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은 서사를 좋아한다죠. 이건 비단 한국인만의 이야기는 아니겠지만 그런 면에서 전설적인 서사를 반복하거나 그것과 비교하는 것으로 현재의 흐름을 인식하려 시도하는 경향들은 좀 있는 것 같습니다. 최소한 그런 사람들은 있죠. 사실 이건 역사를 공부한 사람들은 그것을 통해 얻어낸 통찰로 현재를 판단한다는 점에서 프로세스는 유사할지 모르겠습니다. 동시에 그런 서사에 등장하는 영웅적 인물들을 하나의 상징으로 바라보고 아이콘으로 삼기도 하죠. 이상한 것도 아니고 틀린 것도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문제는 개개인에게 크고 작은 책임을 가지는 국민주권의 국가에서 영웅주의는 결집의 역할을 넘어 메시아의 역할을 수행할 때 위협적이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게 하는 글입니다.작성자Khrome작성시간22.12.24
'...어떤 정의관이 옳은가? 그것은 말할 수 없다. 수직적 정의관과 수평적 정의관은 세계를 이해하는 기본적인 관점이지, 근거 제시와 토론을 통해 논박되는 사안이 아니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세계관에 대해서 비판하거나 비난하는 행위는 무의미하지는 않겠지만, 매우 소모 적인 일이다.
나의 세계관과 타인의 세계관이 다름을 이해해야 하는 것은 우리가 결코 소통하지 못할 것임을 깨닫기 위해서가 아니다. 반대로 소통을 시작하기 위해서다. 소통의 시작은 내가 타인의 세계관을 논박하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할 때, 다시 말해서 타인이 나와는 정말로 다른 세계에 살고 있음을 인정할 때 비로소 시작될 수 있다. ...'
수직적 정의관과 수평적 정의관은 본질적으로 서로 타협 가능한 것일까요? 이것은 정반합으로 더 나은 결론이 나올 수 있는 주제일까요? 약자의 현실과 규율의 보전은 둘 다 중요하겠습니다만..작성자Khrome작성시간22.12.22
'...물론 16세기에 들어서서도 공과 사적 영역간의 구별이 엄격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물론 중세 후반에 가서는 공과 사의 구별이 근대적 행정관료제를 만들어 나가는데 선행조건이 된다는 의식이 싹트고 자라기 시작하며 이로 인한 정치적 이념변화가 수반되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오래된 글이긴 하지만, 공적 영역에서의 공사구분은 서구에서 수백년전부터 시작된 인식이고, 이에 대한 인식이 선진국 사회의 지배적 인식이 되었다는 건 흥미로운 일입니다. 우리 사회는 공사구분을 잘 하고 있는 걸까요? 근대는 전근대와 현대 사이의 괴리감을 줄이는 충분한 소화시간이라고 보는 편이기에 우리의 근대는 너무 짧았습니다.작성자Khrome작성시간22.12.21