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삼국사(신라)

Re:儒禮尼今紀(유례니금기) - 가계도1

작성자정성일|작성시간10.03.20|조회수94 목록 댓글 4


 

 

 

儒禮의 가계도

 

 

 

 

 

 

 

 

 

 

 

 

 

 

 

 

 

 

 

 

助賁(父)

 

 

儒禮(本人)

 

 

 

 

 

 

(254.8~329.2)

 

 

(306.1~367.2)

 

 

 

 

 

 

 

 

 

 

 

 

 

 

 

 

 

 

阿召禮(母)

 

 

光明(妻)

 

 

其炭(女)

 

 

(262~327.10)

 

 

(324.9~392.2)

 

 

(364.10~ ? )

 

 

 

 

 

 

 

 

 

 

 

 

 

 

 

 

 

 

宣秋(妻)

 

 

世己(子)

 

 

 

 

 

 

(317~408.8)

 

 

(335~391.1)

 

 

 

 

 

 

 

 

 

 

 

 

 

 

 

 

 

 

碧芝(妻)

 

 

芝公(子)

 

 

 

 

 

 

(319.3~ ? )

 

 

(340.3~ ? )

 

 

 

 

 

 

 

 

 

 

 

 

 

 

 

 

 

 

三元(妻)

 

 

未斯品(子)

 

 

 

 

 

 

(316.4~ ? )

 

 

(347.4~411.10)

 

 

 

 

 

 

 

 

 

 

 

 

 

 

 

 

 

 

禮生(妻)

 

 

吉莫(女)

 

 

 

 

 

 

( ? ~403.5)

 

 

(363.2~ ? )

 

 

 

 

 

 

 

 

 

 

 

 

 

 

 

 

 

 

白海(妻)

 

 

道寧(子)

 

 

 

 

 

 

(325.3~ ? )

 

 

(361.10~ ? )

 

 

 

 

 

 

 

 

 

 

 

 

 

 

 

 

 

 

 

 

 

 

雲海(女)

 

 

 

 

 

 

 

 

 

 

( ? ~ ? )

 

 

 

 

 

 

 

 

 

 

 

 

 

 

 

 

 

 

軟凰(妻)

 

 

阿皇(女)

 

 

 

 

 

 

(302~378.5)

 

 

( ? ~ ? )

 

 

 

 

 

 

 

 

 

 

 

 

 

 

 

 

 

 

邊活(妻)

 

 

忍公(女)

 

 

 

 

 

 

( ? ~ ? )

 

 

(351.10~ ? )

 

 

 

 

 

 

 

 

 

 

 

 

 

※ 검정색은 남자를, 청색은 여자로, 적색은 분명하지 경우로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 길막(吉莫)이 실성의 弟, 혹은 이벌찬으로도 나오므로 성별 오류가 있다.












 

 

 

阿召禮의 가계도

 

 

 

 

 

 

 

 

 

 

 

 

 

 

 

 

 

 

 

 

奈音(父)

 

 

阿召禮(本人)

 

 

 

 

 

 

(220.8~ ? )

 

 

(262~327.10)

 

 

 

 

 

 

 

 

 

 

 

 

 

 

 

 

 

 

阿禮(母)

 

 

助賁(夫)

 

 

達禮(女)

 

 

(227.12~ ? )

 

 

(254.8~329.2)

 

 

(303.1~371.8)

 

 

 

 

 

 

 

 

 

 

 

 

 

 

 

 

 

 

 

 

 

 

儒禮(子)

 

 

 

 

 

 

 

 

 

 

(306.1~367.2)

 

 

 

 

 

 

 

 

 

 

 

 

 

 

 

 

 

 

孫億(夫)

 

 

召億(子)

 

 

 

 

 

 

( ? ~ ? )

 

 

( ? ~ ? )

 

 

 

 

 

 

 

 

 

 

 

 

 

 

 

 

 

 

 

 

 

 

宣禮(女)

 

 

 

 

 

 

 

 

 

 

( ? ~ ? )

 

 

 

 

 

 

 

 

 

 

 

 

 

 

 

 

 

 

黃牛(夫)

 

 

黃禮(女)

 

 

 

 

 

 

( ? ~ ? )

 

 

( ? ~ ? )

 

 

 

 

 

 

 

 

 

 

 

 

 

※ 검정색은 남자를, 청색은 여자로, 적색은 분명하지 경우로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阿禮의 가계도

 

 

 

 

 

 

 

 

 

 

 

 

 

 

 

 

 

 

 

 

昌豆(父)

 

 

阿禮(本人)

 

 

 

 

 

 

( ? ~ ? )

 

 

(227.12~ ? )

 

 

 

 

 

 

 

 

 

 

 

 

 

 

 

 

 

 

內禮(母)

 

 

奈音(夫)

 

 

阿召禮(女)

 

 

(186.1~263.2)

 

 

(220.8~ ? )

 

 

(262~327.10)

 

 

 

 

 

 

 

 

 

 

 

 

 

 

 

 

 

 

孫光(夫)

 

 

冬禮(女)

 

 

 

 

 

 

( ? ~320.5)

 

 

(272~354.5)

 

 

 

 

 

 

 

 

 

 

 

 

 

 

 

 

 

 

 

 

 

 

宣德(子)

 

 

 

 

 

 

 

 

 

 

( ? ~ ? )

 

 

 

 

 

 

 

 

 

 

 

 

 

 

 

 

 

 

 

 

 

阿夫禮(女)

 

 

 

 

 

 

 

 

 

( ? ~ ? )

 

 

 

 

 

 

 

 

 

 

 

 

 

 

 

 

 

 

 

 

 

德帽(女)

 

 

 

 

 

 

 

 

 

( ? ~ ? )

 

 

 

 

 

 

 

 

 

 

 

 

 

※ 검정색은 남자를, 청색은 여자로, 적색은 분명하지 경우로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達禮의 가계도

 

 

 

 

 

 

 

 

 

 

 

 

 

 

 

 

 

 

 

 

助賁(父)

 

 

達禮(本人)

 

 

 

 

 

 

(254.8~329.2)

 

 

(303.1~371.8)

 

 

 

 

 

 

 

 

 

 

 

 

 

 

 

 

 

 

阿召禮(母)

 

 

于老(夫)

 

 

茁禮(女)

 

 

(262~327.10)

 

 

(277.3~331.4)

 

 

(321.5~387.10)

 

 

 

 

 

 

 

 

 

 

 

 

 

 

 

 

 

 

 

 

 

 

于茁(子)

 

 

 

 

 

 

 

 

 

 

( ? ~ ? )

 

 

 

 

 

 

 

 

 

 

 

 

 

 

 

 

 

 

味鄒(夫)

 

 

休禮(女)

 

 

 

 

 

 

(292~362.10)

 

 

(331~399.10)

 

 

 

 

 

 

 

 

 

 

 

 

 

 

 

 

 

 

良夫(夫)

 

 

 

 

 

 

 

 

 

( ? ~356.7)

 

 

 

 

 

 

 

 

 

 

 

 

 

 

 

 

※ 검정색은 남자를, 청색은 여자로, 적색은 분명하지 경우로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정성일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0.03.24 제가 사람인 이상 잘못되거나 빠뜨린 부분이 있습니다.
    실수하지 않으려고 노력은 하지만 시간이 한참지나 발견되는 부분이 여럿 있습니다.
    빠뜨린 부분이 발견되어 추가한 부분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작성자라디오 | 작성시간 10.03.25 계보도 형식을 수직으로 해서, 다시 바꿔야 해요. 지금 horizontal식으로 되어 있는 계보도를 vertical식으로 바꾸시기 바랍니다. 상장돈장처럼 말이죠. 포토샵을 잘 하는 사람에게 문의하든가 하는게 좋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정성일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0.03.25 의견 감사합니다.
    저도 여러모로 생각해 본적이 있는데, 출판업 사장님한테도 물어보니 어렵지 않다고 하더니 막상 책으로는 제가 그린 계보도를 그대로 나왔습니다.

    저의 책이 출판되었냐구요?
    그게 아니라 박정수 작가님이 저의 책으로 조문국 역사소설을 썼는데 뒷면에다 자료로 드린 가계도가 올려진 것이 자료 그대로란 뜻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라디오 | 작성시간 10.03.25 선민님이 너무 약해요. 젊은이가 힘이 좋아야 하는건데.. 포토샵정도는 척척 해주고..센스티브햇으면..이젠 저도 늙어서리..감각이 둔해져서. 포토샵을 배워서 할 능력은 되나 체력도 딸리고..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