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0일, 중학생 '자기경영' 워크숍 개최! (제 7기)
한 주도 늘 성장하는 시간 가지시길 기원합니다. 짧지만 아주 강력한 한편의 글을
보내드립니다.
#1. 좋은 것을 손에 넣는 진짜 비밀은 무엇일까?
좋은 것을 소유하는 비결은 무엇인가?
세상에는 두 부류의 사람들이 존재한다. 원하는 것을 손에 넣는 사람들과,
원하더라도 그것을 얻지 못하는 사람들의 바로 그것이다.
그러면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가? 행운의 별자리를 타고 태어났기 때문인가
그것이 아니라면 사람들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생활의 격차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나는 오랜 기간 동안 이런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골몰해왔다.
여기에는 분명이 어떤 논리적인 해답이 있으리라고 확신했기 때문이다.
마침내 나는 만족스러운 해답을 찾아냈다. 나는 그것을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주었고,
그들은 모두 그것을 통해 성공적이고 놀라운 결과를 경험했다.
#2.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내는 것이다. 이 일이 생각만큼 쉽지는 않다.
우리가 '객관적 의식'을 단련시켜서 내가 소망하는 것들과 조건들을 명쾌하게 결정할
수만 있다면 비로소 우리는 소원성취의 거대한 첫걸음을 내딛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객관적 의식이란 우리가 평소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각을 의미한다.
#3. 소원성취의 비결은 단언컨대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라디오 전파보다
더 신비하거나 불확실한 것이 결코 아니다. 라디오처럼 주파수만 정확히 맞추면
완벽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나름대로의
장비를 갖춰야 하고 사용법을 알아야 한다.
우리 속에는 어떤 강력한 힘이 존재한다.
이 강력한 힘은 우리가 진실로 원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가질 수 있게 우리를 기꺼이 도와준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실은
이 강력한 힘이 우리를 도와주고 싶어서 안달한다는 것이다.
#4. 이 힘이 톰슨 제이 허드슨 박사가 <정신현상의 법칙>에서 '주관적 의식'
이라고 이름붙인 바로 그것이다. 어떤 학자들은 이에 대해 다른 이름을 붙이기도 하고
색다른 용어를 쓰기도 한다. 그러나 그들이 한결같이 인정하는 사실은 이 힘이
전지전능하다는 점이다.
그래서 나는 이 힘을 임마누엘이라 부른다. ' 임마누엘'은 신이 내 안에 들어와
함께 한다는 뜻이다. 그것을 무엇이라 부르든지, 혹은 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안 하고에
상관없이 이 강력한 힘은 우리가 객관적 의식을 통해서 진정으로 원하는
소망들을 모두 완벽하게 이루어줄만한 충분한 능력이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 강력한 힘이 그런 일을 기꺼이 해준다는 사실이다.
오로지 주의해야 할 한 가지는 우리가 그것을 진심으로 원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5. 먼저 우리가 진심으로 원하는 삶의 조건과 원하는 것들을 중요한
것부터 백지위에 적어보자. 원하는 것이 너무 많다고 두려워하거나 주저할 필요는
없다. 가능한 한 생각나는 것을 모두 적는 것이 중요하다.
그 다음, 어떤 것을 빼내고 어떤 것을 보태면서 소원하는 것이 확실해질 때까지
고치고 또 고친다. 바꾸는 횟수가 많다고 기죽으면 안 된다.
자주 바꾸는 것은 너무 당연한 일이다.
소원이 성취되고 소망이 늘어날 때만다 목록을 바꿔나가는 것은 오히려 당연하다.
#6. <성취의 세 가지 적극적 규칙>
1. 원하는 목록(리스트)을 날마다 아침 점심 저녁 세 차례 읽는다.
2. 원하는 대상을 가급적 자주 생각한다.
3. 아무에게도 이 플랜을 말하지 않고 오로지
자신의 위대한 마음 속에 있는 위대한 능력에게만
이야기한다. 그러면 이 능력이 자신의 객관적 의식에게 소원 성취의
비결을 제시해 준다.
* 출처: RHJ, <It Works>
<알림>
-12월 4일(일요일), 공병호의 '자기경영' 아카데미 개최(제 24기)
한 주도 늘 성장하는 시간 가지시길 기원합니다. 짧지만 아주 강력한 한편의 글을
보내드립니다.
#1. 좋은 것을 손에 넣는 진짜 비밀은 무엇일까?
좋은 것을 소유하는 비결은 무엇인가?
세상에는 두 부류의 사람들이 존재한다. 원하는 것을 손에 넣는 사람들과,
원하더라도 그것을 얻지 못하는 사람들의 바로 그것이다.
그러면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가? 행운의 별자리를 타고 태어났기 때문인가
그것이 아니라면 사람들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생활의 격차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나는 오랜 기간 동안 이런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골몰해왔다.
여기에는 분명이 어떤 논리적인 해답이 있으리라고 확신했기 때문이다.
마침내 나는 만족스러운 해답을 찾아냈다. 나는 그것을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주었고,
그들은 모두 그것을 통해 성공적이고 놀라운 결과를 경험했다.
#2.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내는 것이다. 이 일이 생각만큼 쉽지는 않다.
우리가 '객관적 의식'을 단련시켜서 내가 소망하는 것들과 조건들을 명쾌하게 결정할
수만 있다면 비로소 우리는 소원성취의 거대한 첫걸음을 내딛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객관적 의식이란 우리가 평소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각을 의미한다.
#3. 소원성취의 비결은 단언컨대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라디오 전파보다
더 신비하거나 불확실한 것이 결코 아니다. 라디오처럼 주파수만 정확히 맞추면
완벽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나름대로의
장비를 갖춰야 하고 사용법을 알아야 한다.
우리 속에는 어떤 강력한 힘이 존재한다.
이 강력한 힘은 우리가 진실로 원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가질 수 있게 우리를 기꺼이 도와준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실은
이 강력한 힘이 우리를 도와주고 싶어서 안달한다는 것이다.
#4. 이 힘이 톰슨 제이 허드슨 박사가 <정신현상의 법칙>에서 '주관적 의식'
이라고 이름붙인 바로 그것이다. 어떤 학자들은 이에 대해 다른 이름을 붙이기도 하고
색다른 용어를 쓰기도 한다. 그러나 그들이 한결같이 인정하는 사실은 이 힘이
전지전능하다는 점이다.
그래서 나는 이 힘을 임마누엘이라 부른다. ' 임마누엘'은 신이 내 안에 들어와
함께 한다는 뜻이다. 그것을 무엇이라 부르든지, 혹은 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안 하고에
상관없이 이 강력한 힘은 우리가 객관적 의식을 통해서 진정으로 원하는
소망들을 모두 완벽하게 이루어줄만한 충분한 능력이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 강력한 힘이 그런 일을 기꺼이 해준다는 사실이다.
오로지 주의해야 할 한 가지는 우리가 그것을 진심으로 원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5. 먼저 우리가 진심으로 원하는 삶의 조건과 원하는 것들을 중요한
것부터 백지위에 적어보자. 원하는 것이 너무 많다고 두려워하거나 주저할 필요는
없다. 가능한 한 생각나는 것을 모두 적는 것이 중요하다.
그 다음, 어떤 것을 빼내고 어떤 것을 보태면서 소원하는 것이 확실해질 때까지
고치고 또 고친다. 바꾸는 횟수가 많다고 기죽으면 안 된다.
자주 바꾸는 것은 너무 당연한 일이다.
소원이 성취되고 소망이 늘어날 때만다 목록을 바꿔나가는 것은 오히려 당연하다.
#6. <성취의 세 가지 적극적 규칙>
1. 원하는 목록(리스트)을 날마다 아침 점심 저녁 세 차례 읽는다.
2. 원하는 대상을 가급적 자주 생각한다.
3. 아무에게도 이 플랜을 말하지 않고 오로지
자신의 위대한 마음 속에 있는 위대한 능력에게만
이야기한다. 그러면 이 능력이 자신의 객관적 의식에게 소원 성취의
비결을 제시해 준다.
* 출처: RHJ, <It Works>
<알림>
-12월 4일(일요일), 공병호의 '자기경영' 아카데미 개최(제 24기)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