다

                                        

                                                                고려사. 선거지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